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는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가 칭송받은 적이 있다. 조직원들은 다소 강압적인 리더의 행동에도 대부분 믿음을 갖고 희생을 감수하며 성실히 업무에 임했다. 그러나 세상이 시시각각 변화하면서 시대가 원하는 리더의 모습도 많이 달라졌다. 과거에는 좋은 본보기가 됐던 리더의 면모가, 이제는 더 이상 통하지 않는 덕목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코로나 뉴노멀 시대, 직장인들은 리더의 어떤 면모를 중시할까?
2020년 행정안전부가 발행한 ‘90년생 공무원이 왔다’를 살펴보면 주니어 공무원이 가장 따르고 싶은 직장 상사는 ‘공평하고 합리적으로 업무를 분장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60.4%)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은 ‘업무 전문성을 갖추고 일하는 모습, 배울 것이 있고, 항상 공부하는 모습’(52.5%)이었다. 또, 이러한 상사로부터 가장 배우고 싶은 점으로는 ‘업무와 관련된 실무적인 방법론’(53.5%)과 ‘업무능력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27.2%) 등을 꼽았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가 내놓은 ‘직장 내 세대갈등과 기업문화 종합진단’에 따르면 밀레니얼이 기대하는 5가지 리더십 유형 중에는 ‘업무 전문성’, ‘수평적 소통’ 등이 포함돼 있다. 즉, 요즘 젊은 직장인들은 리더(상사)의 업무능력과 전문성, 합리적이고 수평적인 커뮤니케이션 등을 주요 자질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재택근무와 탄력근무가 늘어나며 직장인들은 무엇보다 리더의 소통능력과 리스크 관리 역량 등에 주목하고 있다. 리서치 전문기업 마크로밀엠브레인의 조사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직장인 대부분이 ‘리더에게는 무엇보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81.2%)고 반응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이상적 리더의 자질로도 ‘소통능력’(50.7%)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아울러 비대면 근무가 일상화될수록 ‘부서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리더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 되리라’(79.9%) 내다봤다.
비대면 상황 속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능력 있고 성실한 리더와 그렇지 않은 리더가 갈릴 것이라는 추측이다. 사람들은 조직원이나 후배들이 일궈낸 성과에 묻어가는 무임승차형 리더나, 행동보다는 현란하게 말만 앞세우는 무책임한 리더가 있다면 이번 기회를 통해 수면 위로 드러나리라 보고 있다. 즉, 코로나19로 인해 회사 정책과 근무 형태에 큰 변화가 일어나면서 조직 내 리더의 역량을 더욱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됐고, 리더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은 직장인이 많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