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삶의 편리성과 경제적 가치를 자신도 모르게 따지며 산다. 개미가 가장 짧은 길을 찾아서 행군하듯 말이다. 주거는 우리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인간 삶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를 ‘의식주’라 했다. 입고, 먹고, 사는 집이 삶의 필수요소인 것이다. 그런데 의식주의 형태는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해왔다. 땅콩 주택도 이런 변화 속에서 등장한 새로운 주거 트렌트다. 현재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 유행하고 있으며 목조 주택으로서 친환경적이면서도 건축시간과 건축비가 절감되고 단열이 잘되는 게 매력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 건축가가 이 주택의 유용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짓기 시작했다. 적은 건축비로 지은 전원주택에서 살고 싶어 하는 세대를 겨냥한 것이다. 2011년부터 매스컴을 통해 알려진 땅콩 주택은 현재 전국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아토피 피부질환을 앓고 있는 자녀를 둔 젊은 세대들이 선호한다.
인간은 한 줌의 흙으로 빚었다고 말한다. 그래서인지 흙을 가까이 하려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 주거에서도 흙과 가까워질 수 있는 공간을 바라게 된다. 하지만 도심의 주거는 온통 콘크리트에 둘러싸여 있다. 시멘트나 아스팔트 포장이 아닌 길이 없을 정도다. 자연의 일부인 인간에게는 매우 삭막한 환경이라 할 수 있다. 오죽하면 콘크리트 감옥 속에서 산다는 말도 있다. 편리성과 화려함만을 추구하는 환경이 가져온 피폐다. 주말이면 도심 주변의 온 산들이 인산인해가 되는 이유다. 도시인들은 유난히 흙을 그리워한다. 인간 본성의 발로라 할 수 있다. 특히 나이가 든 사람들은 더욱 흙을 그리워한다.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거나 남은 인생만큼은 전원주택에 살고 싶어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우선 건축 비용이 만만치 않다. 그러나 땅콩 주택은 건축비를 적게 들여서 지을 수 있다.
한 필지 위에 두 채의 집이 들어서게 되는 형태여서 건축비가 적게 든다. 대문이나 주차장도 하나이고, 정원도 하나라서 넓다. 이렇게 지으니 공사기간도 그만큼 단축된다. 또한 두 집이 한 건물에 있어 이웃끼리 정을 나누며 살 수 있다. 이웃사촌이 자동으로 생기는 셈이다. 집을 비울 때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여행을 간다든지 애완견을 키울 경우 옆집에 부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집 안에 가스 불을 켜놓고 나왔는지 헷갈려서 걱정이 될 경우에도 다시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도 대처할 수 있다. 옆집에서 봐주면 해결이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런 편리함과 장점들도 많지만 유의해야 할 점들도 많다. 땅콩 주택에 살 때는 이웃집과의 관계가 좋아야 한다. 한 필지 위에 하나의 건물로 지어지기 때문에 소유권도 공동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소유권 행사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 집을 팔 때나 수리할 경우에도 이웃집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최근에는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각각의 소유권으로 집을 짓고 있다.
최근의 모든 주택이 실수용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지만, 땅콩 주택은 특히 부동산 투자의 개념이 아닌 주거의 질을 높이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낯선 사람이 아닌 가족이나 친인척 또는 절친한 친구 등과 같이 평소 편안하게 잘 어울리는 사람들이 살기에 적합하다. 특별히 유의해야 할 점은 양쪽 집 부인의 성격이나 삶의 가치관 등이 서로 잘 어울려야 한다. 서로 생각하는 게 너무 다르면 가까운 공간에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삶이 피곤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땅콩 주택, 노후 주거의 형태로 생각해 볼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