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호 // 어린이 마음으로 살아가는 ‘층층나무동시모임’
[라이프@]
스승을 모시고
한 달에 딱 한 번
숙제 검사를 한다.
어린아이 마음 담은
어여쁜 말과 말을 잇는다.
내 아기, 내 시
시가 소복소복
마음에 와 안긴다
귀한 시간이 쌓인다.
동시 작가를 만나고 나니 손가락이 꼼지락 운율을 따라 움직인다. 번데기 앞에서 주름잡기이지만 말이다. 동시를 쓰는 작가들이 모여 공부하는 ‘층층나무동시모임’을 찾아갔다. 모임 구성원은 동시집을 적게는 두 권에서 많게는 열 권 이상을 낸 베테랑들. 한 명 한 명 찾아가서 개인 인터뷰를 해도 부족할 아동문학 대표 작가 집단이 바로 ‘층층나무동시모임’이다. 이들은 한 목소리로 말한다.
“우리는 프로 중에서도 프로죠. 그냥 작가들이 아니에요. 잘나가는 작가죠.(웃음)”
층층나무동시모임에서 스승으로 모시는 선생님을 봐도 현실적이지 않다. 한국 아동문학계의 거목 중에서도 거목인 신현득 시인이 바로 숙제 검사(?)를 해주는 선생님이다. 전문 작가들이 모인 자리라 그런지 진지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각자 시를 읽고 나면 동시를 연마다 끊어 읽으며 날카로운 평이 이어진다.
제자 사랑의 결실이 층층나무동시모임
층층나무동시모임이 결성(?)된 것은 13년 전쯤. 신현득 시인과 인연이 있는 제자 4명으로 시작해 지금은 은사 포함해서 10명이다. 13년 동안 은사 한 분에 제자 9명인 것을 보면 그들의 눈높이와 수준을 짐작할 수 있다. 30대에서 80대까지 한자리에 앉아 귀를 쫑긋 세우고 좋은 생각을 나누는 귀중한 공부방 모임이다. 그런데 등단한 동시 작가로 인정받은 이들이 왜 이렇게 모이는지 의문이다. 설용수 시인은 작가 자신이 스스로에게 갇히지 않기 위해서 모임을 택했다고 말한다.
“내가 내 작품을 확실하게 못 볼 때가 있어요. 등단이라는 것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의미이거든요. 그래서 그 이후에 은사님을 모시는 거잖아요. 우리의 의견이 엇갈릴 때 조정을 해주시거나 핵심을 딱 잡아주세요.”
한 달에 한 번이라도 모이기 때문에 일종의 부담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글을 쓴다고 했다. 베테랑 작가들도 사람이기에 게으르지 않고 글을 쓸 수 있는 일종의 기능 하나를 삶에 추가한 것이라고.
그렇다면 왜 동시일까?
이들을 동시의 세계에서 살게 만든 원동력이 뭔지 궁금했다. 얘기를 들어보니 아이들을 유심히 살피는 고운 마음씨가 힘이다. 손자와 손녀가, 내 아이가 태어나 자라는 모습이 이들을 동시 속에 살게 했다. 아이들은 동시의 주체가 됐고 멋진 독자로 성장했다. 전직 초등학교 선생이자 최고령 작가인 박예자 시인도 손자들에게서 영감을 많이 얻었다.
“아이들이 태어났을 때 전부 다 시로 보였어요. 제가 쓴 ‘아가는 시예요’라는 책이 있습니다. 손자의 성장 과정을 따라가면서 시를 썼어요. 쓰다 보니까 동생이 태어나잖아요. 형이 동생을 질투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독립심이 생기고요. 동생과 사이좋게 지내는 방법을 알아가는 과정을 유아시로 써냈습니다.
박예자 시인과 마흔 살이나 차이 나는 최연소자 신정아 시인도 세 아들 얘기를 꺼냈다.
“제가 2012년도 등단했는데 그전부터 단국대학교에서 신현득 교수님의 아동문학 강의를 들었어요. 그때 제 아들이 세 살쯤 됐을 땐데 아이를 키우다 보니 동시가 하나둘 써지기 시작하더라고요. 아이들이 아무래도 소재 거리를 많이 주죠. 지금은 초등학생인데 독자이기도 하고요.”
아이의 심상 느낄 줄 아는 재능의 소산
동시는 잃어버린 동심을 찾아주는 글이다. 나이를 떠나 어린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헤아리고 싶은 사람만이 쓸 수 있는 글이 동시 아닐까. 세상에 많은 할머니와 할아버지, 엄마가 있지만 다들 한마음으로 동시를 쓰는 게 아니니 말이다.
층층나무동시모임에서 만난 작가들 모두 동심의 소중함을 알고 낮은 자세로 아이들과 눈높이를 맞추고 있었다. 사실 동인들 모두가 너무 걸출해서 말하기가 어려울 정도다. 현역 동시 작가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유희윤 시인과 김금래 시인, 경희대 간호팀장 신분으로 꾸준하게 동시 작가로도 이름을 알리고 있는 한상순 시인도 층층나무동시모임을 자라게 하는 나뭇잎사귀다. 개인 활동은 물론이고 동인지에 관한 생각도 잊지 않고 있다는 층층나무동시모임. 모두가 건강하게 오랫동안 건필하시기를 부탁드린다.
※ 라이프@이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소개하고 싶은 동창회, 동호회 등이 있다면 bravo@etoday.co.kr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