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를 사로잡은 최고의 MC 임백천①

기사입력 2021-05-31 08:00 기사수정 2021-07-29 14:29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관통하는 브라보 ‘디지로그’ 라이프

명곡 ‘마음에 쓰는 편지’를 부른 가수, 그리고 1990년대를 휘어잡은 최고의 MC. 임백천(63)은 지금도 매일 낮 12시부터 KBS2 라디오 해피FM ‘임백천의 백뮤직’을 통해 사람들과 만난다. 1978년 MBC ‘대학가요제’로 연예계에 입문했으니, 어느덧 43년 동안 현역 방송인으로 생활하고 있는 셈. 아날로그 시대에 시작해서 디지털 시대에까지 이르렀기에 ‘디지로그’를 지향한다고 밝힌 그는, 느릿하면서도 편안한 목소리로 자신이 지나온 세월과 현재의 시간을 차분하게 말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세월의 흐름 속에서 어떤 정점에 도달했던 사람이 들려주는, 자신이 관조한 세상에 대한 이야기였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임백천은 1978년 연예계에 입문했을 때 국민대학교 건축학과 재학생이었다. 생방송 중 대본 대신 자신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하는 임백천을 눈여겨본 PD는 MBC ‘젊음의 행진’의 전신인 ‘젊음이 있는 곳에’의 진행을 맡겼다. ‘미래의 국민 MC’ 임백천의 시작이었다. 1980년이 되자 대학교 3학년이었던 그는 독집 앨범으로 1집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가수 경력도 갖게 되었다. 타이틀곡은 ‘나 여기 왔네’. 포크를 사랑하는 청년의 마음이 담긴 노래였다. 그러나 방송인으로 살아갈 자신감이 부족했던 그는 대학 졸업 후 전공을 살려 1981년부터 건축 기사로 일하기도 했다.


실패 끝에 올라선 1990년대 최고의 MC

하지만 방송인으로서의 기질은 어쩔 수 없었던 걸까? 1986년 임백천은 KBS ‘광장 마로니에’의 MC를 맡으며 방송가로 복귀했다. 하지만 복귀 과정은 순조롭지 않았다. 방송인으로서의 감각을 잊고 지냈던 탓에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가 나왔고, 프로그램은 결국 6개월 만에 폐지됐다.

방황하던 그때 그를 붙든 것은 노래였다. 노래가 히트하면 다시 방송가에서 일할 수 있으리란 생각에 절치부심한 그는 마침내 1990년 2집 ‘마음에 쓰는 편지’를 발표, 대성공을 거둔다. 비록 그다음에 나온 3집은 실패했지만, 방송인으로서 그는 1990년대를 자신의 시대로 만들었다. KBS2 ‘슈퍼선데이’, ‘좋은나라 운동본부’, ‘세대공감 토요일’, ‘임백천의 라디오 7080’과 MBC ‘가요 큰잔치’, ‘특종TV연예’ 등 당대 인기 있는 프로그램에는 그의 이름이 올라가 있었다. 명실상부 1990년대 종횡무진하며 전성기를 누린 MC였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임백천의 백뮤직’으로 전달하는 진심의 세계

TV와 라디오를 아우르는 방송인으로서 최고의 자리에 올라가 봤던 그는 이제 예순셋의 나이를 맞이한 방송계 고참이 되었다. 그에게 과거와 요즘은 무엇이 다른지 물어봤다.

“라디오는 점점 진행이 어려워져요. 왜 그런가 생각해보니, 라디오는 듣는 사람이 누군지 몰라요. 밤하늘에 활을 쏘는 작업이죠. 맞긴 하는데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겠어요. 그리고 내가 솔직한 이야기를 하는지, 모르면서 이야기를 하는지 청취자들은 며칠만 들어보면 아는 것 같더라고요. 그 와중에 재미도 있어야 하고 감각도 놓치지 않아야 하니까 보통 어려운 게 아닌 것 같아요.”

그러나 라디오는 사람의 진면목을 고스란히 보여주기에 중장년층이 여전히 선호하는 게 아닐까.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이 더 소중함을 아는 사람들이 듣고 있어, 라디오에는 지금 시대에는 찾아보기 힘든 아날로그적 진정성의 매력이 있다.

“사실 라디오는 비대면 시대에 좋은 매체예요. 그리고 최후의 매체입니다. 전쟁이나 재난에 의해 모든 게 블랙아웃이 됐을 때도 라디오는 살아남을 수 있어요. 라디오로 소통할 수도 있고요. 그래서 환태평양지진대, 소위 불의 고리에 속하는 나라들에서는 라디오가 필수 준비물이에요.”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MC는 ‘스타’가 아닌 ‘스태프’

임백천은 장수 MC로서 자신의 원동력을 한마디로 ‘살아남으려는 노력’이라고 표현했다. 편안한 외모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치열함이 그의 내면에는 있었다.

“살아남으려고 노력을 많이 했어요. 지금도 하고 있고요. TV든 라디오든 요즘은 더 심한데, 시즌제 개념이라 몇 달 만에 없어지거나, 좋으면 다시 시작하거나 하죠. 라디오도 6개월이나 1년마다 변화가 있거든요. 진행자나 PD나 작가를 바꾸는 등…. 피를 말리는 생존경쟁이죠. 낮 12시에 땡 하고 시작하는 프로그램만 수십 개예요. 도태되지 않으려면 생산성을 높여야 하죠.”

그는 방송을 PD의 예술이라고 생각한다. 영화처럼 PD가 기획을 하고 그에 맞는 작가, 진행자를 골라서 완성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래서 PD, 작가들과 합이 잘 맞아야 해요. 매일 만나고 밥을 먹고 회의하고 이루어나가는 과정이라. PD들은 다 실력도 다르고 생각도 다르고, 달라요. 작가들도 마찬가지고. 그 사람들과 융화를 잘 해나가는 게 제 능력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는 대중문화계에서 스타란 영화, 연극, 코미디에 나오는 배우와 노래를 부르는 가수이고, 나머지 사람들은 스태프라고 단언한다. 그러니까 MC로서 자신은, 스타가 아닌 스태프다.

“1990년대 초부터 2000년 직전까지 10년 정도가 제 전성기였어요. MC 순위를 조사하면 항상 1등을 했으니까요. 그때도 내가 인기 있다고 생각해본 적은 없어요. 그냥 ‘나는 스태프다’ 생각하고 방송을 했어요. 그래서 PD들이 좋아했어요. 그 사람들 방송하기 좋게 편집점을 잡아주니까. 내가 스태프 마인드이기 때문에 그게 가능했죠. 그런데 요즘 유재석, 신동엽, 김성주 등 후배 MC들을 보면 스타더라고요. 그래도 저는 스태프 마인드로 방송을 마칠 거예요.(웃음)”


*②편으로 내용이 이어집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박정자‧윤석화, 티격태격하면서도 잘 맞는 '찐친'
    박정자‧윤석화, 티격태격하면서도 잘 맞는 '찐친'
  • ‘행복한 장수’의 꽃을 피우기 위하여
    ‘행복한 장수’의 꽃을 피우기 위하여
  • 참스승의 진심, “상처를 희망의 별로 바꾸는 일”
    참스승의 진심, “상처를 희망의 별로 바꾸는 일”
  • [카드뉴스] 정희원 교수 “노후에 연금보다 ‘이것’이 중요하다“
    [카드뉴스] 정희원 교수 “노후에 연금보다 ‘이것’이 중요하다“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 우수기업의 조언 “솔선수범하는 노력 필요”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 우수기업의 조언 “솔선수범하는 노력 필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