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초고령 사회에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은 노후 생활의 핵심 과제다. 특히 소득이 끊긴 시니어 세대에 매달 들어오는 고정 수입은 삶의 질을 좌우한다. 이런 상황에서 집을 담보로 매달 생활비를 받는 ‘주택연금’은 자산을 현금 흐름으로 전환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주택연금은 지급 방식, 인출 한도, 주택 종류 등 알아야 할 용어와 조건이 많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다. 헷갈리는 주택연금 주요 용어를 카드뉴스로 정리해 봤다.
글/도움말 <브라보 마이 라이프 7월호 중> 서기수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세제개편] 주택연금 개편으로 월 수령액↑…가입자 경제적 부담 줄인다](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08203.jpg)
![[주택연금 백문백답] ⑬법적 나이 바뀌어도 주택연금은 그대로](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05104.jpg)

![[카드뉴스] 9월 시행 ‘예금자보호’, 시니어를 위한 3가지 핵심 팁](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10673.jpg)
![[카드뉴스] 부부 관계 회복을 위한 '한 달 살이' 여행지 추천 5](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08363.jpg)





![[브라보★튜브] 진심으로 사는 남자, 아조씨 추성훈](https://img.etoday.co.kr/crop/85/60/224512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