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가구 12년새 7.2배↑…노인 절반이 빈곤

입력 2014-03-25 09:40

가구주의 고령화 현상이 뚜렷해졌다.

또 가구주가 고령이거나 저소득층일수록 소득보다는 지출이 더 빠르게 늘어 빈곤 심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이 25일 발표한 '가구 특성에 따른 소비지출행태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전체 가구에서 20~30대 가구주의 비중은 1990년 56.9%에서 2012년 23.4%로 절반 이상 줄었다.

반면 60세 이상 가구주는 같은 기간 3.4%에서 24.3%로 7.2배 늘었다. 2010년 기준 노인 빈곤율(가처분 가구소득이 중위 소득의 50% 이하인 비율)은 47.2%로 2008년 45.5%보다 높아져 노인의 절반 정도가 상대적 빈곤 상태에 처해 있다.

고령가구일수록 오락·문화를 제외한 교통, 음식·숙박 등 일부 서비스 품목에 대한 지출이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저소득 가구일수록 소득보다는 지출 증가 속도가 빨랐다. 다만, 교육 부문은 가구의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지출을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해 우리 국민의 교육열을 보여줬다.

전체 가계 지출 가운데 식료품 등 필수 소비재 비중은 1990년 30.6%에서 2012년 17.6%로 감소했다.

대신 음식·숙박비(8.4%→12.7%), 교통비(6.4%→11.3%), 통신비(2.6%→6.7%) 비중은 증가했다. 이는 소득 증가로 여행·외식이 늘었기 때문이다.

가계의 서비스 지출비중은 51.9%에서 61.8%로 늘었다. 이중 지출비중 증가율을 100으로 했을 때 품목별 기여도는 통신(40.1%), 음식·숙박(27.5%), 교통(22.5%), 교육(7.4%) 순으로 컸다.

박문수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소득 고령층의 소득 수준 향상과 빈곤 방지를 위해 사회안전망 구축과 같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NH투자증권, ‘N2, 퇴직연금백서’ 단행본 발간
    NH투자증권, ‘N2, 퇴직연금백서’ 단행본 발간
  • 삼성생명, 삼성노블라이프에 4535억 출자…시니어 사업 본격 시동
    삼성생명, 삼성노블라이프에 4535억 출자…시니어 사업 본격 시동
  • 국민연금, 임의가입자 추후납부 보험료율 9→9.5% 인상
    국민연금, 임의가입자 추후납부 보험료율 9→9.5% 인상
  • 하나은행, 초고령 사회 대비 시니어 초청 ‘상속증여포럼’ 개최
    하나은행, 초고령 사회 대비 시니어 초청 ‘상속증여포럼’ 개최
  • 자생한방병원 “윤석열 인수위 사무실 제공 의혹, 사실 무근”
    자생한방병원 “윤석열 인수위 사무실 제공 의혹, 사실 무근”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