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르신 치매 예방 ‘방문학습교사’일자리 생긴다
- 서울시는 치매예비군에 속하는 경도인지장애 어르신의 방문학습을 책임지는 '방문학습교사’ 지원자를 5월 9일(금) 까지 모집한다. 이렇게 되면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의 감퇴로 사회적, 직업적, 개인적 기능의 저하는 없으나 치매 고위험군에 속하는 경도인지장애 어르신의 가정을 방문해 치매예방책을 펼치는 ‘방문학습교사’가 전국 최초로 생긴다. 사회공헌활동에 관심
- 2014-04-25 11:34
-
- [제자리 찾기2부-일자리가 최고의 복지] ④ 제2의 직업을 통해 제2의 인생을 선사하는 그들, '자살예방 상담사'
- 한국의 노인 자살률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1위이며, 그 수치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자살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우울증의 경우 적절한 상담을 통해 마음의 문을 열고 새로운 인생을 살아가는 사례도 많다. 이처럼 생과 사의 기로에 선 노인들을 직접 만나 진정성 있는 상담을 통해 그들에게 새로운 인생을 제안하는 이들이 있으니, 바로 ‘자살
- 2014-04-24 12:54
-
- [우리는 ‘잉여’가 아니다-갈 곳 없는 노인들]③ 풋내기 노인들을 바라보는 진짜 노인들의 '슬픈' 시선
- “안산은 다른 시에 비해 공원이 많아 노인분들이 갈 곳이 많습니다. 그래서 어르신들이 살기 좋죠.” 안산시 노인복지 담당자의 말이다. 그 말을 곱씹어 보면 마치 ‘공원’이라는 공간이 노인의 삶에 유익함을 제공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실제 안산시에 공원은 177여 곳으로, 경기도 내에서 수원(289곳)·용인(264곳)·고양(205곳)시에 이어 4번째로 많다
- 2014-04-18 14:05
-
- 청려장(靑藜杖)을 아십니까?… 지난해 청려장을 받은 어르신 1264명
- 청려장이란 한해살이풀인 명아주의 대로 만든 지팡이를 말합니다. 통일신라시대부터 장수(長壽)한 노인에게 왕이 직접 청려장을 하사했다고 전해집니다. 재질이 단단하고 가벼우며, 중풍을 방지하고 신경통에 좋다고 해서 귀한 지팡이로 여겼답니다. 조선시대에는 80세가 되면 임금이 내리는 장수를 축하하는 선물로 청려장을 내려 주었고 이를 조장(朝杖)이라고 불렀습니다.
- 2014-04-18 08:55
-
- 14년째 홀몸노인 목욕봉사해온 충주 연수사랑 나눔회
- 충북 충주시 연수동 연수사랑나눔회(회장 이옥순)가 홀로 사는 노인들을 위한 목욕봉사를 14년째 계속 해오고 있다. 연수사랑나눔회는 이날 몸이 불편한 노인 21명을 살미면의 한 온천으로 모셔 목욕을 한 뒤 점심도 함께했다. 연수사랑나눔회는 주부와 자영업을 하는 주민 21명으로 1993년 조직됐다. 월 회비 1만원에, 각종 행사 때마다 회원들이 찬조
- 2014-04-16 17:56
-
- 서울시, 어르신 복지서비스 안내서 발간
- 서울시는 어르신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서비스 47가지를 정리한 책자 '어르신 정보 꾸러미'를 발간했다. 일자리·소득 분야에는 기초노령연금과 취업 정보, 여가·문화 분야에는 경로당 등 이용시설과 노인영화제 같은 프로그램 정보를 담았다. 책자는 자치구와 경로당, 노인종합복지관에 배부되며 홈페이지(www.seoul.go.kr)에서도 볼 수 있다.
- 2014-04-16 08:30
-
- 서울시, 봄작물 직접 재배 '실버·다둥이가족·다문화가족 농장' 운영
- 서울시는 봄을 맞아 ‘실버·다둥이가족·다문화가족 농장’을 개장한다고 밝혔다. 올해 다문화가족 농장에는 실버·다둥이가족·다문화가족 등 총 1250가족이 참여할 예정이다. 농장 운영기간 동안, 참여회원들은 봄에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교육을 받고 봄작물을 직접 심는 것을 체험하게 된다. ‘실버농장‘은 65세 이상 어르신들이 건강한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 2014-04-14 07:30
-
- [실버타운 탐방②] 더 헤리티지(The Heritage) “아파트의 편리함과 전원생활의 여유를 동시에…”
- “둘러보면 알겠지만 여긴 뭐든지 다 좋아. 직접 살아보면 더 좋고.” 더헤리티지에서 만난 입주민의 자부심은 대단했다. 기자 은퇴 후 이곳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한 그는 “여기 이사장님은 경영철학이 뛰어나고 사고방식이 남다르다”며 “이곳에서의 생활이 하나에서 열까지 모두 만족스럽다”고 거듭 강조했다. 더헤리티지는 미국, 일본 등 선진사회에서 보편화된 ‘지
- 2014-04-11 09:30
-
- 빈곤층 내몰린 6070세대… 한국판 ‘미니잡’이 답이다
- 요즘엔 100세 시대란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0년 노인 인구 7%대로 진입,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노후를 대비해야 한다는 말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고 있다. 하지만 실제 노인들이 겪는 상황은 녹녹지 않다. 당장 10만~20만원이 없어 어려움이 생기기도 한다. 기초노령연금 지원도 복지재원 부족으로 한계에 부딪혔다. 이에
- 2014-04-10 17:34
-
- 베이비부머세대 대책은 “퇴직 전문인력 활용…재취업 연결”
-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중장년층이 성공적 ‘인생 2막’을 위한 재취업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중 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55∼79세 고령자들이 가장 오래 근무한 ‘생애 주된 일자리’를 그만둘 당시의 평균 연령은 만 53세였다. 이는 55세 정년에도 못 미치
- 2014-04-10 1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