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정 치매환자 91만명인데…배회감지기 보급 누적 건수 1만여건 불과”

입력 2025-10-24 11:00

서미화 의원, 복지부 자료 제출받아…“추정 치매환자 5년 만에 22% 증가”

“치매안심센터 배회감지기 무상보급 1만여건에 그쳐”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추정 치매환자가 90만 명을 넘은 가운데 배회감지기 무상보급 건수가 1만여 건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추정 치매환자 수는 2020년 74만6000명에서 작년 91만 명으로 20만 명 가까이 증가했다. 65세 이상 인구가 증가하면서 추정 치매환자도 지속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작년 65세 이상 인구는 995만5476명으로 100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문제는 치매로 길을 잃은 어르신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대여·지급하고 있는 배회감지기 보급 건수는 1만여 건에도 못 미친다는 것이다.

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가 배회감지기 지급을 희망할 때 감지기를 지급해주고 있다. 그러나 전국 치매안심센터의 환자 등록률이 43%에서 100%까지 지역별 편차가 큰 상황이다.

작년 기준 시도별 추정치매환자수 대비 치매안심센터 치매환자 등록률을 보면 서울(추정 치매환자수 15만5545명)이 43%로 가장 낮다. 이어 경기(추정 치매환자수 19만5255명) 52.2%, 울산(추정 치매환자수 1만4839명) 53.8%, 인천(4만5241명) 54.0% 등으로 낮았다. 전북과 전남은 등록률이 100%를 기록했다.

치매안심센터에서 무상공급한 배회감지기는 2021년부터 올해까지 1만1016건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같은 기간 신청 건수는 1만6293건에 달해, 실제 공급량이 5277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미화 의원은 “지역별로 상이한 치매안심센터의 등록률은 높이고, 치매환자에게 배회감지기 대여·지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 강화를 통해 배회감지기 보급률 개선부터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보건복지부 소관 장애인단체 연수 개최…국제협력과 AI 시대 역할 모색
    보건복지부 소관 장애인단체 연수 개최…국제협력과 AI 시대 역할 모색
  • “발견→신고→보호” 서초구, 실종 치매환자 발견 모의훈련 11일 실시
    “발견→신고→보호” 서초구, 실종 치매환자 발견 모의훈련 11일 실시
  • 보건의료 ‘심각’ 위기경보 1년8개월 만에 해제되나
    보건의료 ‘심각’ 위기경보 1년8개월 만에 해제되나
  • ‘말 한마디에 집이 움직였다’… ‘KES 2025’에서 본 AI 스마트홈
    ‘말 한마디에 집이 움직였다’… ‘KES 2025’에서 본 AI 스마트홈
  • [AI 브리핑] 지역 중소제조업 10곳 중 6곳 ‘인력난’ 外
    [AI 브리핑] 지역 중소제조업 10곳 중 6곳 ‘인력난’ 外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