새해가 밝았다. 오늘도 그냥 추운 겨울의 어떤 하루에 불과하건만, 왠지 이날은 특별한 듯해 보인다. 그래서 너도나도 깊은 밤 추위를 무릅쓰고 산에 오르거나 동해 바다로 몰려들어 새벽에 돋는 해를 바라보곤 한다. 날이 밝으면 만나는 이들에게 덕담을 주고받으며 마치 상이라도 받은 얼굴로 미소가 가득하다. 아마도 이날은 특별한 음식도 먹으리라. 요즘 유행하는 말로 “도대체 왜 이러는 걸까요.”
인간은 온갖 사물에 의미를 부여하고 이름 붙이는 행위를 통해 자연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 왔으며, 시간에 질서를 부여하고 문명을 건설했다. 그것이 사실이고 아니고는 중요하지 않다. 나라나 민족에 따라 첫해의 시작이 다른 경우가 있는 것은 이를 입증한다. 그저 자기 나름대로 자연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면 그만이다. 동아시아에서는 올해가 무술(戊戌)년이란다. 풀이하면 ‘황금 개’의 해다.
지난해가 닭의 해라 해서 특별히 닭을 많이 먹거나 닭과 관련한 일을 한 것도 없었듯이 올해가 개의 해라서 개가 우리에게 특별할 일도 없으리라. 사실 올해가 왜 개의 해인지도 알 수 없다. 간지에 등장하는 동물 중에는 우리 풍토와 거리가 먼 것도 있으니 멀리 중국에서 흘러들어온 유행에 편승했을 수도 있다. 다만 간지에 가축이 많은 것은 나름 인간의 생존에 끼친 공로가 크기 때문일 것이다.
최근 국내에 번역된 책 중에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고인류학자인 팻 시프먼 교수가 쓴 '침입종 인간'이 흥미로운 주장을 했다. 종래의 연구에 따르면 인간이 개를 가축화한 것이 대략 1만 5천 년 전쯤 메소포타미아 유역에서 농경 생활과 함께였을 것으로 생각해왔으나 2008년 벨기에에서 3만 2000년 전 개의 유골이 발견되고 2011년에는 시베리아에서 3만 3000년 전 개의 두개골이 발견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팻 시프먼 교수는 위의 책에서 현생인류인 호모사피엔스가 3만 5천 년 전 개와의 동맹을 통해 점차 네안데르탈인을 이기고 지구의 지배자가 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그러니까 늑대를 길들인 개와의 협업을 통해 더 많은 사냥감을 획득하였고 이로 인해 네안데르탈인보다 생존 능력에서 우위에 서게 되었다는 추측이다. 물론 개도 이러한 협업을 통해 안정적으로 먹이를 얻었고 안전을 보장받았다.
시프먼 교수는 개와의 동맹이야말로 인류의 생존과 발전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이루었다고 본다. 유발 하라리는 그의 저서 <사피엔스>에서 호모사피엔스에게는 누구보다 뛰어난 ‘픽션을 창조하는 능력’이 있었기에 다른 영장류를 이기고 지구를 지배하는 종족이 되었다‘라고 주장했는데 어쩌면 그러한 창조적 상상 능력이 발휘된 놀라운 결과물이 바로 개들과의 동맹이 아닐 수 없다.
그러니까 개는 인간에게는 최초의 친구이며 가축인 셈이다. 그 덕에 개도 인간과 함께 지구상에 번성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개는 뛰어난 충성심으로 오늘날에도 반려동물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개와 관련한 미담이 많다. 경북 구미에는 의구총(義狗冢, 의로운 개의 무덤)이 있을 정도로 개와 친숙하다. 비록 너무 친숙해서 서양 선진국의 눈총을 받기도 하지만.
고령화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독신 가정이 늘어갈수록 반려동물로서 개의 수요는 늘어날 것이다. 늙으면 개와 벗하며 지내게 될지도 모르겠다. 우리가 인간으로 못 할 짓을 하면 보통 개만도 못하다고 한다. 인간사회가 개만큼의 신의만 있어도 한결 좋은 세상이 되리라. 그러니 새해에는 개 관련한 욕은 사용하지 않았으면 한다. 모두 개에게 부끄럽지 않은 한해 되시길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