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관 넉 달 뒤 코로나19가 들이닥치면서 고전할 수밖에 없었다. 예상하지 못한 복병을 만난 셈이다. 휴관이 잦았고, 문을 열더라도 찾아오는 이가 드물어 힘겨웠다. 그런데 그게 오히려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한결 단단한 정신으로 기초를 다질 수 있었던 거다.”
사람들은 흔히 미술관 문턱이 높을 것으로 예단한다. 미술 감상을 지루한 일로 여기기도. 사실 신바람 날 수도 있는 게 미술관인데.
“그간의 경험을 통해 미술관 운영이 얼마나 어려운 사업인지 충분히 실감했다. 관람객이 오지 않으면 무엇보다 비용 문제가 발생해 존립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국내 복합문화공간이나 사립미술관들이 흔히 난항을 겪더라.
“나름의 사전 리서치를 했는데 다들 말렸다. 애초 타깃은 미술 작품 향유 욕구를 가진 사람들, 즉 목적의식을 가진 사람들을 불러들이자는 데에 있었다. 그러나 열에 아홉은 미술관으로 자리 잡기 어렵다고 조언했다.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을 고려하라는 얘기였다.”
어떻게 운영비 문제를 해소하고 있나?
“미술관만 믿어서는 안 되기에 처음부터 전략을 달리했다. 사람들이 쉽게 찾아들어 커피를 즐길 수 있는 카페와, 아이들 대상의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적극 가동해 운용의 묘를 살리는 걸 기본 방안으로 삼은 것이다. 즉 미술관, 카페, 문화 체험 프로그램, 이 세 가지에 동등한 무게를 두고 지속성을 도모해왔다. 이는 상당히 유효한 대안이라 판단한다.”
미술관을 선두에 두고 레이스를 하고 싶었으나 여의치 않더라는 얘기다. 미술관을 주력으로 삼고자 했던 의도에 스스로 제동을 건 것 같다.
미술관 운영이 어렵다지만 똑똑한 콘셉트를 가동할 경우엔 다르다. 미술관을 찾아주지 않는다고 탓할 일만은 아니라는 얘기다. 전시 작품이 재미있고 품질이 뛰어나면 달려오지 않을까?
“악조건 속에서도 지난 2년간 다수의 전시회를 열었다. 그러나 반응은 기대 이하였다. 질적으로 좋은 전시회도 썰렁하더라. 작품의 퀄리티 여부를 중시하는 관람객은 전체의 10% 미만에 불과한 것 같았다. 좋은 기획전에 즉각 호응이 나타나는 추세를 감지했다면 목숨 걸고 좋은 전시회 기획에 나섰을 것이다. 미술관 운영상의 역량 강화, 내부 정비의 필요성도 물론 외면할 수 없는 숙제이긴 하다. 지금은 숨고르기를 하는 중이다.”
상상력을 돋우는 재생 공간의 미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미술관은 뜻대로 굴러가지 않는다. 국내 미술관 문화의 열악성이 짐작되는 대목이다. 이를 깰 책임은 미술관 운영자들에게도 있을 테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