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감독 최희암, 인생 후반전 3점 슛을 쏘다②

기사입력 2021-06-07 08:00 기사수정 2021-06-09 11:23

[브라보가 만난 사람들]

1990년대 농구대잔치는 한국 농구의 최전성기였다. 당시 뛰어난 실력과 준수한 외모로 유명했던 이상민, 문경은, 서장훈 등은 ‘오빠부대’로 불리는 팬덤을 구축했다. 이들이 소속된 연세대를 농구대잔치의 전설로 만든 이가 바로 감독 최희암(67)이다. 명감독으로 이름을 떨치던 그는 2009년 인천 전자랜드 감독을 끝으로 코트를 떠났다. 이후 경영인으로 변신하여 현재 고려용접봉 부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그를 만나 농구인의 삶과 철학, 그리고 경영인으로서의 변신에 관해 얘기를 나눴다.

*①편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연세대 감독 시절 우승 직후의 모습(최희암 제공)
▲연세대 감독 시절 우승 직후의 모습(최희암 제공)

스카우트와 면접의 차이

그의 말처럼 재목을 고르는 일, 즉 스카우트는 농구에서 중요하다. 팀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으므로. 스카우트할 때는 정성을 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운도 따라줘야 한다.

“스카우트를 매번 성공하진 못해요. 사실 상민이도 우리 라이벌인 고려대로 갈 뻔했어요. 거기가 조건이 더 좋았거든요. 상민이 아버지도 고려대를 권했는데, 상민이가 고려대를 가면 농구를 그만둔다고 선언한 거예요. 그때 큰누나가 상민이 아버지에게 ‘돈은 아빠가 벌어야지. 왜 상민이한테 그래!’ 하면서 한 방 먹였다더군요. 나중에 상민이 아버지로부터 전해 들은 내용이에요. 우린 포기했었는데, 큰누나 덕분에 상민이가 연세대에서 뛸 수 있었죠. 한마디로 운이 좋았어요.”

덧붙여 재목을 고르는 방법을 콘크리트에 비유했다.

“강한 콘크리트를 만들려면 큰 자갈뿐만 아니라 그 사이를 메우는 작은 자갈도 필요해요. 유망주가 아니더라도 성실하고 인성이 괜찮으면 일단 눈여겨봤어요. 10가지를 모두 잘할 수는 없지만, 2~3가지 정도 본인이 잘하는 게 있으면 데려와서 장점을 더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줬어요. 농구는 팀 단위 게임이기 때문에 단체 생활을 위해 자신을 희생할 줄 아는 친구라면 데려오려고 했죠. 실력이 좋아도 통제할 수 없으면 난감하거든요.”

그렇다면 경영인으로서 스카우트는 어떨까? 신입사원 면접 때 어떤 걸 주안점으로 두는지 물어봤는데 의외의 고충을 들었다.

“면접이 참 쉽지 않아요. 농구는 스카우트할 때 정말 오랫동안 살펴봐요. 초중고 시절부터 선수가 참여하는 훈련이나 연습경기를 자주 보고, 실제로 만나 대화도 하면서 오랫동안 검증해요. 일종의 데이터를 모으는 거죠. 반면 면접은 몇 분 만에 사람을 판단해야 하잖아요. 그 자리에 온 이들은 모두 일할 의욕도 있고, 스펙도 어느 정도 비슷해요. 다만 그 스펙이 모두 진짜 실력에서 비롯된 것인지, 우리 회사와 정말로 적합한 인재인지 면접장에서 파악하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직원을 뽑을 때 신중을 많이 기하죠.”

▲최희암 고려용접봉 부회장(브라보 마이 라이프)
▲최희암 고려용접봉 부회장(브라보 마이 라이프)

분업 농구와 경영의 길

농구 감독 시절 그의 장기였던 ‘분업 농구’는 고스란히 경영에도 반영됐다.

