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단체 하이패밀리 '유언의 날' 제정을 위한 발기인 대회
기독교단체 하이패밀리가 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유언의 날 제정을 위한 발기인 대회를 가졌다. 이들은 매년 4월1일을 죽음에 대해 성찰하는 유언의 날로 정하자고 제안했다.
▲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유언의 날 제정 발기인 대회'에 참석한 발기인 대표. 사진=연합뉴스
이 자리에 발기인 대표로 참석한 손봉호 서울대 명예교수는 기조발언을 통해 “한국 사회의 갈등이 터키 다음으로 갈등이 심하다고 한다. 얼마 전1인당 국민소득이 2만6000달러라는 보도가 나왔지만 국민의 행복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32등이라고 한다”며 “경쟁이 심하고 욕심을 부리기 때문이다. 경쟁은 승리자만 행복하고 모두가 불행한 것이 아닌가. 우리가 다 죽는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손 교수는 이어 “유언장은 우리가 죽음을 생각하게 하는 좋은 방식이 아닌가 생각한다. 우리사회를 좀더 성숙하게 만들 것이다. 죽는 것은 너무나 분명한 사실인데. 이를 부인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설명했다.
유언의 날 제정 발기인대표로는 손 명예교수를 비롯해 김상민 새누리당 의원, 김용호 법무법인 로고스 대표변호사, 전세일 차병원 명예교수 등 사회 각계각층이 참여했다.
하이패밀리는 유언의 날 지정을 통해 장례문화를 개선해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나눔문화 확산 운동 등 캠페인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관련 뉴스
-
- 유언장에 없는 비트코인…디지털 유산 관리 어떻게 해야 하나
- 스마트폰, 인터넷뿐만 아니라 가상자산까지 일상생활에서 보편화하면서 고령층이 남긴 ‘디지털 유산’ 관리가 사회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1일 이령화 하나금융연구소 수석연구원이 작성한 ‘초고령 사회 진입과 디지털 유산’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디지털 유산 시장 규모는 작년 기준 130억7000만 달러(약 18조2156억 원)수준이며, 향후 수요가 늘어나면서 10년간 연평균 15.6%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시장조사기관인 프레세덴스 리서치(Precedence Research) 자료를 바탕으로 한 수치로 해당 기관
-
- 처음 써보는 AI, 어떻게 시작할까?
- AI를 활용하는 시대가 열렸다. 누군가는 손주에게 들려줄 동화를 만들고, 누군가는 일기를 그림으로 남긴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생성형 AI’가 있다. AI를 경험한 적 없는 우리 세대에게 낯섦이 하나의 장벽이 되기도 하지만, 그 작은 허들을 넘어서면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누구나 AI를 일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쉬운 사용법을 소개한다. Part 1. AI 용어부터 차근차근 Q AI란 무엇인가요? A AI는 ‘Artificial Intelligence’의 줄임말로 ‘인공지능’을 뜻한다. 사람처럼 생각하고 판단하는 ‘지능’을 컴퓨
-
- 은퇴 후 겪는 외로움, 기억해야 할 ‘던바의 법칙’
- 은퇴 후 사회적 네트워크가 크게 줄면서 외로움, 고립감을 느낀다면 인맥의 ‘숫자’가 아닌 ‘진짜 친구’ 의미를 강조하는 ‘던바의 법칙’을 유념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강은영 NH투자증권 퇴직연금컨설팅본부100세시대연구소 연구위원은 최근 ‘THE100리포트’에 ‘제2의 인생, 새로운 관계 맺기 - 은퇴 후 대인관계’ 기고문을 통해 “2023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의 11.3%가 우울증상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은퇴 후 대인관계가 줄어들수록 고독감을 느끼는 고령자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강 연구위원은 고
-
- [챗GPT 브리핑] 기업 10곳 중 6곳 “정년 연장보다는 재고용”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기업 10곳 중 6곳 “정년 연장보다는 재고용”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전국 30인 이상 기업 1136곳 조사에서 61%가 정년 60세 이후 고용 방식으로 ‘재고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연장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32.7%에 그쳤다. 재고용 임금 수준은 퇴직 전의 70~80%가 적정하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으며, 대상자도 선별적으로 채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기
-
- [Trend&Bravo] 저속노화, 누가 더 관심 가질까? 세대별 순위
- 롯데멤버스 리서치 플랫폼 ‘라임(Lime)’이 지난 전국 2060대 남녀 약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 연령대의 73.2%가 ‘저속노화’ 개념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별로는 30대가 81.6%로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였고, 이어 40대(74.6%), 20대(72.5%), 60대(69.3%), 50대(68.1%) 순으로 집계됐다. 이는 저속노화가 특정 세대의 관심사에 그치지 않고 전 세대적 키워드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세대별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 저속노화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