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일컫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모으다 보면 한이 없습니다. 그것은 게으름의 다른 이름이라는 데서 온전한 행복의 다른 표현이라는 데 이르기까지 그 폭이 엄청납니다. 그러니 어떤 것이 놀이이고, 어떻게 놀아야 놀이다운 놀이를 하는 것인지 금을 긋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도 두루 살펴보면 우리네 문화는 놀이를 저어하는 태도를 꽤 진하게 이어온 것 같습니다. 논다는 것은 많은 경우에 게으름, 하릴없음, 비생산적임, 낭비, 무절제, 철없음 등과 나란히 놓입니다. 이에 맞서는 것들로 근면과 성실, 점잖음과 어른스러움을 드는 것을 염두에 두면 놀이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의 그림이 환하게 떠오릅니다. 오랜 유교적인 근엄함 탓이라고 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런 풍토에서는 우리네 시니어들이 잘 놀아야 한다고 주장하면 그것은 천박하기 이를 데 없는 것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놀이가 낳는 직접적인 경험이 무언지 생각해보면 좀 다른 주장을 할 수도 있습니다. 무어니 무어니 해도 놀이는 재미있고, 그래서 즐겁고, 그래서 온갖 것에서 풀려난 홀가분함을 만끽하게 합니다. 이런 자리에서 보면 그것은 각박함에서의 여유이고, 노동에서의 휴식이며, 긴장에서의 풀림이고, 절제가 낳은 보상이며, 노력이 맺은 결실이기도 합니다. 결국 누구나 꿈꾸는 행복한 삶이란 잘 노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야말로 사람이 바라는 꿈의 실현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네 시니어들에게 ‘당신네들이야말로 마땅히 잘 놀아야 한다!’고 거들어주는 일보다 더 현실적이고 귀한 추임새는 없습니다.
그런데 놀이와 노년을 부정적으로 잇든, 긍정적으로 맺든, 위에서 묘사한 그러한 놀이에 대한 이해는 아무래도 불안합니다. 왜냐하면 놀이라는 삶이 따로 있고, 놀이 아닌 삶이 따로 있는 것같이 설명하기 때문입니다.
이를테면 살아간다는 것은 끊임없는 일의 연속입니다. 그래서 멈춰 쉬고 싶고, 일의 사슬에서 벗어나고 싶은 꿈을 지닙니다. 그러다 잠시 일에서 풀려나면 그리 즐겁고 행복할 수가 없습니다. 그 순간을 채워주는 대표적인 것이 놀이입니다. 그 내용은 어떤 것도 좋습니다. 그저 즐겁고 신나는 거죠. 그런데 이렇게 살다 보면 산다는 것은 잘 노는 삶을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게 됩니다. 매 순간의 삶이 그 나름의 의미를 지니기보다 그 과정의 끝에 이르러 비로소 누리게 될 ‘잘 놀기 위한 삶’의 준비 과정이 되는 거죠. 수단적인 가치로서의 삶이 무의미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런 삶은 놀이하며 사는 행복한 지경에 이르기 전의 삶을 어떤 상황도 참고 견뎌야 하는 무거운 색깔로 채색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처럼 견디며 지워야 할 삶이 있고, 이를 바탕으로 기다리며 즐거울 삶이 있다고 여기는 것은 자칫 일상의 삶을 연민과 고통으로만 여기게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놀이 아닌 삶은 삶이 아니라는 자학에 이를 수 있으니까요.
그런가 하면 일에서 벗어나 이제는 잘 놀면서 살리라는 기대를 실현한 삶이 뜻밖의 엉킴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 친구는 은퇴를 하고 나서 자기가 평소에 늘 꿈꾸었던 사진에 몰입하면서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사는 행복’을 저리게 만끽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제게 감동스럽게 해주었습니다. 그런데 여러 해 뒤에 만난 그 친구는 이런 이야기를 하더군요. “내 ‘놀이’를 위해 시간도 자금도 엄청나게 투자를 했네. 뿐만 아니라 내 가족을 포함해 많은 것을 희생하기까지 했지. 그러다 보니 내가 은퇴 이전에 일에 몰입하던 모습과 조금도 다르지 않은 삶을 살고 있더군. 이제 좀 쉬어야겠어!” 이 또한 안타까운 일입니다. 일이 아닌 삶은 삶이 아니라는 무의식이 놀이조차 일로 여기는 삶을 살아가도록 한 것이니까요.
문제는 이제 시니어가 되었으니 모든 일에서 벗어나 잘 놀아야 한다든지, 그러기 위해서는 시니어가 되기 전에 일에 몰두해 그런 삶을 준비해야 한다든지 하는 이분법적인 판단이 아닌가 싶습니다.
자식을 과외공부에 뺑뺑이를 돌릴 수밖에 없이 살아온 맞벌이 부부의 이야기가 문득 떠오릅니다. 그 엄마는 과외하러 가는 자식에게 늘 이렇게 말했답니다. “너 오늘은 수학 과외 가는 날이구나. 거기 친구들과 수학을 가지고 재미있게 놀다 오거라. 내일은 피아노 선생님한테 가는 날이네. 선생님하고 재미있게 놀다 와라. 다녀와서 놀던 이야기를 엄마 아빠에게 들려줘. 우리도 정말 그렇게 놀고 싶거든!” 그런데 그다음 이야기가 제게 잊을 수 없는 감동으로 전해졌습니다. “그 녀석이 돌아와서는 재미있던 이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힘들었던 일, 속상했던 일도 다 말하더군요.”
일상의 삶과 단절된 ‘잘 노는 삶’이 따로 있을 까닭이 없습니다. 기다리는 놀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쌓이는 놀이가 있을 뿐이라고 해도 좋을지 모릅니다. 나이가 충동하는 ‘찾아야 할 즐거움’도 다르지 않다고 말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