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세대 이야기-설날 음식] 경상북도 명절 음식, 안동식혜

기사입력 2017-01-19 10:49 기사수정 2017-01-19 10:49

필자의 고향인 경상북도 영주의 설날 음식은 떡국이 으뜸이지만 함께 내놓는 향토 음식이 있다. 바로 붉은 매운맛의 식혜다. 일명 안동식혜라고 하는데 영주와 안동은 이웃한 고을이기에 음식도 비슷하다. 안동식혜는 경상북도 북부지방인 안동, 영주 봉화 지역만의 향토 음식으로 다른 지역에는 없다.

안동식혜는 일반 식혜 만드는 과정에서 추가로 붉은 고춧가루 물과 생강을 다져넣고 무를 잘게 채 썰어 발효시켜 만든다. 고추의 매운맛과 생강의 맵고 싸한 맛을 순화시켜주는 것은 무엇보다 살얼음이 살짝 얼어 있는 차가움이다. 요즘은 냉장고가 있어서 사시사철 안동식혜를 먹을 수 있지만 살얼음이 얼어 있어야 하는 특성 때문에 냉장고가 없었던 시절 안동식혜는 대표적인 설날 음식이었다.

필자 고향에서는 설날이면 나이 드신 동네 어른들에게 세배를 다녔다. 세배객은 설날을 기점으로 2~3일에 집중되었지만 드물게는 정월대보름까지 이어졌다. 어른을 모시고 있는 자식들 입장에서는 찾아오는 손님 접대가 간단한 일이 아니다. 만만한 것이 붉은 안동식혜여서 요즘의 커피나 홍차처럼 손님상에 내놓았다.

같은 음식이라도 집안 가풍과 가족들의 식성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만들어진다. 안동식혜도 집집마다 차이가 있었다. 집안 형편 때문이었다. 부자들은 찹쌀 식혜에 고명으로 잣을 넣었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찹쌀 대신 차조를 쓰고 잣 같은 고급 고명은 넣지 못했다. 하지만 단맛을 내는 엿기름과 고춧가루와 무는 필수 재료였다.

요즘 시판하는 안동식혜는 설탕을 추가로 넣어 엿기름의 단맛만 이용하던 전통식혜보다 너무 달다. 전통 안동식혜는 설탕을 전혀 쓰지 않는다. 엿기름의 단맛은 미각을 유혹하고 고추의 매운맛과 생강 특유의 톡 쏘는 맛은 입안을 화끈하게 한다. 씹으면 아삭아삭 씹히는 무와 뽀드득 부서지는 살얼음 조각들은 매운맛을 상쇄시켜주고 뱃속에 들어간 뒤에는 든든함을 느끼게 해줬다.

안동식혜를 어려서부터 먹어오던 사람은 거부감이 없지만 처음 접하는 사람은 거부감을 느끼기도 한다. 전라도에서 시집온 형수는 안동식혜를 처음 봤을 때 누가 음식을 토해놓은 것 같았다고 말했다. 아마 고추에서 우러난 붉은 색과 채 썰어서 넣은 무 조각들에서 그런 느낌을 받았던 것 같다. 안동식혜가 전국적인 음식이 되지 못한 이유에는 처음 봤을 때의 비주얼이 비호감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점도 있다. 또한 매운맛, 생강의 맵고 알싸한 맛이 처음 먹는 사람의 입맛에는 거부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자주 먹다 보면 푹 삭힌 홍어를 찾듯 중독된다.

최근 들어 안동식혜가 건강음식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캡사이신은 심폐기능 강화와 혈소판 응집작용의 억제 기능이 있고, 생강의 진저롤 성분은 체온을 올려 모세혈관을 확장하고 면역력을 증강시켜준다. 또 무에는 비타민 C와 항산화 기능이 있으며 식이섬유도 풍부하다. 안동식혜는 소화도 잘 되지만 무엇보다 고혈압 완화와 면역력 증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 [카드뉴스] 벽 앞에서 좌절하는 어른을 위한 책
    [카드뉴스] 벽 앞에서 좌절하는 어른을 위한 책
  • “차량에 운전수 없으면 불안” 자율주행 미래 키워드는 ‘사용자’
    “차량에 운전수 없으면 불안” 자율주행 미래 키워드는 ‘사용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