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여행하면서 부러운 것이 있었다. 아기자기한 골목마다 빼곡하게 늘어선 작은 점방들이다. 탁자가 몇 개 없는 식당인데도 조상들이 몇 대째 써온 낡은 노트를 자랑한다. 매일의 실패를 기록하며 나름의 노하우를 이어온 점방들이다.
작은 우동 가게라도 최고의 맛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가업을 이어가는 일본인들은 우리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대기업에서 일하던 사람도 가업으로 해오던 작은 가게를 운영할 사람이 없으면 부모 밑으로 들어가 일을 배운다. 몇백 년째 운영하는 카스텔라 집이 그랬고 아이스크림 집이 그랬고 과자를 굽는 집이 그랬다. 그래서 그들의 낡은 점방들은 매력과 개성이 넘친다.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거리를 걷다 보면 분점이다, 프랜차이즈다 해서 획일화된 음식점이 즐비하다. 똑같은 브랜드의 간판이 온통 거리를 채우고 있다. 주인이 있지만 주인이 없기도 한 점포들이다. 이런 점포들에서는 개성이 도무지 느껴지지 않는다. 특별한 메뉴를 맛볼 수도 없고 주인의 취향을 드러낸 인테리어도 없다. 대부분 프랜차이즈 회장님 가게에서 일하는 사람들이니 그럴 수밖에 없다.
점점 대형화하는 규모도 못마땅하다. 특히 요즘 인사동 거리는 옛날 모습이 아니다. 지나는 곳마다 저렴하고 저급한 물건들로 가득 쌓여 있다. 시대의 흐름을 간직하고 있던 점포들은 다 밀려나고 인사동에서만 느낄 수 있었던 전통의 자취들도 사라지고 없다. 이제 각국 각지에서 몰려온 관광객들은 어디서든 살 수 있는 물건들 앞에 서 있게 됐다.
우리나라는 반도라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외세의 침략을 많이 받았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식민지화 정책으로 전통 문화들이 말살되어버렸다. 해방이 된 뒤에도 6·25전쟁이 일어나 전 국토가 파괴됐고 그나마 남아 있던 문화재들도 소실됐다. 이후 서양 문물이 쏟아져 들어오고 편리함을 추구하며 사는 동안 전통 문화는 설 자리를 점점 잃어갔다.
우리나라처럼 아파트가 많은 나라가 또 있을까. 기능적인 면에만 초점을 맞춘, 성냥갑으로 표현되는 괴상한 주거 문화다. 우리나라도 이제 먹고살 만큼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이제라도 전통 문화를 이어가는 작은 가게들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청년 창업이 늘고 있다. 그들의 도전정신과 실험정신이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게 한다.
작은 가게가 있는 골목, 개성 넘치는 점포가 몇백 년의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거리가 그립다. 그 옛날의 점방들이 다시 활기를 찾는 날을 고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