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에서 두 시간 정도면 담양읍에 갈 수 있다. 담양에는 대나무 숲이 유명하다 해서 이번 여행 코스에 넣었다. 순천만을 돌아보느라 피곤했지만 일단 숙소를 옮겨야 해서 담양으로 향했다. 그런데 역시 방을 구하기 어려웠다. 큰 길에서 보이는 펜션, 모텔 등에도 빈방이 없었다. 동네 주민에게 민박집을 찾으니 전남도립대학교 앞에 있는 한 집을 소개하면서 방 두 개에 8만원은 받아야 한다고 했다. 혼자 잘 거라 큰 방이 필요 없다고 하니 더 찾아보라고 했다. 비싸긴 했지만 날도 어둡고 다리도 피곤한데다 배까지 고파 더 찾아볼 기력이 없어 그냥 묵기로 했다. 아래층에 음식점을 겸하고 있어 식사까지 해결하면 좋을 것 같았다. 그런데 저녁 6시 반인데 음식점 불이 꺼져 있었다. 담양은 그 시간이면 다들 문을 닫는다는 것이었다. 과연 그랬다. 오면서 봤던 다른 음식점들도 불이 꺼져 있었다. 변두리라서 그런가보다 했는데 담양 중심지라고 했다.
겨우 대통밥 정식을 파는 음식점에 들러 저녁식사를 했다. 반찬 종류는 많은데 서울의 한정식 정도였다. 밥값은 1만3천원을 받았다. 막걸리를 주문하니 다 떨어져서 없다고 했다. 연휴에는 음식점들도 좀 늦게까지 문을 열고 막걸리도 준비해놨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물었더니 반응이 없었다. 서울처럼 경쟁이 심하지 않은 것 같았다. 마치 오늘까지만 장사하고 그만둘 음식점처럼 보였다. 막걸리 대신 약주를 주문했더니 1만원이나 받았다.
다음날 아침 일찍 일어났다. 관방제림으로 갔다. 대나무 정원인 죽녹원은 아침 9시에 문을 열기 때문에 그전 두어 시간을 다른 데서 보내야 했기 때문이다. 담양읍으로 들어오는 다리를 다시 건너 초입부터 개울을 따라 걷는 길이었다. 조선시대에 홍수가 자주 나자 제방을 쌓고 거기에 나무를 심은 것이다. 관에서 주도해 방제를 위해 만든 숲이란 뜻이다. 수백 년 된 느티나무들이 10m 가격으로 서 있었다.
한 그루 한 그루가 보호수 지정을 받을 만큼 컸다. 나무 밑에는 쉼터가 줄지어 마련되어 있었는데 그 그늘 아래에서 한여름을 보내도 좋을 것 같았다. 그렇게 500m쯤 가자 차도가 나오고 메타세쿼이아 길이 나왔다. 좌우로 이어진 그 길 옆으로는 메타 프로방스라는 유럽식 마을까지 조성되어 있어 마치 딴 나라에 온 것 같은 분위기였다. 주변 상가 건물들도 모두 예뻤다. 명소로 충분히 사람들을 불러 모을 만했다. 서울 주변이었다면 관괭객들로 몸살을 앓을 정도로 예쁜 동네였다.
메타세쿼이아 길은 1972년에 조성된 약 8km에 달하는 가로수 길이다. 원래는 차가 다니는 아스팔트 길이었는데 아스팔트를 걷어내고 사람들이 걸어다니는 길로 만들었다. 메타세쿼이아는 아직 수령이 40년 정도밖에 안 되어 서울의 아파트 주변에 심은 메타세쿼이아와 별다른 차이는 없다. 다만 양쪽으로 심어져 있어 그 사이로 걷는 특별한 맛이 다르다.
담양의 백미인 죽녹원에 갔을 때는 장마철처럼 비가 쏟아져 우산이 소용없을 만큼 젖었다. 그래도 울창한 대나무 숲은 볼 만했다. 2003년부터 대나무 숲을 가꾸다 보니 어느 새 이 지방의 명물이 되었다고 한다. 죽녹원 때문인지 동네에는 대나무로 만든 음식, 가구, 기념품들이 많았다. 그러나 대나무로 만든 공예품들은 중국제처럼 보이기도 했다. 죽녹원의 대나무는 그리 굵지 않기 때문이다. 그나마 굵은 대나무에는 칼로 자신의 이름을 새겨 넣는 몰지각한 관광객들도 있다고 한다. 담양은 언젠가 가본 이탈리아의 트레비소(Treviso)를 연상케 하는 마을이다. 밀라노 근방의 소도시인 트레비소는 인구도 많지 않고 동네 한가운데 개울이 흐르고 가로수가 조성되어 있는 아름다운 도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