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이 자리가 낙원 전통시장이 있던 자리이다. 서울시에서는 종로3가 사거리에서 안국동으로 도로를 내고 싶은데 수많은 시장 상인들의 삶터이니 철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만들어낸 아이디어가 도로도 건물 1층으로 통과하게 내고 시장은 낙원상가를 지어 지하로 몰아넣은 것이다. 그래서 낙원상가 지하는 전통시장에서 파는 생선가게, 정육점, 옷 가게 등 도심 속의 전통시장 모습을 그대로 하고 있다. 지상에 안 보이기 때문에 인근 통인시장처럼 세인의 관심을 못 받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낙원상가는 나름대로 도시의 명물로 거듭났다. 1960년대에 주상 복합건물로 지어진 건물로 청계천의 세운 상가, 홍제동의 유진상가처럼 그 당시에는 알아주는 대형 건물이었다. 세운 상가처럼 철거 위기까지 처했던 이 건물이 지금은 미래 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낙원상가 건물은 15층 건물로 6층부터 15층까지는 낙원 아파트이다. 5층이 사무실이고 4층이 옛 허리우드 극장이 있던 자리이다. 지금은 ‘젊은 극장’이라 하여 ‘낭만 극장’과 ‘실버 영화관으로 변모했다, 입장료 3천원으로 고전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오전 10시 30분부터 상영하여 마지막 상영이 오후 6시 무렵이다. 그전에는 장안의 화제를 불러일으킨 대형 캬바레도 있었다.
악기상가가 된 것도 흥미롭다. 건립 당시 마침 종로 일대 정비 사업으로 악기 상들을 철거했는데 그때 철거된 가게들이 낙원상가로 모여들었다고 한다. 그 경험으로 서울시가 황학동 풍물시장을 신설동 한 건물로 몰아넣은 것이나, 청계천 공구상들을 장지동 가든 파이브로 유도한 것처럼 비슷한 업종은 한 건물로 몰아넣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70년대에는 포크송 시대였다. 젊은이라면 누구나 통기타 하나쯤은 만질 줄 알던 시대라서 기타가 잘 팔렸다고 한다. 지금도 초급용 통기타는 10만 원 선이면 살 수 있다. 고가의 기타들은 몇 벡만 원 한다. 그 당시부터 교회 밴드도 급속도로 성장하여 악기 수요가 많았다. 1980년대는 통금이 해제되고 아시안게임, 88올림픽 특수로 흥청망청하던 시대였다. 인근에 요정이 많아 라이브 밴드의 수요가 폭증했다고 한다. 그 덕분에 악기는 물론 낙원상가는 음악인의 동네로 밴드 공급 역할도 했다고 한다. 90년대에는 노래방이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라이브 밴드의 수요가 줄어들고 금융위기까지 덮쳐 낙원상가도 위기에 처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세시봉 열풍, 아이돌 인기 등에 힘입어 다시 복고풍이 불면서 안정적인 위치에 오게 되었다고 한다.
최근 건물을 리모델링하면서 가게들이 환하게 정비되고 화장실도 깨끗해졌다. 주변 탑골 공원 주변은 허름하고 복잡하지만, 악기 상가는 쾌적한 분위기라서 돌아볼 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