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환자 실종예방 장치들

입력 2019-05-07 14:46

치매환자의 행동은 예측할 수 없다. 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환자의 실종 문제가 사회문제로 등장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치매 환자 실종 건수가 연간 1만 건을 넘어서고 있다. 실종 노인 중 100명 정도가 싸늘한 주검으로 변해 돌아와 가족에게 평생 씻을 수 없는 마음의 상처를 주고 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실종 예방을 위한 여러 지원책을 마련해놓고 있으나 활용도는 미흡하다. 치매 노인 실종 예방 장치들을 알아두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배회감지기
▲배회감지기

배회감지기

집을 나간 치매 환자의 위치를 스마트폰으로 조회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배회감지기. 치매 환자의 목이나 허리춤에 착용할 수 있는 소형 전자 기기다. 치매 환자가 보호자를 이탈한 경우 5분 단위로 노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으로 알 수 있는 장치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복지 용구 제품으로 장기요양등급이 있는 경우 본인부담금 15%로 치매콜센터에서 용품을 대여해 쓸 수 있다.

실종방지인식표

치매로 길을 잃을 염려가 있는 치매 환자임을 알리는 표시물로 환자의 옷에 붙이는 동그란 부착물이다. 이름표인 셈이다. 다리미로 눌러 부착할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세탁을 해도 괜찮다. 전국 시군구의 보건소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면 된다. 무료.

지문사전등록제도

가까운 경찰서에 미리 지문이나 사진, 연락처 등을 등록해두는 제도다.

실종방지 팔찌

팔에 끼는 팔찌 형태로 한국치매가족협회 배회구조 센터로 신청하면 고유번호가 새겨진 팔찌를 받을 수 있다. 연회비 포함해 3만 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효도수당, 1인 가구 노인 외면”… 대한은퇴자협회, 실효성 비판 성명
    “효도수당, 1인 가구 노인 외면”… 대한은퇴자협회, 실효성 비판 성명
  • “아이들 보호, 어른이 나서야”… 대한은퇴자협회, 청소년 자살률 관련 성명
    “아이들 보호, 어른이 나서야”… 대한은퇴자협회, 청소년 자살률 관련 성명
  • 日 근로자 6명 중 1명 돌봄 부담… 50~70대 ‘겸업’ 시달려
    日 근로자 6명 중 1명 돌봄 부담… 50~70대 ‘겸업’ 시달려
  • “청년담당관은 있고, 노년담당관은 없다” KARP, 전담 조직 신설 촉구
    “청년담당관은 있고, 노년담당관은 없다” KARP, 전담 조직 신설 촉구
  •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아세안 6개국 대상 ‘2025 핵심인력 양성 프로그램’ 성료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아세안 6개국 대상 ‘2025 핵심인력 양성 프로그램’ 성료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