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자농구 전성기의 중심엔 강현숙, 박찬숙, 조영란, 정미라, 전미애 등의 스타군단이 있었다. 그중에서도 강현숙은 빼어난 미모와 실력으로 수많은 남성 팬을 몰고 다녔다. 1972년 청소년 대표팀으로 첫 태극마크를 단 뒤 1980년 은퇴할 때까지 국가대표로 맹활약한 강현숙(姜賢淑·64) 한국여자농구연맹(WKBL) 재정위원장을 만났다.
“돌이켜보면 그때 무슨 생각으로 농구를 하겠다고 손을 들었는지 모르겠어요.”
그가 농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조금 특별하다. 초등학교 5학년, 농구하고 싶은 사람은 손을 들라는 담임선생님의 말에 무턱대고 들어 올린 손 덕분(?)이었다. 내성적이고 심지어 운동도 딱히 좋아하는 편이 아니었다고 고백하는 그는 “어쩌면 나의 농구 인생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는지도 모르겠다”고 말한다.
누구보다 열심히 했던 연습벌레
그가 챙겨온 앨범을 열자 그의 선수 시절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졌다. 마치 한 장면도 잊은 적이 없다는 듯이 사진을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이때는~”, “이건~” 이라며 설명을 덧붙인다. 그가 어렸을 때 부모님과 찍은 흑백사진부터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리는 젊은 시절의 사진까지, 마치 그의 과거로 시간여행을 떠난 기분이었다.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사진이 있었다. 바로 ‘박신자 선수와 같이 훌륭한 선수가 되기 위해 피눈물 나는 노력을 하자’라는 문구가 써진 자료다. 가로도 아닌 세로로 써진 글자는 비장함을 더했다.
“박신자 선수가 제 롤 모델이었어요. 1967년 세계여자농구선수권대회에서 우리나라가 2위를 했는데 이례적으로 우승팀이 아닌 준우승팀에서 최우수선수상 수상자가 탄생했죠. 그 주인공이 바로 박신자 선수였어요. 정말 대단해 보였죠.”
1999년 ‘여자농구 명예의 전당’에 아시아 선수로는 유일하게 헌액된 박신자 선수의 인상 깊은 플레이는 새내기 농구선수였던 강 위원의 열정에 불을 지피는 계기가 됐다. 그의 표현을 빌리면, 매일매일 농구에 ‘올인’하는 생활이었다.
“새벽에 학교에 가면 교문이 닫혀 있었어요. 그러면 철문 사이로 가방을 밀어 넣고 담을 넘어서 체육관에 가곤 했죠. 오후에 본 연습이 끝나면 남아서 또 연습했고요. 드리블 연습, 슛 연습 등 혼자 할 수 있는 연습은 다 했던 것 같아요. 밤늦게 집에 도착해서 밥을 먹다가 잠드는 날도 있을 정도로 모든 것을 농구에 다 쏟아부었죠.”
누구보다 성실하게 노력한 덕분이었을까. 그는 중학교 2학년이 되면서부터 주전으로 뛰었다. 비록 첫 데뷔 무대에서 골대 방향을 잘못 알고 역주행하는 바람에 자살골을 넣을 뻔했지만 말이다. 그 후 8년간 국가대표선수 생활을 하면서 세계 베스트5에 두 차례나 선정되고, 1979년과 1980년엔 국가대표팀 주장으로서 팀을 세계여자농구선수권대회 2위, 아시아여자농구선수권대회 우승으로 이끌었다.
처음이자 마지막이 되어버린 만남
그는 가장 특별했던 경험으로 북한팀과의 경기를 꼽았다. 1974년 테헤란 아시안게임은 여자농구가 아시안게임 공식 종목으로 채택된 대회이기도 하지만 중국과 북한이 참가한 첫 아시아 스포츠 무대였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을 받았다. 그는 난생처음 북한 선수를 만난 1974년 테헤란 아시안게임을 떠올리며 “참 할 말이 많은 경기였다“며 운을 뗐다.
“선수촌 셔틀버스를 타면 타국 선수들이 있든지 말든지 북한 노래를 부르다가 마지막엔 ‘조선은 하나다!’ 하고 고함을 쳤어요.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설은 물론이고 경기 전 몸을 풀 땐 우리나라 코트까지 넘어오면서 비매너의 끝을 보여줬죠.(웃음)”
북한 선수들은 경기 내내 거칠게 굴었다. 그는 “실력은 우리나라보다 뒤처졌지만 괜히 겁이 났다”고 털어놨다.
“루즈볼 상태에서 볼을 다투는데 북한 선수가 볼이 아닌 김은주 선수의 머리채를 잡아 바닥에 내리친 거예요. 결국 들것에 실려 나갔죠. 싸우자는 건지 경기를 하자는 건지….”
한국팀이 큰 점수로 리드하며 경기를 끌고 가자 북측은 게임 종료 2분여를 남기고 퇴장소동을 벌였다. 심판이 반칙한 북한 선수에게 파울을 선언하자 마치 준비해놓은 대본이라도 있는 양 일제히 항의하더니 한국팀을 향해 “너네 심판한테 돈 멕였구나”라고 소리치며 경기장을 나가버린 것이다. 그날 이후 강 위원이 선수생활을 하는 동안에는 북한 여자농구팀을 볼 수 없었다고. 그렇게 그의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던 북한 선수와의 인연은 감동이 아닌 전투적 만남으로 기억되고 있다.
여자농구의 제2전성기를 바라며
“요즘 남자 아이돌 부럽지 않았어요.”
그가 기억하는 1970년대 여자농구의 인기는 그야말로 대단했다. 경기가 끝난 뒤 나오면 팬들에게 둘러싸여 꼼짝 못하는 일들이 다반사였고 초등학생, 성인 가릴 것 없이 국민들이 보내온 팬레터도 셀 수 없을 정도였다.
“1979년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세계선수권대회가 있었던 날은 1층부터 3층까지 빈자리가 없었어요. 경기하다 슛이 들어가면 그 많은 관중이 동시에 함성을 지르는데… 상상해보세요. 소름이 돋다 못해 희열을 느낄 정도였죠.”
특히 그와 오랫동안 호흡을 맞춰온 박찬숙 선수와의 패스 플레이가 득점으로 이어지면 관중의 뜨거운 환호가 터져 나왔다. 그는 “박찬숙 선수는 눈빛만 봐도 서로의 마음을 알 수 있는 동료”라고 설명했다.
농구 코트를 떠난 지 38년이 지난 지금, 그는 세 딸의 어머니이자 ‘손주 바보’ 할머니가 되었다. 그리고 지난해 12월 1일, 그의 농구 스토리를 담은 자서전 ‘나는 국가대표 포인트가드’를 출판했다. 자신에게 돌아올 관심보다는 독자들이 다시 한번 옛날 여자농구를 추억하고 그때의 사랑을 현역 선수들에게도 이어줬으면 하는 바람에서다.
“예전엔 스포츠 종목이 다양하지 않기도 했지만, 여자농구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주목을 많이 받았어요. 반면 요즘엔 워낙 많은 종목이 생기면서 인기가 좀 분산되지 않았나 싶어요. 그 많던 여자농구팀이 이젠 여섯 팀밖에 남지 않았다는 게 아쉬울 뿐이죠. 앞으로의 목표가 있다면 한국여자농구연맹 재정위원장으로서 한국농구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거예요. 사람들의 관심을 조금씩 얻다 보면 언젠가는 여자농구의 전성기가 다시 찾아오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