“분업 농구의 핵심은 ‘네가 잘하는 것을 해라’였어요. 가드는 가드 역할을, 센터는 센터 역할을 하는 거죠. 다만 포지션과 상관없이 잘하는 게 있으면 하라고 했어요. 예를 들어 센터인데 3점 슛을 잘 쏜다고 하면 그걸 하라고 했어요. 반면 팀의 승리에 방해가 되는 자기만족을 위한 플레이는 금지했어요. 경영도 비슷해요. 저는 직원들한테 ‘유능한 감독이 돼라’고 해요. 이승엽, 양준혁이 있는데 감독이 필드에서 뛰는 건 웃기잖아요. 자신의 권한과 능력으로 힘들면 윗사람에게 보고하라고 해요. 잘할 수 있는 사람한테 일을 맡길 줄 아는 상황 판단력이 중요해요. 분업 농구의 경영 버전인 셈이죠.”

끝으로 좋은 리더십과 앞으로의 계획에 관해 물었다.

“결국 경청과 소통이에요. 농구 감독 시절엔 팀이 이기는 데만 신경 쓰느라 다른 걸 못 보니 코치들이 내게 다른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했어요. 그래야 시야가 넓어지거든요. 또한 코치들이 선수의 컨디션이나 심리 상태를 모두 알 수 있도록 하고, 다 같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했어요. 경영도 마찬가지예요. 저는 회의를 할 때 직원들부터 먼저 말하라고 해요. 제 의견은 나중에 말하죠. 제가 먼저 말하면 다양한 관점을 듣기 어려워요. 현장에서 일어나는 상황이나 정보에 귀 기울이고, 애로사항이 있으면 언제든지 해결해주려고 해요. 언제든 스스럼없이 제게 말할 수 있도록 권위를 내려놓고 직원들에게 다가가려고 노력하죠. 앞으로 미국이나 유럽 쪽에서 회사가 확장성을 갖출 수 있도록 더 힘써야 할 것 같아요. 코로나19로 힘든 상황이지만, 한 팀이 되어 한마음 한뜻으로 지혜롭게 헤쳐나갔으면 좋겠어요.”

그가 농구에 빠진 이유는 ‘단계마다 맛보는 성취욕’ 때문이었다. 코트 청소부터 시작해, 드리블, 백보드 슛, 3점 슛까지 각 단계에서 목표를 성취하는 것이 재미있어서 농구에 입문했다. 특히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백보드 슛이 들어갈 때마다 통쾌했다고. 선수부터 시작해 감독, 그리고 경영인이 되기까지, 가장 큰 원동력은 바로 ‘농구’였다. 그는 “농구는 나의 뿌리”라고 말했다. 뿌리 없는 열매가 없는 것처럼, 농구 시절부터 다져온 경험의 깊이가 그를 지금의 자리까지 오르게 했다.

농구는 그에게 끈기를 가르쳤다. 그 끈기는 그에게 새로운 2막을 열게 했다. 선수로서는 빛나지 못했지만 감독으로서는 농구의 역사를 새로 썼고, 그 농구는 인생 2막을 경영인으로 시작하게 도와줬다. 이 모든 것은 돌처럼 단단한 끈기와 열정이 빛을 발휘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마치 희암(熙岩)이란 이름의 뜻처럼. 나무는 타버리면 재가 되지만, 돌은 충격에 깨질 뿐 사라지지 않는 법이다. 인생의 전반전은 백보드 슛으로 시작했지만, 인생의 후반전은 3점 슛을 쏘며 마무리하길 바라며 마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신명철의 스포츠 인물 열전] 한국농구의 살아 있는 전설, 김영기(金英基)
    [신명철의 스포츠 인물 열전] 한국농구의 살아 있는 전설, 김영기(金英基)
  • [신명철의 스포츠 인물 열전] 한국 농구 ‘슈터의 전설’ 신동파
    [신명철의 스포츠 인물 열전] 한국 농구 ‘슈터의 전설’ 신동파
  • 농구스타 박찬숙 “그 시절, 제가 좀 잘나갔죠?”
    농구스타 박찬숙 “그 시절, 제가 좀 잘나갔죠?”
  • 1970년대 여자농구의 아이콘, 강현숙
    1970년대 여자농구의 아이콘, 강현숙
  • 인생이 초조한 중년에게… “우리는 아직 성장 중입니다”
    인생이 초조한 중년에게… “우리는 아직 성장 중입니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