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 간 인문 경험 교류 통해 인문가치 사회적 확산 목표
써드에이지는 지난 30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추진하는 ‘인생나눔교실 은퇴전문가 특화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사업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세대 간의 인문 경험 교류를 통해 인문가치의 사회적 확산을 목표로 한다.
‘인생나눔교실’은 중장년 선배 세대와 청소년, 대학생 등 후배 세대 간의 인문적 소통을 통해 개인 삶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고 품격 있는 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이번 은퇴전문가 특화 멘토링은 전문직 경력자들이 멘토로 참여하여, 그들의 전문지식과 직업윤리를 바탕으로 진로 및 경력 고민을 나누는 데 중점을 둔다.
써드에이지는 시니어와 청년을 연결하는 특성화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전문성을 인정받아, 9월부터 의료인, 변호사, 전문경영인 출신의 멘토봉사단을 대상으로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진행하며 본격적인 사업 운영을 시작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측은 “이 프로그램은 인생 선배들의 인문적 소양뿐만 아니라 전문직 경력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인 조언을 통해 후배 세대가 진로와 경력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고민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관련 기사
-
- 근친혼과 유류분, 친족상도례… 가족제도 변화는 진행 중
- 과거 드라마 ‘전원일기’가 전형적으로 보여주던 대가족 시대. 그 후 핵가족 시대를 지나, ‘나 혼자 산다’라는 예능 프로그램조차 방영된 지 어느덧 10년이 훌쩍 넘었다. 이처럼 가족 관념을 비롯한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나 인구구조 같은 여러 사회·환경적 변화 등에 따라 가족의 모습은 달라져왔다. ‘아들 못 낳으면 죄인’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남아선호사상이 지배적이었던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남아선호사상이 확연히 쇠퇴했다. 이는 헌법재판소 결정문에도 명시된 내용이다. 헌법재판소는 2024년 2월 임신 32주 이전에 태아의 성별을
-
- 을사년 정월에 챙겨볼 만한 자산관리 정보는?
- 새로운 것에 관심이 많은 방 씨는 자산관리와 관련해 2025년 새해부터 적용되는 것 중 본인이 챙겨야 할 것이 무엇인지 궁금해 상담을 신청해왔다. 자동차세 연납할인 자동차 소유주라면 누구나 매년 자동차세를 납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세는 1년에 두 번, 6월과 12월에 납부한다. 하지만 자동차세 연납 제도를 활용하면 일 년에 한 번, 1년치 자동차세를 미리 연납하고 자동차세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자동차세 연납할인은 1월, 3월, 6월, 9월에 16일부터 말일까지 신청할 수 있는데, 신청일 기준으로 다음 달부터 연말까지
-
- [카드뉴스] 새해맞이 무료 연하장 5가지
- 2025년 을사년울 맞아 감사와 따뜻한 마음을 전할 수 있는 무료 모바일 연하장 5가지를 준비했다. 사용법 ⦁PC: 이미지에 마우스를 대고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 ⦁모바일: 이미지를 길게 눌러 팝업창이 나오면 ‘이미지 저장’ 에디터 조형애 디자인 유영현
-
- [카드뉴스] 고혈당증, 어떻게 관리할까?
- 일반적으로 공복 혈당 60~100mg/dL, 식후 2시간 혈당 140mg/dL 미만이면 정상이다. 이 범위를 넘어서면 고혈당이라고 하는데, 고혈당증은 평소 혈당이 180mg/dL 이상 지속될 때 발생한다. 특히 고령 환자에게 위험한 고혈당증을 문준성 교수와 함께 정리했다. Q.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데, 발병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고혈당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多飲), 다식(多食), 다뇨(多尿), ‘3다 증상’입니다. 체중 감소, 피로감, 무기력증, 시야 흐림 등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혈당이 300
-
- “노년에도 늘 아름답게” 日노인 위한 ‘간호 미용연구소’
- 뷰티 전문학교를 운영하는 회사에 근무하던 야마기와 사토시(山際聡) 씨는 어느 날 한 가지 의문을 품게 되었다. 포화 상태인 뷰티업계에 과연 인재가 늘어나는 게 맞을까? 그는 사람이 필요한 산업을 찾다 일본 최초로 개호(간호) 미용학교를 만들었다. 도쿄 하라주쿠에서 그를 만나 사업 비결을 들어봤다. 뷰티업계는 ‘화려하다’는 이미지가 있고 배우고 싶어 하는 젊은 사람들이 많지만,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였다. 과거에는 미용사 한 명당 한 달 매출이 평균 100만 엔(약 929만 원) 정도였지만,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이제는 60만 엔(약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