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예술문화재단, 15일 비전 발표식 가져… 오는 2월 7일 정식 출시
▲지난 15일 진행된 월드클래스 플랫폼 비전 발표식 모습. (한국예술문화재단)
예체능 분야의 전문가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월드클래스 플랫폼’이 오는 2월 7일 정식 오픈한다. 한국예술문화재단은 지난 15일 삼성동 하다아트홀에서 이 서비스를 소개하는 시연회, 비전 발표식을 진행했다.
월드클래스 플랫폼은 소비자들이는 예체능 전문가들을 보다 쉽게 만날 수 있는 교량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 서비스는 각종 공연이나 모임을 위한 섭외, 취미나 입시를 위한 레슨 등의 목적으로 예술과 체육 분야의 전문가가 필요할 때 적합한 대상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 준다.
팝페라 가수로도 잘 알려진 강마루 한국예술문화재단 이사장은 “월드클래스는 예체능 분야의 전문가와 일반 대중을 연결함으로써 예술문화의 접근성을 높이고, 창의적인 경험을 공유하도록 도울 예정”이라고 소개하고, “예술과 체육 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에도 일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예술문화재단 측은 정식 출시 전까지 고객 선호도와 트렌드를 분석한 후 사용자, 전문가, 플랫폼 간의 신뢰도를 높여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관련 기사
-
- 중년의 글쓰기, “더 잘 쓰고 싶다면, 환경을 구축하자”
- 물건 만드는 제조 공장에 가면 생산 라인이 있다. 공장 노동자가 일하기 싫어도, 혹은 지난밤 술을 많이 마셔 몸 상태가 안 좋아도 생산 라인은 돌아가고 물건은 제조된다. 글쓰기도 마찬가지다. 써야 한다는 의지만으로는 쓰기 어렵다. 우리의 의식은 글 쓰는 일을 귀찮아하고 싫어할 뿐 아니라 두려움까지 느끼기 때문이다. 해결 방법은 튼튼한 생산 라인을 구축하는 것이다. 내 무의식을 글쓰기 최적 환경으로 세팅해놓는 것, 즉 글쓰기 좋은 조건과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첫째, 내 글을 읽어줄 사람을 곁에 둬라. 힘들여 써본들 그걸 보여줄 사람
-
- [포토 에세이] 맑은 일출
- 늘 머물던 구름마저 떠나고 해무도, 아지랑이도 자취를 감춘 아침 더없이 맑고 투명한 하늘 아래 태양은 꿈결 같은 자태로 떠오른다 익숙한 모습 속 낯설게 다가오는 빛 순수함이 낯선 세상처럼 느껴진다 티 없이 맑은 이 순간은 바람이 꾸며낸 비현실의 조각일까
-
- 중년이 마음을 다스리는 법… 글은 어떻게 삶을 치유하는가?
- 나는 무엇을 하며 사는가. 읽고 듣고 생각하고 말하고 쓰면서 산다. 사람들과의 사이에서 감정을 느끼고 그들과 관계하며 산다. 그게 전부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에 글쓰기가 있다. 글쓰기가 내 삶을 이끌어간다. 메모는 나의 일상이다. 나는 습관적으로 메모한다. 일 처리, 시간 활용, 인맥 관리가 메모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메모는 나를 생각하게 한다. 나는 메모하기 위해 책을 읽고 강의를 듣고 사람들을 만난다. 읽고 들으면서 메모할 거리를 얻는다. 메모해두면 말하고 쓰는 게 두렵지 않다. 메모의 의미 메모의 가장 큰 효용은 글을 쓰
-
-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 물이 빠져나가 드러난 질펀한 갯벌 위로 바닷새가 날갯짓을 한다. 세상이 고요하다. 아득한 수평선 저편으로 세상의 소음이 스며든다. 대부도, 무수한 발자국이 찍힌 모래밭 노란 파라솔 아래에서 마음속 깊숙이 넣어두었던 말을 썰물에 실어 보낸다. 한 해의 끄트머리, 겨울 바닷가에서 나를 만난다. 대부도(大阜島)는 시화방조제로 연결되어 육지가 된 섬이다. 멀리서 보면 섬이 아니라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하여 대부도라는 이름을 갖게 된, 이제는 섬 아닌 섬인 셈이다. 대부도로 향하는 길에는 작은 섬과 섬들이 이어진다. 내키는 곳에서 멈추거나
-
-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 겨울이 찾아오는 동안 나무들은 조용히 잎을 내려놓아 나목이 되었다. 흐린 하늘은 커다란 도화지가 되어 무채색 추상화를 품는다. 굵직한 줄기로 힘 있는 선을 긋고, 가는 잔가지로 섬세히 선을 흩뿌린다. 아직 떠나지 못한 고엽 몇 점, 마지막 점을 더해 완성을 이룬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