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당뇨병, 노년 인지기능 저하 위험↑"<美연구팀>

입력 2014-03-21 18:51

 중년에 당뇨병이나 고혈압이 발생하면 노년에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메이요 클니닉의 로스버드 로버츠 박사는 중년(40-64세)에 당뇨병이나 고혈압 진단을 받으면 노년에 뇌세포 손실로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노인 1천437명(평균연령 80세)를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I)으로 뇌를 촬영하고 그 결과를 중년 때의 의료기록과 대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로버츠박사는 말했다.

 중년에 당뇨병 진단을 받은 사람은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해 뇌의 총용적(total brain volume)이 평균 2.9%, 기억중추인 해마의 용적은 4%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년에 고혈압이 발생한 사람은 혈압이 정상인 사람에 비해 이러한 뇌위축이나타날 가능성이 2배 높았다.

 당뇨병은 노년에 시작돼도 이러한 뇌위축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지만 노년에 발생한 고혈압은 연관이 없었다.

 이 결과는 당뇨병과 고혈압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나타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로버츠 박사는 설명했다.

 조사대상자 중 중년에 당뇨병 진단을 사람은 72명, 노년에 당뇨병이 발생한 사람은 142명이었다.

 중년에 고혈압이 발생한 사람은 449명, 노년에 고혈압이 나타난 사람은 448명이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신경학회 저널 ‘신경학’(Neurology) 온라인판(3월19일자)에 발표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日 난치병 환자·고령자 위한 ‘AI 목소리’ 지원 본격화
    日 난치병 환자·고령자 위한 ‘AI 목소리’ 지원 본격화
  • 빌 게이츠의 마이크로소프트, “미래 의학 혁명을 꿈꾸다”
    빌 게이츠의 마이크로소프트, “미래 의학 혁명을 꿈꾸다”
  • ‘간질’로 불리던 질환, 뇌전증…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가 관건
    ‘간질’로 불리던 질환, 뇌전증…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가 관건
  • 생성형 AI, 파킨슨병 조기 진단에 예측 영상까지 완수
    생성형 AI, 파킨슨병 조기 진단에 예측 영상까지 완수
  • [2025 인구보고서] '초고령화 선배' 일본에는 있고, 한국에는 없다
    [2025 인구보고서] '초고령화 선배' 일본에는 있고, 한국에는 없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