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으로 어떤 물건을 사면 ‘물질재(財)’가 되고 경험을 사면 ‘경험재(財)’가 된다고 한다. 세금이나 공과금처럼 강제로 내야 하는 돈도 있지만, 사고 싶은 물건을 샀을 때나 자신을 위해 쓰는 돈은 쓰는 재미가 확실히 있다.
신혼 때는 숟가락과 젓가락 등 살림도구를 하나하나 장만하는 재미가 있었다. 중동 건설현장에 나가 있을 때도 귀국할 때면 전기다리미, 믹서 등 요리 기구를 사와 아내가 기뻐하는 모습을 보며 흐뭇해했다. 그리고 그다음으로 큰돈이 들어가는 가전제품, 마지막으로는 평수 넓은 아파트로 차츰 옮겨가면서 물질재를 소유하는 행복감을 느꼈다.
그러다가 어느 나이가 되면 물질재가 시들해진다. ‘경제의 평준화’가 되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차이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좀 늦게 가질 뿐이지 결국은 모두 가진 자의 대열에 서게 되니 물질재에 대한 차별화는 별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다. 또 물질재가 부질없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물론 지금도 새 옷을 구입하거나 이런저런 잡동사니를 사서 집에 왔을 때 물질재의 기쁨을 맛보기도 한다. 물질재의 특징은 형태가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 버리기 전에는 그 자리에 그냥 있다는 점이 흐뭇하다. 물론 너무 많은 물질재를 갖다 보면 정리정돈에 애를 먹는다. 버려야 하는데 버리자니 아깝고 안 버리면 짐으로 안고 살아야 하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돈의 쓰임새가 물질재보다는 경험재 쪽으로 변하는 것 같다. 좋은 레스토랑에서 특별한 음식을 먹고, 여행을 다녀오고, 발레나 음악회를 감상하는 것이다. 경험재는 물질재처럼 눈에 보이는 형태가 아니다. 그러나 눈으로 보고 혀로 맛보고 머릿속, 가슴속에 특별한 경험을 축적하는 즐거움이 있다.
‘아껴 쓴다’는 개념은 물질재와 연관이 깊다. 사고 싶은 데 돈을 아끼기 위해 참아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험재는 대체로 단가가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돈을 쓴다. 경험재를 구입할 때 본인이 입 다물고 있으면 구입 사실을 아무도 모른다. 물론 남들에게 자랑하고 싶어서 음악회에 가면 무대를 촬영하고, 여행지에 간 사진을 올리고 싶은 욕망이 생기기도 한다.
사람이 죽을 때 가져갈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돈을 포함한 모든 물질재를 말하는 것이다. 죽음을 앞둔 사람에게 마지막으로 남는 것은 경험재들뿐이다. 그래서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행복했던 시간들을 생각하면서 입가에 미소를 지으며 죽는 사람이 가장 행복하다고 한다.
좋은 음식이나 좋은 여행지 못지않게 중요한 경험재가 바로 사람이다. 물론 돈과 관계는 없지만, 그동안 좋은 관계를 맺어온 사람들이 바로 경험재인 것이다. 그 사람들과의 정은 그대로 가슴속에 남아 저세상 갈 때 가지고 간다. 그래서 결혼식 같은 경사에는 못 가더라도 장례식 같은 애사에는 빠지지 말고 꼭 가라는 말이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