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공감] 연극 <씻금>

기사입력 2017-01-31 08:46 기사수정 2017-01-31 08:46

슬픔과 애환으로 무대 위를 수놓다

‘굿’은 슬픔과 맞닿아 있다. 죽음 혹은 아픔이 전제하고, 한(恨)이 깔려 있으며 원한풀이로 이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작년 말 30스튜디오(서울 종로구 창경궁로)의 개관 작품으로 선보인 <씻금>은 진도의 씻김굿을 연극무대로 옮긴 것이다. 개인의 슬픔을 넘어 한국의 역사, 풀리지 않는 현실 속 한국의 이야기가 한판 굿으로 관객과 어우러졌다.

(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순례의 삶에 한국 근·현대사를 담다

무대는 진도 바다 바위 언덕. 동네 아낙이 바위 주위를 돌며 섭(홍합) 채취를 하고 있고, 높은 바위에 앉은 남자는 바다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있다. 주인공 순례는 어기적거리며 무대를 돌아다닌다. 들어오는 관객과 무대 위 남자와 여자의 행동에도 간섭하며 연신 싱글벙글이다. 객석의 불이 꺼지고 본격적인 극이 시작되면 무대를 돌아다니던 순례는 바위 위 남자와 대화를 나누더니 “나, 간다” 한마디 남기고 바다에 몸을 던진다.

▲억울함과 서글픔으로 이승을 떠나지 못하는 영혼들을 데리고 저승으로 가기 위해 저승사자가 씻김굿 현장에 찾아왔다.(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억울함과 서글픔으로 이승을 떠나지 못하는 영혼들을 데리고 저승으로 가기 위해 저승사자가 씻김굿 현장에 찾아왔다.(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씻김굿이 시작되자 구천을 떠돌던 억울한 혼들이 몰려와 한 서린 이야기들을 꺼내놓는다.(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씻김굿이 시작되자 구천을 떠돌던 억울한 혼들이 몰려와 한 서린 이야기들을 꺼내놓는다.(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수난의 시대를 온몸으로 이겨내며 살아온 순례의 죽음으로 산 자와 죽은 자가 통하는 세계를 열어 영혼을 달래는 ‘씻금’의 시간이 마련된다. 영혼이 된 순례는 굿을 통해 뭍으로 올라오고 자신이 살아온 이야기를 남도 민요와 함께 풀어낸다. 육자배기, 흥그레타령, 닭노래, 진도아리랑 등 진도 지역에서 내려오는 노랫가락을 통해 우리의 아픈 이야기 또한 발견하게 된다.

순례의 삶은 한국의 근현대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거울이다. 순례는 시어머니가 낳은 어린 시동생들 보살피느라 정작 내 아이는 입히지도 먹이지도 공부시키지도 못한 것이 아쉽다. 그나마 제대로 키운 장남은 IMF로 잘 다니던 한국은행에서 실직하고 증권에 손을 댔다가 망해 결국 자살을 택했다. 순례의 가정사와 함께 진도 앞바다에서 생을 달리한 넋들도 등장한다. 정신대를 피해 나이 많고 얼굴도 모르는 남자에게 시집갔던 여자의 영혼, 빚을 이겨내지 못해 바닷물에 빠진 연인이 등장해 씻김을 받는다. 구천을 떠돌아 거지꼴이 된 순례의 장남도 돌아와 어머니의 따뜻한 손길로 깨끗하게 치유받고 저승 갈 채비를 서두른다. 마지막으로 뭍으로 올라오지 못한 세월호의 영령들까지 달래기에 이른다. 수난의 역사이자 지금의 시대는 ‘씻김’과 ‘길닦음’이라는 제의를 통해 삶과 죽음, 개인과 역사, 극 전체와 관객이 서로 화해하고 보듬으며 화합한다.

