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잡음을 삼킬 듯이

기사입력 2020-01-29 09:15 기사수정 2020-01-29 09:15

[더불어 숲] 내변산 직소폭포 숲길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전북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내변산 탐방센터를 기점으로 삼는다. 여기에서 직소폭포까지는 약 2km. 약간의 언덕길이 있으나 소풍길처럼 가뜬하게 오를 수 있는 코스다. 직소폭포에서 내소사나 월명암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도 있다.


걷기 좋은 산길이다. 숫제 수묵화로 펼쳐지는 겨울 내변산의 숲길이다. 내딛는 발길에 탄력이 붙기 시작한다. 그러자 몸이 환호하며 깨어난다. 산 기운일까, 기분 좋게 엄습해온 어떤 에너지가 근육과 관절, 혈관을 타고 순식간에 온몸으로 퍼져나가는 걸 느낀다. 몸이라는 탄성체가 가장 이상적인 상태로 돌아온 걸 깨닫는다. 이는 산길걷기로 얻어지는 값진 선물이 아닐 수 없다.

깨어나는 게 몸만은 아닌 모양이다. 찬물에 씻긴 듯 정신마저 깨어나는 느낌이다. 이렇게 완연히 말끔해진 심신으로 자연과 만나는 즐거움이라니. 이를 무상(無償)의 행복이라 일컬어도 지나치지 않으리라. 그러니까 오늘은 좋은 날이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내변산은 아름다워 예로부터 이름이 높았다. 남쪽의 금강산이라 해 남금강으로, 작은 금강산으로 알아 소금강이라 불렀다. 부처가 설법했다는 능가산이라 부르기도 했다. 저기 산기슭 둔덕에 절이 보인다. 실상사(實相寺)다. 너른 터에 법당과 산신각만 덩그러니 앉아 있다. 과거엔 큰 절이 있었다. 그러나 한국전쟁 때 모두 스러졌고, 그걸 근래의 불사로 다시 일으켰다. 연혁은 스산하고 꾸밈새는 허전해 시주하는 불자도 드물겠지. 요즘은 절도 크고 화려해야 인기가 있다. 이게 파행이다. 전각들이 산을 덮고, 불탑이 하늘을 찔러야 부처에 가까워지는가. 아닐 것이다. 삼라만상이 모두 화엄의 바다라는 게 부처의 가르침이었다. 절이 작으면 적폐도 적다. 이렇게 보면 작은 절 실상사가 오히려 미덥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길은 이제 산의 안통으로 스며든다. 평지 길이 끝나고 소 잔등처럼 부드러운 언덕길이 이어진다. 어느덧 으슥한 첩첩산중이라 풍치도 일변해 어디나 볼 만하다. 눈을 멀리로 던지면, 저마다 우뚝하고 훤칠한 산봉들이 미모 경쟁을 펼치는 걸 볼 수 있다. 도무지 승부를 가르기 어려울 부질없는 경연은 산 아래에서 한결 질탕하게 펼쳐진다. 산의 몸을 어루만지며 교태를 부리는 계곡물과 호수가 경연에 가세한 게 아닌가.

산중의 경연엔 가장이나 성형이 없다. 아귀다툼이나 주먹다짐이 없다. 저마다 순리의 힘과 미덕을 아는 참가자들이 운집했을 뿐이니까. 이 아리땁고도 웅장한 경연을 우리는 ‘조화로운 자연’이라 일컬으며 경이를 느낀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선녀탕을 지나 다시 언덕을 오른다. 숨이 차오를 수밖에 없는 비탈과 아슬아슬한 벼랑 가엔 나무나 철로 만든 계단이 설치돼 있다. 덕분에 노약자들까지 쉬 오를 수 있으니 이기(利器)다. 그러나 산중의 지나친 인위여서 생뚱스럽다. 그렇더라도 직소폭포의 허연 물기둥을 바라보느라 투덜거릴 겨를이 없다. 내변산 풍광의 절정으로 꼽히는 폭포이지 않은가. 이 폭포는 바위 벼랑을 거의 수직으로 쏟아져 내려 통쾌한 맛을 선사한다. 수량이 풍부한 철엔 한층 호방한 굉음으로, 세상의 모든 잡음마저 삼켜버릴 기세로 산중을 쿵쿵 울리며 포효하겠지.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직소폭포를 뒤로하고 등산로를 끙끙대며 올라 쌍선봉에 닿는다. 쌍선봉 꼭대기엔 ‘달 보기 좋은 암자’ 월명암(月明庵)이 있다. 그리고 명기(名妓) 매창(1573~1610)의 숨결이 서려 있다. 내변산이 있는 부안에서 태어나 일생을 부안에서 살다 떠난 그녀는 조선 기녀사의 전설이었다. 비록 천민 신세였지만 가무는 물론 시에 능한 교양인이었다. 삼종지도(三從之道)라는 유교적 윤리의 냉동고에서 벗어난 자유인이기도 했다. 이런 매창이 37세 이른 나이로 죽었을 때, 그 누구보다도 애통해한 건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1569~1618)이었다. 두 사람은 10여 년에 걸친 교제를 했던 것이다. 매창의 죽음을 애도하며 쓴 허균의 시가 현존한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나는 지금 한겨울의 얼어붙은 공기 속에 있는 월명암에서 매창을 생각한다. 매창이 곧잘 찾았던 암자이기에. 매창은 ‘등월명암’(登月明庵)이라는 시를 통해 구도의 마음을 비치기도 했다. 실제로 불가에 귀의했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일찍이 기방 자체가 절집에 맞먹을 도장임을 깨달았을 듯하다. 경박한 세태를 야유하고 내생의 피안을 노래한 매창의 시편들을 보면 그걸 짐작할 수 있다. 그러하니 매창은 사랑스러운 여인. 고인을 향한 팬들의 사랑은 시간을 초월해 현재진행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연공서열 타파, 세대 간 소통 물꼬 트는 '리버스 멘토링'
    연공서열 타파, 세대 간 소통 물꼬 트는 '리버스 멘토링'
  • [카드뉴스] 인생 2막에 필요한 세 가지
    [카드뉴스] 인생 2막에 필요한 세 가지
  •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