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30년 동안 밖으로 나가지 않고 집안에서만 조용히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집콕' 할아버지가 있다. 그런 괴짜스러운 남편과 사는 아내 히데코가 함께 한다. 영화는 마치 그들을 따라다니며 촬영한 다큐인 듯 덤덤하고 담담하다. <모리의 정원>에서 살아가는 잔잔한 이야기가 전부이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초반엔 모리 부부의 인간극장인 줄 알았다. 일본 근대 화가 구마카이 모리카즈의 실존했던 노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다. 특히 그의 아내 히데코와의 모습은 수채화처럼 담백하고 그저 따뜻하다.
30년 동안 정원을 벗어나지 않고 아내 히데코와 살아가지만 찾아오는 사람들은 많다. 모리는 언제나 한없이 숲에 앉아있거나 곤충들을 들여다본다. 그러다 정원 바닥에 아무렇게나 누워서 잠든 모리의 머리털의 숲(?)속으로 수북한 턱수염 숲 속으로 개미가 자연스럽게 기어 다닌다. 취재차 온 사람들이 정원 숲 속의 모리를 바라보면서 말한다.
"대단하네요. 완전 신선이잖아요" 그 모습에 놀란다. "30년 동안 이 정원에서 한 발짝도 나가지 않으셨어. 요괴나 신선이 아니면 뭐겠어"
또 그 집 앞으로 건물을 짓기 위해 업자들이 설득하러 온다. "아파트 건설은 한참 전에 이미 정해져 있었어요" 히데코는 말한다. "하지만 해를 가릴 거란 말은 하지 않았잖아요. 여기엔 많은 나무와 벌레가 살고 있으니까요. 이 정원은 남편의 전부예요"
그 정원에는 노부부만 있는 게 아니었다. 숲과 개미와 벌레, 도마뱀, 새소리, 햇빛, 바람, 풀과 나무, 작은 호수... 이 모든 것이 그들에겐 하나의 우주다. 수많은 생명체와 그 정원의 평화를 지키고 싶은 모리 부부의 마음과 자연주의 철학이 전해진다.
촬영 카메라를 정원에만 들이댔을 때는 가히 정글이었다. 인간의 손길로 다듬어진 정원과는 비교할 수 없다. 거칠지만 자연 그대로 그들만의 빽빽한 수풀이었다. 마지막 장면으로 하늘에서 촬영한 모리의 정원은 한 주택가의 작은 마당이었을 뿐이었다. 그런데도 그들만의 우주라는 표현이 지당한 것은 모리 부부의 생명에 경외감을 갖는 시선과 마음이다.
해마다 피어나는 손톱만 한 꽃도 늘 새롭고 감탄스럽다. 개미의 왼쪽 두 번째 다리가 먼저 움직인다는 걸 발견하는 관심이 있다. 온종일 그 숲에 잠겨 지나다가 움트는 새싹에게 "여태 자라고 있었나" 느릿하게 걸어가는 고양이에게 "이보게나" 부르고, 나풀거리는 나비에게 "어디서 날아오셨나" 인사를 하고 말을 건넨다.
그런 언어만 쓰며 인생을 살 수 있다는 걸 비로소 알았다. 세상살이란 것이 절대로 그런 언어로만 살 수 없게 만들어져 있는데 모리의 정원에서는 가능하다. 믿을 수 없지만 그들만의 우주인 작은 수풀에 사는 모리 부부에게는 일상의 언어였다. 누구에게나 불가능한 언어였고 일상이지만 99분 동안 힐링은 가능하다. 그리고 모리의 정원에서는 '집콕'이 누워서 떡먹기보다 쉬운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