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개구 평균 1026만원… 용산구 1115만원 최고 광진구 중구 뒤이어
전셋값 고공행진으로 서울 강북권 아파트 전세값도 3.3㎡당 1000만원을 돌파했다.
13일 KB부동산 알리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 강북지역 14개구의 아파트 3.3㎡당 평균 전세가는 1026만원으로 조사됐다. 강남 11개구 아파트 3.3㎡당 평균 전세가는 1306만원, 서울 전체 아파트 3.3㎡당 평균 전셋값은 1178만원이었다.
강북지역 아파트의 3.3㎡당 평균 전세가는 작년 9월까지만 하더라도 988만원으로 1000만원을 하회했지만 지난 10월 처음으로 1000만원을 돌파한 뒤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부동산114 자료를 보면 현재 강북지역에서 3.3㎡당 아파트 평균 전세가가 1000만원을 넘어선 자치구는 △용산구(1115만원) △광진구(1084만원) △중구(1075만원) △성동구(1066만원) △마포구(1036만원) 순이다.
허명 부천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전세품귀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저가·소형주택이 많은 강북권 전셋값도 그동안 크게 올랐다"며 "서울 전체 전셋값 상승세로 집을 구하지 못한 전세민들이 서울 외곽지역으로 밀려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서울 강북과 강남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는 각각 2억4082만원, 3억3804만원이다. 서울 전체로는 평균 아파트 전세가가 2억9368만원으로 3억원대 진입을 눈앞에 뒀다.
관련 뉴스
-
- ISA로 이사했다면, 이제는 인테리어가 필요하다
-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절세 기본 계좌로 꼽힌다. 그러나 계좌 개설만으로 절세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가입 이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절세 효과는 절반이 될 수도, 두 배가 될 수도 있다. ISA를 ‘내 돈의 집’이라 비유해 보면, 계좌 개설은 이사이고, 운용은 인테리어다. 제대로 꾸며야 집이 편안하듯, ISA도 전략적으로 채워야 노후 재정이 안정된다. 인플레이션 시대의 노후 준비, 한국은 ISA, 일본은 NISA 한국이나 일본이나 비슷한 상황이다. 일본에 근무하는 지인은 은행과 증권회사에서 자주 전화를 받는다. 대개
-
- [국민연금 백문백답] ④생년월일 바뀌면 국민연금 달라져…공단 신고 필수
-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국가가 운영하는 대표 사회보험 제도다.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에 대해 ‘국가가 최종 지급을 보장하는 제도로 국가가 존속하는 한 반드시 연금을 지급한다’고 안내한다. 노후 자금의 기본이자 토대인만큼 는 ‘국민연금 백문백답’을 통해 국민연금의 모든 것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가장 효율적인 연금 활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고령층 세대에서는 출생신고를 늦게 하거나 부정확하게 기재해 실제 나이와 주민등록상 나이가 다른 경우가 적지 않다. “실은 0000년에 태어났는데, 부모님이 출생신고를 늦게 해 실제
-
- ISA로 이사하셨나요? 은퇴자를 위한 절세 끝판왕
- 은퇴자 또는 은퇴를 앞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산을 불리면서 세금을 줄일 수 있는 계좌를 원한다. 자금 운용 기간에 따라 비과세 혜택이 큰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ndividual Savings Account)는 기본, 여기에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까지 더해지면 더욱 이상적이다. 7월 31일 발표된 2025 세제개편안에 ISA 혜택 확대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만능 절세 통장으로서의 입지는 여전히 견고하다. 아직 ISA가 없다면 계좌개설부터, 있다면 의무가입기간 종료 시점이 언제인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ISA,
-
- 국세청을 둘러싼 소문들…"개인 계좌 거래를 본다고?"
- 국세청이 1일부터 인공지능(AI)을 고도화해 개인 간 계좌 이체도 감시한다는 소문이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와 동영상 등을 통해 퍼지고 있다. 소문의 배경에는 최근 취임한 임광현 국세청장이 국회 인사청문회와 취임사 등에서 국세 행정 모든 영역에서 AI 대전환을 이루겠다는 발언이 왜곡된 것으로 보인다. 국세청은 8월부터 개인 소액 거래를 감시하기 위해 새롭게 가동하는 시스템은 없다고 밝혔다. 기본적으로 탈세 의혹이 없으면, 근거 없이 개인 거래를 실시간으로 들여다볼 수 없다. 고액현금거래보고는 2006년부터 이미 시행 중 일반 시민
-
- 국민연금 더 많이 받으려면?
- 정년 연장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정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직하는 사례는 여전히 많다. 만 60세까지인 국민연금 의무 가입 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다 보니 퇴직 후에도 연금 보험료를 계속 납부할지, 낸다면 얼마를 내야 할지 고민이 깊어진다. 오래 가입할수록 받을 연금은 많아지지만, 퇴직 후라 지출 금액도 꼼꼼히 관리해야 하는 게 현실이다. 퇴직 후 국민연금 수령액(노령연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오래 낼수록 더 많이 받는다 만 60세 이전에 조기 퇴직하면 국민연금 지역가입자로 전환된다. 직장에 근무할 때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