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만 해도 곧잘 다가와 얘기도 하고 재롱도 피우던 손주가 장성하면서 달라졌다. 말수도 적어지고, 전보다 불편한 기색이 뚜렷하다. 거실에서 대화를 나누려고 하면 자기 방으로 들어가는 일도 부지기수. 손주와의 심리적 거리를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이런 시니어를 위해 손주 세대의 특성과 더불어 그들과 소통하는 법을 소개한다.
세대 갈등이 갈수록 심해진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모든 연령대에서 전반적으로 세대 갈등이 심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4점 척도(1점: 전혀 심하지 않다~4점: 매우 심하다)에서 약간 심하다(3점)는 비율이 연령과 관계없이 모두 50%에 육박한다. 임영주 부모교육연구소장은 “세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소통과 대화법이 중요하다. 가볍게 ‘그때는 그랬지’ 하고 얘기를 들려줘야 한다. ‘나 때는 이랬으니 너희도 이래야 해!’ 하는 화법으로 아랫세대를 가르치려고 하면 안 된다”라고 말했다. 결국 세대 갈등을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훈육이 아니라 지지
세월의 차이가 크게 나는 시니어와 손주 세대는 소통법이 가장 필요하다. 특히 사춘기 청소년인 손주는 대체로 시큰둥하다. 질풍노도의 시기라 불리는 이 시절에는 그 누구도 말릴 수 없다. 불러도 대답도 잘 안 하고, 그저 틈만 나면 스마트폰으로 게임이나 SNS를 하기 바쁘다. 공부에는 관심도 없고 성적은 갈수록 떨어진다. 이를 보는 부모는 속이 답답하고, 이 모든 상황을 지켜보는 조부모도 마음이 편치 않다.
하지만 사실은 이와 조금 다르다. 눈에 보이는 것과 달리 청소년들도 고민은 깊다.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3~18세 청소년의 가장 큰 고민은 ‘공부’다. 성적과 자기 적성을 포함한 공부 고민이 전체 고민의 47.3%를 차지한다. 잔소리하지 않아도 그들은 본인 스스로가 이 문제를 더 잘 알고 있었다. 공부에 대한 욕심과 진로에 대한 고민을 진지하게 하고 있었다. 청소년 소통 전문가는 “사춘기 청소년을 늘 앞서가며 무작정 끌어당겨야 하는 존재로 여기는 건 좋지 않다. 그러는 사이에 그들은 속으로 좌절과 절망을 많이 하고 있을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사춘기 청소년에게는 조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미국 브리검영대학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춘기 자녀 교육에서 부모의 노력으로는 부족한 영역을 조부모가 채워줄 수 있다고 한다. 만 10세에서 15세청소년 중 조부모와 친밀하게 느낄수록 친사회적 행동 성향이 높았다. 예를 들어 보상을 바라지 않고 사회에 도움이 되는 봉사나 기부를 자주 했다.
조부모가 손주에게 실용적 기술을 가르쳐주기도 하고, 용기를 북돋아주고, 학교와 관련해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하는 데 도움을 줄 때 친밀함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사춘기 청소년에게 조부모의 역할이 중요한 것이다. 임영주 소장은 “부모는 당근과 채찍을 골고루 주는 훈육의 역할을 맡지만, 조부모는 손주에게 아낌없는 사랑을 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사춘기는 소중한 시절이다. 그들의 사춘기가 악몽이 될지, 성장하는 시기가 될지는 주변인에게 달렸다. 그들의 성장을 위해서는 올바른 접근과 원활한 소통이 필요하다.
배우는 자세로 소통
최근 몇 년 사이 밀레니얼과 관련된 보고서와 책이 무수히 쏟아졌다. 밀레니얼을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한 점진적인 시도가 시작된 것이다. 밀레니얼과 시니어, 실제로 이 두 세대는 어디서나 마주칠 수밖에 없다. 가정에서는 부모와 자식, 조부모와 손주로 만나고 직장 내에서는 리더와 신입사원 등으로 마주할 일이 많다. 이처럼 교류가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서로를 잘 이해하고 원활한 소통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조부모와의 관계 및 소통은 밀레니얼에게도 상당히 중요하다. 조부모와 손주의 깊은 애정 관계는 손주의 전 인생 주기에 걸쳐 심리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동시에 조부모는 손주에게 인생을 통한 경험과 지혜를 제공함으로써 보람을 느낀다. 임 소장은 “윗세대의 얘기를 아랫세대에게 들려주는 것은 세대 전수와 문화 공감 차원에서 권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달은 간접 경험의 폭을 넓히고, 더불어 이해의 폭을 넓게 한다. 다만 이를 활용하여 손주에게 강요나 지적을 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밀레니얼 세대와 소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밀레니얼 세대를 알 필요가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자유’를 추구한다. 그들은 얽매이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원하는 시간에 얻을 수 있고 입맛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스트리밍 라이프(Streaming Life)를 추구한다. 스트리밍이란 인터넷에서 음악이나 영상을 파일로 다운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는 방식을 일컫는다.
또한 ‘제주도 한 달 살기’처럼 내가 살고 싶은 곳에 단기간으로 정착하는 방식의 라이프를 즐기기도 한다. 월세와 전세 같은 방식의 주거 라이프를 굳이 고집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통해 일하는 방식인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를 추구한다. 밀레니얼 소통 전문가는 “1990년대생은 자유를 중요하게 여긴다. 스트리밍을 통해 자유롭고 풍요로운 삶을 경험하길 원하고, 자신의 삶이 늘 자유의 연장 속에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그들을 손주로 둔 시니어는 어떤 방식으로 다가가는 것이 좋을까? 사실 이 두 세대 사이에서 생기는 갈등은 그 누구의 탓도 아니다. 서로 살아온 환경과 시대가 달랐기에 사고방식이나 생활 방식이 다를 수밖에 없다. 또한 세대 간 쓰는 언어와 문법의 차이로 인해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임 소장은 “디지털이 익숙한 밀레니얼의 생활환경은 조부모 세대와 확연히 다르다. 그래서 가르치려고 하기보다는 배우는 자세로 손주와 소통해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