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홈케어·재활·복지 전시회 일환, 5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서
2024 시니어 트렌드 세미나가 6월 4일부터 6일까지 개최되는 ‘2024 홈케어·재활·복지 전시회’(2024 Reha·Homecare, 레하홈케어) 행사의 일환으로 5일 코엑스 컨퍼런스룸 300호에서 열린다.
시니어의 라이프 스타일과 건강, 노후 자금 등 노년의 모든 생활 분야에 대한 최신 동향을 점검하는 이번 행사는 총 3부에 걸쳐 진행된다.
1부에서는 치매예방과 돌봄을 주제로 사람중심케어에 입각한 노인돌봄부터 최근 연구 트렌드 등을 소개하고, 2부에서는 노년기 현금흐름과 관리를 주제로 은퇴 후 자금 등을 점검한다. 마지막 3부는 은퇴와 여가를 주제로 홀로남는 외로움, 유산과 승계 등이 다뤄질 예정이다.
이번 행사를 준비한 최학희 시니어라이프비즈니스 대표는 “이번 행사는 시니어의 노년의 삶 전반을 점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각 분야 전문가들의 통찰력과 최신 트렌드를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관련 기사
-
- [카드뉴스] “부동산 말고…” 시니어 부자가 뽑은 투자 1위는?
-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가 발표한 ‘2025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고자산가 88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시니어 부자들의 투자 성향에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다. 과거 부동산과 주식에 집중됐던 자산 운용 전략은 점차 안정성과 유동성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장 선호하는 투자처 1위는 ‘예금’으로 집계됐다. 경기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면서, 시니어 자산가들이 현금성 자산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니어 부
-
- 노후 생활비 마련, 수익형 부동산만이 답일까?
- Case 1 | 김영희 씨의 상가 투자 60세 은퇴자인 김영희(가명) 씨는 퇴직금 3억 원으로 서울 근교 역세권 상가를 매입했다. 월세 150만 원으로 연 6% 수익률을 기대했지만, 2년 후 임차인이 떠나며 6개월간 공실이 발생했다. 결국 관리비와 세금을 감당하며 손실을 보았다. 이 사례는 상가 투자의 높은 수익 가능성과 공실 위험을 동시에 보여준다. Case 2 | 박철수 씨의 오피스텔 투자 58세 박철수(가명) 씨는 퇴직금 일부인 1억 8000만 원으로 수도권 신도시의 신축 오피스텔을 매입했다. 월세 80만 원으로 연 5.3%
-
- 노년에 건강 리듬 더하는 운동처방 서비스 ‘노리케어’
- 건강에 대한 관심은 전 세대를 아우르지만, 중장년에게는 삶의 질과 직결되는 핵심 과제다. 시니어 맞춤 헬스케어 플랫폼 리브라이블리는 이런 흐름 속에서 의미 있는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노년기에도 생기 있고 활기찬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의지를 담은 리브라이블리(Live Lively). 지창대 리브라이블리 대표는 할머니가 낙상 후 급격히 쇠약해지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건강은 사후가 아닌 사전 관리가 중요하다는 걸 실감했다. 예방이 어르신의 삶에 얼마나 결정적인지 깊이 깨달은 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근감소증과 만성질환을 연
-
- 100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 200명 돌파…최고령 111세
-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100세 이상 고령 인구가 200명을 넘어섰다. 국민연금공단이 지난 1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월 기준 국민연금 전체 수급자 707만 명 중 100세 이상 수급자는 총 201명이다. 이 가운데 남성은 63명, 여성은 138명으로, 여성 수급자가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00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는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공단은 지난 2010년 100세 이상 수급자 13명을 대상으로 ‘장수 축하 행사’를
-
- [카드뉴스] 나도 부동산 투자해도 될까? 은퇴 후 투자 점검표
- ‘은퇴 후엔 부동산이 답이다’라는 말,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노후엔 집 한 채, 상가 하나쯤은 있어야 든든하다는 인식은 오랜 시간 우리 사회에 뿌리내려왔다. 하지만 그 믿음, 지금도 유효할까. 많은 시니어들이 놓치기 쉬운 부동산 의사결정의 맹점, 조금 더 현명하게 자산 지키는 방법을 카드뉴스를 통해 정리해봤다. ▲기대에 기댄 투자 재개발, 상권 형성, 월세 수익 등 '곧 오른다'는 말만 믿고 부동산을 매입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런 결정은 철저한 분석 없이 감정에 기대 이뤄진 ‘소비’에 가깝다. 기대감이 만든 투자는, 기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