▲연극<씻금>에서는 뭍으로 돌아오지 못한 세월호의  영령들까지 달랜다.(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연극<씻금>에서는 뭍으로 돌아오지 못한 세월호의 영령들까지 달랜다.(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관객과 배우가 함께 어우러지다

이 연극은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더욱 빛나는 작품이 된다. 마치 굿판을 구경하듯, 길거리 공연을 보거나 시위에 참가한 듯 어깨를 들썩이고 함께 어우러져야 제대로 된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다. 관객의 참여를 돕기 위해 무대 뒤 스크린을 적극 활용한다. 배우들이 부르는 남도소리 전곡을 스크린에 띄우고 관객이 따라 부르는 시간도 갖는다. 공연 전부터 순례로 등장하는 배우 김미숙이 무대를 걸어 다니면서 관객에게 툭툭 말을 건네는 것 또한 관객들과 함께 공연을 이뤄간다는 의미다.

특히 연극이 끝나고 나면 실제 굿이 끝나고 음식을 나눠 먹듯 배우들은 막걸리와 떡, 고기 등을 무대에 내온다. 관객과 배우가 함께 어우러져 준비한 음식을 나눠 먹는다. 그 어떤 연극보다 더 쉽게 배우에게 다가가 사진 찍기를 권하고 덕담을 나누는 연극이 바로 <씻금>이다. 또한 배우들이 정성스레 만든 ‘넋발(씻김굿에 쓰이는 종이 도구로 망자의 혼을 표현한 것)’을 관객에게 기념으로 나눠준다. 연극을 보고 나왔다는 느낌보다는 함께 공연을 하고 나온 느낌으로 극장을 나서게 된다.

▲순례의 슬픔은 곧 한국 역사의 슬픔과 맞닿아있다.  (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순례의 슬픔은 곧 한국 역사의 슬픔과 맞닿아있다. (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굿극 <씻금>은 2010년 국립남도국악원의 제안으로 진도 씻김굿을 무대 형식으로 제작하게 되면서 시작됐다. 이때 연극학자인 서연호가 굿을 연극화했다 해서 ‘굿극’이라는 개념이 부여됐다. 공연의 맥은 잠시 끊겼다가 작년 말 <씻금> 대본 집필과 연출을 맡았던 이윤택이 국립국악원의 양해를 얻어 자신의 극단인 연희단거리패에서 제작하게 돼 다시 관객들 곁으로 돌아왔다.

‘진도 마지막 당골, 고(故) 채정례의 삶 녹아들다

씻김굿이란 서남해안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행해지는 넋 굿이다. 살아생전의 좋지 못했던 기억과 마음 깊은 곳의 앙금을 깨끗이 씻어내 망자가 수월하게 이승에서 저승으로 건너갈 수 있도록 돕는다. 굿극 <씻금>은 진도씻김굿의 마지막 당골(세습무당)인 채정례(1925~2013)와 악사 함인천 부부의 실제 삶을 줄거리로 삼았다. 살아생전 채정례 선생은 씻김굿의 전체 무가와 장단을 당시 남도국악원의 모든 단원에게 전수해 후세에 남겼다. 굿에 사용되는 종이 무구(巫具)인 지전(紙錢)과 고깔, 넋 등의 제작 과정 또한 단원들에게 지도했다고. 국립남도국악원은 <씻금> 제작 초기 진도의 큰 당골인 채정례를 주목했다. 실제 진도에서 부부가 짝을 이루어 세습무계의 전통을 이으면서 원형을 고수한 원로는 채정례 당골과 남편인 함인천이 유일했다. 큰무당이 가지는 위대한 포용력과 함께 여러 당골들 사이에서도 그녀는 오랜 연륜과 탁월한 기예로 존경받아왔다. 씻김굿은 죽은 이를 위한 천도의례이지만, 채정례 당골의 씻김굿 현장은 죽은 이를 위한 자리인 동시에 산 자들의 슬픔까지 걷어내는 자리였다.

▲이승에서의 한을 씻어낸 망자는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고 저승사자를 따라 극락으로 떠난다.(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이승에서의 한을 씻어낸 망자는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고 저승사자를 따라 극락으로 떠난다.(사진 김용주(연희단거리패 사진작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문화공감]<더 언더독> 내가 만약 동물 보호센터에 있는 유기견이라면…
  • [문화공감] <싸이코패스는 고양이를 죽인다>
  • [문화공감] 영화 <할머니의 먼 집> 관객과의 대화
  • [문화공감] 천재화가 이중섭을 만나고 오다
  • [문화공감] 한여름 밤의 시네마천국, ‘정동진독립영화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