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병의 근원이라는 스트레스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심리학자는 ‘남과의 비교 심리’를 첫째로 꼽는다.
광주광역시에 사는 K씨의 경우. 판사생활을 하다가 지방법원장으로 정년퇴직한 후 현재 변호사로 일하고 있다. 그는 근래에 스트레스가 심하다. 사법고시에 합격하지 못해 기자생활을 하다가 정치에 발을 들여놓은 대학 친구가 정부 요직에 들어가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는 걸 보고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한다. 지방법원장을 지냈고 변호사로 일하고 있어서 다른 사람의 눈에는 부러울 것이 없어 보이나 자기보다 공부를 잘하지 못한 친구가 늘그막에 잘나가는 것을 보니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이다. 남과의 비교에서 생겨난 스트레스다.
남과 비교하는 삶이 과연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는 있는 것일까?
직장인을 예로 들어보면 그렇지 못하다는 게 명확해진다. 신입사원으로 들어가서 동기생 중에 누가 먼저 대리, 과장이 되느냐, 다음에는 누가 먼저 부장, 임원이 되느냐 등 동료들과의 비교는 끝없이 이어진다. 결국 대부분이 그 경쟁에서 밀려나고 최후의 승자로 사장이 되면 어떨까? 사업이 잘되는 다른 사장 또는 더 큰 회사의 사장과 비교하게 될 수밖에 없다. 결국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태도를 버리지 않는 한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얘기가 된다.
그런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
심리학자들은 비교의 대상에 남 대신에 자신을 넣으라고 충고한다. 자신이 세운 목표의 달성 여부만을 관심 대상으로 삼으라는 얘기다.
운전면허 시험에서는 등수가 의미 없다. 목표는 합격일 뿐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과 비교할 필요가 없다. 스스로가 추구하는 목표를 충실하게 달성하였는지만 관심사항이 된다.
남을 비교 대상으로 하지 않고 자기가 정한 목표를 관심대상으로 삼게 되면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외에 부수적으로 또 다른 좋은 점을 챙길 수 있다. 내면의 발전과 함께 여유로움도 가질 수 있다. 성실하게 노력한 후에는 잘 된 주변사람을 보고 ‘저 사람은 나보다 더욱 열심히 했겠구먼,’하며 축하해 줄 수 있게 되는 여유로움도 갖추게 된다는 얘기다. 두 말할 필요없이 대인관계도 더 좋아질 수밖에 없다.
남과의 비교에서 생겨나는 스트레스를 벗어날 수 있는 작은 생활의 지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