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제윤, 금융 규제 타파 행보…투자 규제 완화 될까
-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세월호 참사로 잠시 중단했던 업계와의 규제 개혁 간담회를 재개하는 등 금융 규제 타파에 다시 나선다. 특히 사무펀드와 헤지펀드 관계자를 만나는 가하면 주택금융 제도 개선 간담회 등도 예정돼 있어 재테크나 투자 관련 규제 완화가 이뤄질지 관심을 모은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신 위원장은 연휴가 끝나는 오는 8일 외국계 금융회사 15곳
- 2014-05-05 12:52
-
- [부고] 황의순씨 별세 - 홍성창씨 모친상
- ▲황의순씨 별세, 홍성창(경기대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ㆍ성희(신영증권ITㆍ경영지원본부장)ㆍ귀옥씨 모친상, 백홍구(연세대 신소재공학부 교수)씨 장모상=30일 오후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2일 오전, 02-2227-7587
- 2014-05-01 08:22
-
- 파생상품 양도소득세 부과 추진
- 파생금융상품에 과세하는 방식이 양도소득세 부과로 가닥이 잡혔다는 소식에 금융투자업계에 우려와 안도감이 교차하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산하 조세개혁소위원회는 22일 회의를 열고 선물·옵션 등 파생상품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부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그동안 정부는 파생상품 거래세 도입을 추진해왔으나, 거래세를 부과하면 파생시장에 미칠
- 2014-04-23 09:11
-
- KDB대우證, 특별한 적립RP ‘펀드형’ 출시
- KDB대우증권(사장 김기범)은 특별한 적립RP ‘펀드형’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특별한 적립RP ‘펀드형’은 개인고객이라면 누구나 가입 가능하며 약정금액의 절반은 연4.0% RP에, 나머지 절반은 펀드로 적립하는 상품이다. 펀드는 총 5개까지 고객이 직접 선택가능하다. 최소 가입금액은 2만원이며 최대 100만원까지 1만원 단위로 선택할 수 있다. KDB
- 2014-04-22 16:11
-
- 활기 잃은 금융시장…시중에 부동자금 넘쳐난다
-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 부동자금이 사상 최대치로 불어났다. 부동산, 주식 등의 투자처가 경기부진으로 살아나지 못하면서 금융시장이 활기를 잃어버리는 모양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와 우리투자증권에 따르면 현금통화 등 6개월 미만 모든 금융상품의 자산 규모가 지난 15일 기준 715조985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10조원가량 증가했다. 단기
- 2014-04-22 08:22
-
- 고령화 수혜 헬스케어펀드 수혜 '톡톡'
-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에 힘입어 헬스케어 펀드들이 수혜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22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이후 헬스케어펀드들의 평균 유형 성과(+5.93%)는 동기간 해외주식형 유형평균(-4.25%)과 국내 주식형 유형평균(-1.05%)대비 우월한 것으로 집계됐다. 펀드별로는 동부바이오헬스케어증권투자신탁1[주식]Class (12.26%), 미
- 2014-04-22 07:44
-
- "1분기에는 그동안 상승률이 높지 않았던 종목에 투자하라"
- 한국투자증권은 18일 1분기 실적이 연간 실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종목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가 있다고 밝혔다. ‘1분기 계절주’중, 그동안 주가 상승률이 높지 않았던 종목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정훈석 연구원은 지난 4년간 1분기 영업이익이 한해 영업이익의 30%를 넘는 계절성을 보인 종목 중, 2년 연속 1분기 영업이익이 늘어난 아세
- 2014-04-18 08:34
-
- [부고] 박경이씨 별세 - 신해헌씨 모친상
- ▲박경이씨 별세, 신해헌(백석대 교수)씨 모친상, 이승환(신영증권 PI부장)씨 장모상=17일 오후 서울 보라매병원, 발인 19일 오전, 02-841-7652
- 2014-04-18 08:33
-
- [운수 좋은 날] 2014년 4월 17일 (음력 3월 18일) 띠별·생년별 오늘의 운세
- ※ '운수 좋은 날'은 운세 전문 사이트 '운세사랑'으로부터 띠별운세 자료를 제공받아 읽기 쉽고 보기 좋게 재구성한 콘텐츠입니다. ◇ 쥐띠총운 금전운 : 중, 애정운 : 중, 건강운 : 중 오늘의 일진은 많이 벌어들이는 것보다 규모 있게 잘 쓰는 것이 경제의 원칙이다. 재의 출입이 빈번하니 소비와 지출을 잘 관리하라. 후에 어려움이
- 2014-04-17 08:16
-
- 부동산 가격 올해 3% 상승…내년 4% 상승”
-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찍고 올해 상승 국면에 돌입했다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해 저점을 통과한 후 올해 3%, 내년에는 5% 각각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1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노무라증권은 부동산 가격이 전셋값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저점을 통과했으며 향후 회복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부동산 가격이 올해 3%, 내년 5% 상승할 것으
- 2014-04-16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