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인구보고서] '초고령화 선배' 일본에는 있고, 한국에는 없다
- 日, 내과·외과·정신과 방문 진료 방문 치과도 2000년대 초반부터 도입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20년 전에 앞서 초고령사회를 겪기 시작한 일본의 의료 복지 체제에 관한 관심이 더 늘고 있다. 김철중 조선일보 의학전문기자는 7일 최근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2025 인구보고서’에서 ‘초고령사회 선배, 일본으로부터 배우는 고령자 의료
- 2025-07-07 09:49
-
- [2025 인구보고서] “노인연령 65→70→75세 단계적 조정 필요”
- 박성철 교수 “우리나라 노인 매년 젊어지고 있다” 정재훈 교수 “노인연령, 75세까지 조정 또는 장래고령인구부양비로 정비해야”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젊은 노인이 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해 ‘노인’의 연령 기준을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박철성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7일 최근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 2025-07-07 08:09
-
- [챗GPT 브리핑] 100년 뒤 한국 인구 85% 급감 外
- 매일 아침, 챗GPT가 수많은 정보 속에서 엄선한 시니어 주요 뉴스를 편집국 기자가 검수·요약해 전해드립니다. 정책, 복지, 건강, 기술 등 핵심 이슈만 모았습니다. 2025년 7월 3일 주요 뉴스 ◆100년 뒤 인구 753만 명…대한민국, 소멸 경고등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5000만 명이 넘는 우리나라 인구가 100년 뒤 753만 명까지
- 2025-07-03 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