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 닮은 예술가의 집 새이용원

기사입력 2021-11-26 10:48 기사수정 2021-11-26 10:48

[뉴트로 느낌표] 성북동 새이용원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기 이틀 전이었다. “오는 사람 안 막고 가는 사람 안 잡아.” 수화기 너머의 퉁명스러운 한마디 믿고 나선 길. 곧 추워질 날씨를 생각해 홍삼 음료수를 샀다.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서 10분쯤 걸었을까. 낡은 간판 옆 느리게 돌아가는 삼색등과 빈 의자 네 개를 발견했다. 손님이라면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한국 최초 여성 이용사의 특급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곳, 바로 성북동 새이용원이다.

(이희원 인턴기자)
(이희원 인턴기자)

구성진 트로트 가락, 엇박으로 어우러지는 가위 소리 대신 크게 틀어둔 TV 뉴스, 문 앞에 길게 늘어진 주렴 대신 칠이 떨어진 낡은 문. 이용원 내부는 상상했던 모습과 조금 달랐지만 세월이 그득 배어 있었다. 새이용원의 주인장, ‘명랑 이발사’ 이덕훈(87) 씨는 주 고객층 연령대에 한참 못 미치는 기자에게 앉아 계시던 자리를 권했다. “여자는 하체가 따뜻해야 해. 이리 와서 앉아.”

(이희원 인턴기자)
(이희원 인턴기자)

장녀, 아내, 엄마, 그리고 이용사

권유에 못 이겨 자리에 앉았을 때 손님이 찾아왔다. 최근 전파를 탄 유명 예능 프로그램을 보고 찾아왔다고 했다. 이 씨가 이용사의 상징인 흰색 가운을 걸치고, 손님 목에 보자기와 두루마리 휴지를 두르는 동안 4평 남짓한 공간을 둘러봤다. 큼직한 거울 위 빛바랜 이용사 면허증이 눈에 들어왔다. 마침 이발 준비를 마친 베테랑 이용사가 손님에게 싱겁게 물었다. “여기 처음 왔어요? 나 유명한 사람이야. 방송도 많이 탔어.” 이윽고 이발을 시작하는 대신 서랍에서 누렇게 바랜 사진을 꺼내 들었다. “이 양반이 우리 서방님. 얘들은 우리 아들들이야. 인물이 아주 좋지?” 잘 짜인 각본처럼 이야기가 줄줄이 엮여 나왔다.

5남 2녀 중 장녀인 이 씨는 일제강점기 때 군부대 이발 담당관으로 차출됐던 아버지를 보며 이용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지긋지긋한 가난을 벗어나려면 한 명이라도 손을 보태야 할 것 같아서였다. 그는 국민학교만 졸업하고서 이발 기술을 배우며 동생들을 뒷바라지했다. 이발소 허드렛일과 집안일을 전부 도맡으면서도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은 덕분에 1958년 이용사 면허시험에 합격해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이발사가 됐다.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과 김두한이 ‘성북동 아줌마’를 찾아 머리를 맡길 정도로 솜씨도 좋았다.

돈을 벌기 시작했지만 삶은 여전히 녹록지 않았다. 남편에 아들들, 시부모까지 먹여 살리느라 하루에 스무 시간을 일했다. 이발소 안의 여자를 원숭이 보듯 하는 사람들의 시선도 견뎌야 했다. 하지만 몸이 고된 것보다 가족을 먼저 보낸 아픔이 더 컸다. 스무 해 전 먼저 가버린 남편이 아직도 그립고 애달프지만 그는 새로운 해가 뜨면 다시 이용원 거울 앞에 선다. 제 몸보다 아꼈던 남편, 딸 하나와 아들 셋을 보내며 무던히 살아내는 법을 배웠다. 그렇게 또다시 가위와 빗을 쥐었다. 한 달에 1cm, 열흘에 1mm 자라는 150만 개의 머리카락을 만진 지 60년 세월이다. 처음 보는 손님 가르마를 보고 고지식한 원칙주의자임을 파악하는 것쯤은 일도 아니다.

(이희원 인턴기자)
(이희원 인턴기자)

위험을 감수하는 진짜 예술가

지난해 여름엔 셋째 아들마저 하늘나라로 떠나보냈다. 꽃을 좋아했던 아들은 어머니에게 형형색색 꽃 사진이 가득한 휴대폰을 남겼다. 평생을 거울 앞에서 마네킹처럼 일하는 엄마를 생각하며 찍은 아들의 꽃 사진. 그는 매일 꽃 사진 너머로 아들을 만난다. 수백 종류 꽃 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건 무궁화다. “오늘 하루만 살아. 내일이 어떻게 될 줄 알아?” 매일 피고 진다는 무궁화는 휴무일인 화요일을 빼고 매일 손님을 맞았던 이용원을, 이용사 이덕훈 그 자체를 닮았다.

시대가 변하면서 이용원을 찾는 손님들이 줄었다. 아쉽긴 했으나 그는 불평하는 대신 이용원을 찾는 손님들에게 최선을 다했다. 손님이 없을 땐 일기를 썼다. 아들들이 사준 18년 된 철제 드라이어와 25만 원짜리 사감 선생님 안경, 아버지가 물려준 100년 된 바리캉을 앞에 두고 펜을 잡았다. 어느 날은 사랑이 무엇인가에 대해 적었고, 어느 날은 죽은 남편과 아들들을 향한 그리움, 가난해 제대로 먹이지 못했던 딸에 대한 미안함을 토해냈다. 그렇게 이용원 거울 앞 서랍장 속에, 탁자 위에 먼지 묻은 삶의 추억이 겹겹이 쌓였다.

(이희원 인턴기자)
(이희원 인턴기자)

“실패의 위험을 감수하는 사람만이 진짜 예술가다. 늘 갈망하고 우직하게 나아가라. 언젠가는 죽는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그럼 당신은 정말로 잃을 게 없다.” 빈 페이지 없이 빽빽한 공책 속 한 구절이 눈에 띄었다. 갈망하며 우직하게 나아가는 이, 잃을 것 없이 현재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 글귀 속 예술가의 정의가 그와 겹쳐 보였다. 여든일곱 나이에 가위를 쥐고도 흐트러짐 없는 손아귀 힘, 손님들이 찾아오는 한 이 일을 계속하겠다는 굳건함이 예술가의 것이 아니라면 무엇일까.

부쩍 짧아진 해가 기척 없이 저물었다. 비워뒀던 이용실 의자 위에 보자기를 덮고, 잘린 머리카락을 쓸어다가 버린다. 인터넷에 고지된 영업 마감 시간 오후 7시가 채 되기 전. “요즘은 해 지면 닫아. 어차피 손님도 안 오는데.” 분주히 움직이던 그가 다른 편 보자기를 들춰 자양강장 음료수와 두유, 과자를 가득 쥐여줬다. “사랑해. 조심해서 들어가.” 마지막 인사와 함께 그날의 삼색등이 꺼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백 년의 시간이 익는 술독, 신평양조장
    백 년의 시간이 익는 술독, 신평양조장
  • "양조 역사나 술의 의미 인문학적으로 풀 것", 김동교 신평양조장 대표
    "양조 역사나 술의 의미 인문학적으로 풀 것", 김동교 신평양조장 대표
  • 옛 추억 떠올리는 ‘뉴트로’ 전시 인기
    옛 추억 떠올리는 ‘뉴트로’ 전시 인기
  •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고위험군 의심되면 신속 치료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고위험군 의심되면 신속 치료
  •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