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개구 평균 1026만원… 용산구 1115만원 최고 광진구 중구 뒤이어
전셋값 고공행진으로 서울 강북권 아파트 전세값도 3.3㎡당 1000만원을 돌파했다.
13일 KB부동산 알리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 강북지역 14개구의 아파트 3.3㎡당 평균 전세가는 1026만원으로 조사됐다. 강남 11개구 아파트 3.3㎡당 평균 전세가는 1306만원, 서울 전체 아파트 3.3㎡당 평균 전셋값은 1178만원이었다.
강북지역 아파트의 3.3㎡당 평균 전세가는 작년 9월까지만 하더라도 988만원으로 1000만원을 하회했지만 지난 10월 처음으로 1000만원을 돌파한 뒤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부동산114 자료를 보면 현재 강북지역에서 3.3㎡당 아파트 평균 전세가가 1000만원을 넘어선 자치구는 △용산구(1115만원) △광진구(1084만원) △중구(1075만원) △성동구(1066만원) △마포구(1036만원) 순이다.
허명 부천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전세품귀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저가·소형주택이 많은 강북권 전셋값도 그동안 크게 올랐다"며 "서울 전체 전셋값 상승세로 집을 구하지 못한 전세민들이 서울 외곽지역으로 밀려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서울 강북과 강남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는 각각 2억4082만원, 3억3804만원이다. 서울 전체로는 평균 아파트 전세가가 2억9368만원으로 3억원대 진입을 눈앞에 뒀다.
관련 뉴스
-
- [주택연금 백문백답]⑨ 의료·생활비로 자금인출 가능…주택구입은 'No'
-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 빈곤 문제는 사회적 화두다. 주택연금은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로 꼽힌다. 고령자가 자신이 소유한 주택을 담보로 제공하고, 해당 주택에 계속 살면서 평생 동안 매월 연금을 받으실 수 있는 제도다. 브라보마이라이프는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의 ‘주택연금 백문백답(2025년 4월판)’을 토대로 총 12회에 걸쳐 독자들에게 생활 속 주택연금 활용법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주택연금에 가입하면 일정 한도 내에서 자금을 인출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도박, 투기 등 사행성은 물론 주
-
- 농협금융, 시니어 브랜드 출시 준비…‘고객전략 신속대응 TF’ 가동
- NH농협금융지주가 시니어 고객을 위한 전용 브랜드 출시를 준비하는 등 고령층 맞춤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농협금융은 17일 서울 서대문구 소재 본사 대회의실에서 이찬우 회장 주재로 ‘2025년 제2차 농협금융 고객전략협의회’를 열었다고 20일 밝혔다. 농협금융은 △시니어 브랜드 출시 △퇴직연금을 비롯한 리테일사업 경쟁력 강화 △고객 생애주기별 상품 라인업 보강을 위해 지주와 자회사가 공동으로 ‘고객전략 신속대응 TF’를 구성해 가동 중이다. 시니어 브랜드는 연내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농협금융은 △고객신
-
- KB국민은행 퇴직연금 자산관리 적립금 50조 달성
- KB국민은행이 전체 퇴직연금사업자 중 최초로 퇴직연금 자산 적립금 50조 원을 달성했다. 이 과정에서 AI와 직원이 함께 포트폴리오를 추천하는 ‘케이봇 쌤’의 역할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KB국민은행은 퇴직연금 자산관리 기준 적립금이 50조 원을 달성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9월 45조 원을 기록한 이후 10개월 만에 5조 원이 추가로 늘어난 것이다. 은행 측은 “고객 중심의 퇴직연금 상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온 결과”라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은 고객이 직접 가입하고 운용하는 확정기여형(DC)·IRP 적립금 규모
-
- [주택연금 백문백답] ⑧종신·확정기간·대출상환 지급방식 유형 ‘다양’
-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 빈곤 문제는 사회적 화두다. 주택연금은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로 꼽힌다. 고령자가 자신이 소유한 주택을 담보로 제공하고, 해당 주택에 계속 살면서 평생 동안 매월 연금을 받으실 수 있는 제도다. 브라보마이라이프는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의 ‘주택연금 백문백답(2025년 4월판)’을 토대로 총 12회에 걸쳐 독자들에게 생활 속 주택연금 활용법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주택연금은 고령층의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연금을 지급하고 있다. 주택연금 지급방식으로는
-
- [주택연금 백문백답] ⑦ 집값·물가 변해도 연금액 ‘그대로’
-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 빈곤 문제는 사회적 화두다. 주택연금은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로 꼽힌다. 고령자가 자신이 소유한 주택을 담보로 제공하고, 해당 주택에 계속 살면서 평생 동안 매월 연금을 받으실 수 있는 제도다. 브라보마이라이프는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의 ‘주택연금 백문백답(2025년 4월판)’을 토대로 총 12회에 걸쳐 독자들에게 생활 속 주택연금 활용법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주택연금에 가입한 이후 매월 받는 연금 수령액은 집값이나 물가 변동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가입 시점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