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액티브 시니어’가 ‘활동적 장년’이란 말로 대체 가능
- ‘액티브 시니어’라는 말은 뛰어난 체력과 경제력을 갖추고 있어 퇴직 후에도 왕성한 문화 활동과 소비 활동을 하는 장년층을 일컫는 말이다. 이 용어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에서 ‘액티브 시니어’를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활동적 장년’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국가기관이 ‘액티브 시니어’를 ‘활동적 장년’으로 공식적으로 선정하면서 졸속으로 선정하지
- 2020-05-12 09:38
-
- '액티브 시니어' 대신 '활동적 장년'으로
- 과거 세대와는 다르게 요즘 중장년 세대는 시간적, 경제적 여유를 기반으로 적극적인 소비생활과 여가를 즐긴다. 이른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라 불리는 이들은 본인의 경제력으로 자신을 위해 소비하는 주체적인 소비자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에는 ‘액티브 시니어’를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활동적 장년’이 선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
- 2020-05-04 10:10
-
- 5월 황금연휴 '개인방역' 당부… 고령자 외출 자제
- 방역당국이 최장 6일의 황금연휴 기간 중 ‘개인방역’을 당부했다. 불필요한 모임과 외출 자제를 촉구했으나 여행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에서도 가급적 2m 거리를 둬야 한다. 또 침방울이 튀지 않도록 큰 소리를 내거나 노래를 부르고 구호를 외치는 행위도 삼가야 한다. 줄을 설
- 2020-04-30 10:40
-
- 코로나19 사태가 주는 교훈(敎訓)
- 오랜만에 만났다. 매주 한 번은 만나 토의하는 모임이었는데 코르나19 때문에 거의 석 달 만에 만났다. 아직 조심스럽지만, 마스크를 쓴 채 대화를 했다. 그동안 모두가 자가격리로 답답해했다. 이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조금 완화되었다. 외출 자제령에서 공원의 한쪽으로 걷는 다소 완화된 형태의 방법이다. 한동안 누구를 방문하거나 만나자는 말도 쉽게 하지 못했다
- 2020-04-30 08:00
-
- “있으나 마나 한 인간이 되고 싶지 않다”
- 디지털 실버, 액티브 시니어라는 말이 자주 귀에 들려오는 요즘이다.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대한민국에서 시니어들의 삶은 각자의 상황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내가 청파 윤도균 님을 만난 건 순수문학 수필작가회에서다. 팔순을 코앞에 둔 나이에 아직도 왕성하게 작품활동을 하고 인천 N방송 시민기자로도 활동한다. 어디서 그런 에너지가 나오는 걸까. 그 열
- 2020-04-30 08:00
-
- [운수 좋은 날] 4월 28일 오늘의 띠별 운세
- ※ ‘운수 좋은 날’은 운세 전문 사이트 '운세사랑'으로부터 띠별운세 자료를 제공받아 읽기 쉽고 보기 좋게 재구성한 콘텐츠입니다. ◈ 쥐띠 총운 (금전운 : 상, 애정운 : 중, 건강운 : 중) 오늘의 일진은 남 보기에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나 한가지를 끝까지 밀면 성공한다. 경거망동하여 일을 행할 시에는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니 가급적이
- 2020-04-28 09:10
-
- 젊은층 전유물? 아메리카노 즐기는 '오팔 세대'
- 믹스형 커피에 익숙함을 느꼈던 오팔(OPAL) 세대가 이제 아메리카노를 더 즐겨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팔 세대는 ‘Old People with Active Life’의 앞 글자를 딴 신조어로, 고령화 사회의 주축으로 떠오른 액티브 시니어를 지칭한다. 롯데멤버스는 최근 리서치 플랫폼 라임을 통해 연령대별 20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이
- 2020-04-24 09:36
-
- 내장비만 확 빼준다는 'ABC 주스'
- 며칠 전 거의 두 달여 만에 참여 중인 모임에 나갔다.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이었지만 시급히 처리할 일이 있어서 더는 미룰 수 없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활동이 제한적인 만큼 대부분 예전 그대로거나 조금 후덕해진 모습이었는데 유독 얼굴이 갸름해진 한 사람이 있었다. 들어보니 역시 그녀는 그냥 갸름해진 게 아니었다. 지난겨울 체중이 늘어서 불편했다
- 2020-04-23 08:00
-
- 수국 꽃선물, 서울시 민관이 함께 지원해요
-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전 국민의 경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학교 급식 중단으로 농산물 생산업체가 수확을 포기하고, 결혼식 및 모임 중단으로 화훼업계가 재배한 꽃들을 갈아엎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착한 소비 운동도 시민사회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상태다. 주민자치운동의 최전방에서 활동하고 있는 서울시의 마을자치센터와 서울특별시 지역
- 2020-04-21 16:28
-
- 나이가 뭐길래
- 가끔 참여하는 단체가 있다. 거기서 별스럽지 않은 권력을 가진 사람이 어떤 이의 입회 자격을 운운하며 '나이가 많아서 나는 반댈세' 했다. 연령제한이 있는 것도 아니었다. 더구나 그들은 비슷한 또래였다. 바로 눈앞에 두고 있는 자신의 미래를 장담하지 못한 입찬 대꾸가 아닐지 잠깐 생각 들었다. 혹은 정의로운 공정함이나 용기였을까. 아니면 오만과 경솔함인가
- 2020-04-21 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