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활동을 하다보면 난다 긴다 하는 사람을 많이 만난다. 명함을 보면 이력들이 화려하다. 한 장의 명함에 이력을 다 써 넣기가 부족해 한 장처럼 접은 두 장짜리 명함을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모임에 가보면 이런 사람이 많다. 한때 잘나갈 때 TV에서 본 사람도 있고 이런저런 행사 때 한가락씩 해서 얼굴이 많이 알려져 있는 사람도 있다. 이들 중 관직에 있는 사람들이 가장 대우를 받는다. 그러나 행사 때 보면 내빈 소개가 끝나자마자 이들은 슬쩍 꼬리를 감춘다. 얼굴 도장 찍고 또 다른 행사장으로 달려가는 것이다. 이처럼 자기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도 있고 재주가 많아 남 앞에 나서길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또 남이 알아주지 않으면 스스로 나서는 사람도 있다.
이번에 한 지역 행사에서 나를 포함해 네 명이 같이 시 낭송을 했다. 나도 새 얼굴이었고 같이 지명된 세 사람도 모임에서 그리 많이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이었다. 시 낭송은 전문가도 많고 하겠다는 사람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원도 하지 않았는데 우리 네 명이 선발된 것이다. 의아했다. 애써 짐작을 해보면 모임에서 우리가 젊은 편이니 재롱잔치 차원에서 무대에 올려보자고 누가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시 암송은 각자 해도 될 것 같았는데 굳이 만나서 연습을 하자고 했다. 연말이라 일정이 바빴던 터라 입장이 난처했다. 혼자 연습한 다음에는 같이 앉아서 맞춰보고, 서서도 해보고, 무대 옷 입고도 해보고, 무대에 올라서도 해봐야 실수가 없다는 설명이었다. 물론 혼자서 하는 낭송도 있고 합송하는 시간도 있다. 혼자서 하는 낭송은 누구도 도와줄 수 없으니 열심히 암송하면 될 일이고 합송은 입을 맞추면 된다. 합송 때 입이 안 맞는 것은 상대의 입술을 보지 않고 혼자 감정에 취해 내뱉기 때문이다. 자신이 틀렸다는 생각이 들거나 낭송이 좀 늦으면 다른 사람들 입에 맞추면 되는데 뒤늦게라도 꼭 발음을 하는 사람이 있다.
옛날 같으면 이런 상황이 되면 짜증을 냈을 게 분명하다. 당사자에게 면박도 줬을 것이다. 시 낭송은 그야말로 행사 프로그램 중 하나일 뿐이다. 발음이 틀려도 듣는 사람은 거의 모른다. 낭송자는 긴장을 하지만, 듣는 사람은 잡담을 해가며 들을 수도 있고, 심지어 아예 관심 없어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도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있다. 그 모습이 아름답다. 실수를 했기 때문에 그 사람이 인간적으로 더 풋풋해 보이기도 한다. 모임 회장단에서 왜 우리 같은 초짜들을 무대에 올렸는지 이해가 됐다. 너무 세련되게 잘하는 사람, 잘난 척하는 사람들보다 우리 같은 초짜들의 어설픔이 더 보고 싶었던 것이다.
자기소개할 때 정해진 시간을 초과해가며 자신을 자랑하느라 열을 올리는 사람보다 “나는 할 줄 아는 게 아무것도 없어요”라고 하는 사람이 더 순수하고 친근하게 와 닿는다. 평범함의 미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