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예가 신상호(74)는 실험적 현대 도예의 전위이자 전사다. 그의 작업엔 형식이 없으며 경계가 없다. 일찍이 전통 도예의 권위자로 부상했던 그는 해적선과 같은 거침없는 도발과 활보로 혁신적 도예를 구현했다. 이런 그가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과 맺은 인연이 깊다. 돔하우스에 ‘파이어드 페인팅’ 타일을 만들어 붙인 장본인이며, 미술관 초대관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니까. 미술관 설립 과정에도 깊이 간여했다. 현재까지 이어지는 항해의 방향을 그가 노정했다. 즉 탄탄한 초석을 깔아놓은 셈이다.
“전통 분청만이 아니라 현대미술까지 아우르고, 나아가 도자와 건축이 만나는 전시가 펼쳐지는 특성화된 미술관을 만들면 좋겠다는 게 내 생각이었다. 이걸 시에 제안했는데 흔쾌히 수용하더라. 지방 소도시가 미술관을 만들어 지속시킨다는 게 실로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김해시가 해냈다.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극복하고 외국에서도 관람객들이 찾아오는 미술관으로 성장시켰다. 아마도 김해시로선 보물 같은 공간일 거다.”
좋은 미술관이란 어떤 걸 말할까?
“개성적인 건축, 그리고 새로운 콘텐츠, 이렇게 두 날개로 비상해야 한다. 세계 유수의 미술관들이 모두 이 둘을 겸비했다.”
선생이 만난 가장 인상적인 미술관은?
“스페인에 있는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이다. 빌바오는 원래 철강 산업의 메카로 풍요로운 도시였으나 포항제철에 밀려 폐허처럼 망가졌다. 그러나 구겐하임미술관 건립으로 마법과도 같은 반전을 맞이했다. 미술관으로 그야말로 대박이 났으니까. 세계 곳곳에서 날아온 관광객들이 미술관 앞에 줄을 섰고, 돈이 몰렸으며, 마침내 금융도시로 떠올랐다. 미술관 하나가 가져오는 시너지 효과가 이렇게 강력하다.”
구겐하임미술관의 무엇이 사람들을 불러 모았나?
“건축물의 힘이다. 티타늄 강판으로 외벽 전체를 마감해 어디서도 볼 수 없는 독창적인 건축을 만들어낸 것이다. 재미있는 건 티타늄 강판의 입수 경로다. 러시아가 우주로 쏘아 올리기 위해 만들다가 경제 사정으로 방치한 로켓의 티타늄 외장재를 사서 가져왔으니까.”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의 외벽 티타늄에 노을빛이 비치면, 미술관 앞으로 흐르는 강물에 환상적인 황금물결이 일렁인다. 관람객들은 미술관의 컬렉션은 차치하고 그 한 장면만으로도 탄성을 토한다. 외벽의 재료가 과시하는 힘이 이렇게 압도적이다. 신상호가 건축과 도자의 협주를 몹시 중시하는 이유가 집힌다.
그나저나 도예는 왜 대중 속으로 파고들지 못하는 걸까. 넌, 저리 가라! 미술계로부터 그런 대접을 받고 있는 건 아닌가.
“그 점에 내가 한이 맺혔다.(웃음) 과거엔 대학에 도예과가 많았으나 지금은 거의 폐과 되고 소수만 남았을 정도다. 기능적 쓰임새와 미에 치중해온 도예 풍조 탓이다. 철학과 실험정신을 개발해 치고 나가야 한다. 과거와 미래를 함께 아우르는 비전을 가지고. 그러자면 도예 예술가들이 더 공부해야 한다. 세계로 나아갈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니까.”
신상호에 따르면 새롭지 않은 건 예술도 아니다. 남의 흉내를 내는 건 사망진단서를 자체 발부하는 행위와 같다고 보는 것 같다. 이런 그가 요즘 회심의 신작을 준비하고 있다. 자그마치 100호 내지 200호 사이즈에 이르는 ‘파이어드 페인팅’ 작업에 빠져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