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페르시아의 양탄자다”

기사입력 2018-03-07 09:19 기사수정 2018-03-07 09:19

수원의 공군부대 110대대 라운지에서 근무한 지 몇 개월이 지나서 필자는 사표를 냈다. 공부하려고 백화점 일도 그만두었는데 근무가 끝난 다음에 시간을 갖는 것으로는 아무래도 양에 차지를 않았다. 그래서 전적으로 공부에만 매달리기로 결심하고 과감하게 일을 포기했다.

그런 다음 새벽에 서둔야학에 가서 혼자서 공부를 했다. 연습림의 새벽 공기는 차다. 그리고 신선하다. 공기가 맑아서인지 머리 또한 맑았다. 도서실에 있는 헌 참고서를 뒤적이며 공부를 했다. 어쩌면 공부가 그렇게도 재미있고 머리에 ‘쏙쏙’ 잘 들어오는지…. 몇 개월 동안 만져보지 못한 책, 그리고 공부에 대한 갈증이 보통 심한 것이 아니었기에 필자는 목마른 사슴 처럼 정신없이 마셨다. 지식이라는 단물을.

오랜만에 책을 잡는 기쁨이 칠년대한에 단비를 만난 듯한 기쁨이었고 물고기가 물을 만난 듯한 감격이었다. 공부를 한참 하다가 보면 머리가 지끈지끈 아팠는데 그렇게 하고 싶었던 공부를 해서 그런지 그럴 때도 강한 행복감을 맛보았다.

선생님들이 보시던 것을 혹은 당신 친구들에게 얻어다가 도서실에 마련해주신 각종 참고서가 무엇보다도 요긴하게 쓰였다. 참고서 하나 변변히 사볼 형편이 못 되었던 필자는 야학 도서실에 있는 참고서만을 의존해 공부를 한 것이다.

그즈음 야학 도서실에 있는 책 중에서 우연히 손에 쥐고 보게 된 것이 서머싯 몸의 ‘인간의 굴레’였다. 책을 보던 중 ‘인생은 페르시아의 양탄자다’라는 구절이 필자의 머릿속으로 전광석화처럼 스치고 지나가는 것이었다.

‘그래 바로 이거야!’

필자는 회심의 미소를 지었다. 별안간 세상이 밝아지는 느낌이었다.

‘그래 나는 내 나름대로의 무늬를 짜 가면 되는 것이다. 남이 뛰어간다고 초조해하지 말자. 나는 걸어가면 된다. 나는 나 나름대로의 삶의 형태가 있는 것이다.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은 하나다. 보다 잘 죽는 것이다. 임종의 침상에서 웃으며 죽을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나는 결코 후회 없는 삶을 살았노라 생각하며. 웃자. 밝게 살자. 사물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자.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며 살자. 감사하며 살자.’

그렇게 필자 나이 열아홉 살, 그때부터 인생관을 확립하게 되었다.

그동안 남과 비교하며 좌절하고 열등감에 빠지곤 했던 자신이 우습게 생각이 됐다. 더 이상 초조하지도, 괴롭지도 않았다.

‘이젠 웃으며 살 수 있을 것 같다.’

그때부터 웃으며 살 수 있었는데 이따금씩 사람들이 물었다.

‘어떻게 그렇게 항상 웃으면서 살아요?’

그러면 그냥 웃었다. 필자의 웃음은 그냥 얻어진 웃음이 아니다. 10대의 혹독한 시련과 모진 아픔 속에서 얻어진 웃음이다.

‘인생은 페르시아의 양탄자다’라는 말의 뜻을 후에 분석해보니 그 당시 필자가 생각했던 의미가 아니었다. 필자는 각자 나름대로의 무늬, 즉 각자의 삶에 의미와 가치가 있다는 의미로 읽었는데, 페르시아의 양탄자 무늬가 아무 의미가 없듯이 인간의 삶도 별 의미가 없다는 뜻이었다. ‘지구상에 생겨난 그 많은 생물 가운데 하나인 인간에게 의미 따위가 있을 리 없다’는 ‘인생의 허무’에 초점을 맞춘 말이다.

필자가 단단히 오해를 했던 것이다. 그러나 소설을 읽고 소화할 때 작가의 의도대로 이해를 하든 오해를 하든 그것이 문제 될 일은 없다고 본다. 무엇이든 얻는 게 있으면 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갈등과 의혹에 빠져 있던 필자가 길고 긴 어둠의 터널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것으로 충분하다.

살아가면서 몰랐던 것을 알게 될 때 기쁘다. 요즘에는 가르치는 데 필요해서 컴퓨터 관련 서적을 보다 보니 참 재미있다. 제자들에게 “어때 공부하기 재미있지?”라고 물으면 “아니요, 재미없어요. 지루해요”라고 대답한다.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는 소리는 하나같이 부정적이다. 그럴 때 필자는 이렇게 말한다.

"공부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안다는 것이 얼마나 기쁜 건데요. 불행히도 여러분은 너무 좋은 부모님을 만나 배움에 굶주려본 적이 없으니 그렇게 소중한 기쁨을 느껴 볼 새가 없는 거예요. 공자님도 말씀하셨죠. 인생삼락을. 삶에 있어서 공부하는 즐거움은 참으로 소중한 것이에요. 가장 감수성이 예민하고 기억력이 왕성한 여러분 나이에 하나라도 더 알아야겠다는 마음가짐이 정말 필요해요. 농부가 봄에 씨를 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추수할 것이 없어요. 그렇다면 인생의 봄을 보내고 있는 여러분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물질의 풍요를 누리고 있는 요즘 아이들은 배고픈 것이 얼마나 고통스럽고 서러운 일인지 모른다. 특히 배움에 대한 굶주림이 얼마나 절망스러운지도 모른다. 가만히 앉아서 공부하기가 싫어 몸을 뒤트는 제자들을 보면 안타깝다. 그 시간에 청계천 평화시장 한 모퉁이에서는 그들 나이의 봉제공들이 불과 4~5평의 공간에서 먼지를 들이마시며 하루 종일 재봉틀을 돌린다. 밤잠도 제대로 못 자며 중노동에 시달리는 소녀들이 있는 것이다.

교복이 입기 싫어 될 수 있으면 사복을 입으려 하는 제자들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착잡해진다. 교복 입고 학교에 다니는 것이 소원이었던 필자의 어린 시절이 생각나서다. 요즘 아이들은 필요한 것을 요구하기 전에 미리미리 다 채워지니 아쉬울 것이 없다. 부족한 것 없는 아이들이 바라보는 삶과 어려운 항해를 마친 필자가 바라보는 삶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 2025년 새해, 노후의 초석 마련할 ‘비움’ 습관 세 가지
    2025년 새해, 노후의 초석 마련할 ‘비움’ 습관 세 가지
  •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