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자문단 칼럼] 버드나무 씨앗이 날리는 계절

기사입력 2014-03-31 19:16 기사수정 2014-04-01 19:02

봄은 개울가에 싹튼 버들강아지를 보면서 맞이한다. 버들강아지는 버드나무의 꽃을 일컫는 말이다. 종류가 많은 버드나무는 주로 북반구의 온대지역에 많이 자라고, 봄이 오면 가장 일찍 눈이 트며 생장도 빠른 식물이다. 우리나라에도 30종 넘는 버드나무 종류가 자생하고 있다. 버드나무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종 다양성이 월등히 높다. 그만큼 우리나라에는 버드나무와 연관된 설화도 많다. 고려 태조인 왕건이 물바가지에 버드나무 잎을 띄워서 건넨 낭자와 결혼했다는 설화는 유명하다. 비슷한 내용으로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와 둘째 부인이었던 신덕왕후 강씨의 이야기도 있다. 이밖에도 버드나무와 관련한 많은 전설과 야사가 우리나라 곳곳에 전해지고 있다. 그만큼 버드나무는 우리나라의 냇가나 우물가, 마을 어귀에서 흔히 볼 수 있었고 쓰임새도 많았던 나무였다.

동양에서 버드나무는 예로부터 건강과 충만한 생명력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사악한 기운을 몰아내는 나무로 믿었다. 불교에서 버드나무는 중생이 바라는 것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질병을 제거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양류관음도(楊柳觀音圖) 불화에는 오른손에 버드나무 가지를 쥐고 왼손에는 정화수(淨化水) 병을 들고 있는 관세음보살이 그려져 있다. 양류관음은 인도의 갠지즈 강변에 위치한 바이살리 지방에서 돌림병이 유행하였을 때 관음보살이 나타나 버드나무 가지와 정화수로 주문을 외워 역병을 없앴다는 내용이다. 또한 중국에서는 멀리 여행을 떠나는 사람에게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 선물하는 풍습이 있다. 이것은 버드나무의 강한 생명력과 잡귀를 몰아내는 힘을 빌려 무사히 여행을 끝내고 돌아올 수 있게 해달라는 기원의 의미가 있다.

그리스의 약리학자였던 디오스코리데스는 그의 저서를 통해 버드나무의 효능을 소개하였고 ‘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히포크라테스가 이미 통증을 완화하는 약재로 처방하였다. 19세기에 이르러 유럽의 화학자들이 버드나무 껍질에 진통 효과가 있는 살리실 배당체(Salicylglykoside)가 존재하는 것을 밝혔다. 이 성분을 바탕으로 1899년 바이엘 제약사에서 아스피린을 개발하였다. 아스피린은 이제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통증과 질병을 덜어주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최근에는 뇌졸중을 예방하고 협심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을 억제하는 효과가 알려져 더욱 주목받고 있는 약물이다.

버드나무는 물을 좋아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예로부터 버드나무 가지는 가뭄이 들 때 비를 기원하는 나무로 이용되었다. 대부분의 식물은 지하부의 통기성이 좋지 않은 습한 곳에서는 견디지 못한다. 그러나 버드나무는 물속에서도 잘 견디고 줄기를 제거하지 않는 한 새로운 뿌리와 싹이 돋아나는 강한 생명력을 지닌 식물이다. 속명인 ‘Salix’는 켈트어로 ‘가깝다’인 ‘Sal’과 ‘물’인 ‘Lis’의 합성어로 ‘물 가까이’라는 의미이다. 목재는 재질이 부드럽고 가공이 쉬워 가구 혹은 생활용구를 만드는데 이용한다. 수형이 아름답고 생장이 빠르며 튼튼하여 도심의 가로수나 정원수로 많이 심는다. 서양에서는 그리스의 서사시인 호메로스가 지은 장편 대서사시 오디세이아에도 영웅 오디세우스가 저승으로 들어가는 아케론 강가의 버드나무가 묘사되어 있으며 성경의 곳곳에도 버드나무가 복된 나무로 나타나 있다.

버드나무는 낙엽성의 교목이고 암수딴그루로 자란다. 암나무에 달리는 종자는 흰 솜털로 둘러싸여 있어 4월 하순경이 되면 눈처럼 흰 버드나무 씨앗이 곳곳에 흩날리는 것을 볼 수 있다. 한때는 이렇게 바람에 날리는 씨앗을 꽃가루로 오해하고 알레르기의 원인이라고 잘못 알려지기도 하였다. 그 결과 전국에 가로수나 조경용수로 식재되었던 버드나무가 대량으로 베어진 일도 있었다. 실제로 버드나무의 종자는 다른 식물의 꽃가루와는 달리 알레르기를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는 연구도 이미 발표된 바 있다. 버드나무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부드러운 솜털은 종자를 바람에 잘 날리게 하여 멀리까지 확산되도록 진화된 식물기관일 뿐이다. 버드나무 씨앗이 눈처럼 날리는 봄철에 축제를 개최하는 일본 도쿄의 한 지역도 있다. 최근 도심에 많이 조성되고 있는 자연형 하천이나 연못과 같은 친수공간 주변에 버드나무를 많이 식재하고 있다. 버드나무는 이제 더 이상 사람들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불편한 수종이 아니다. 모양도 좋고 재배하기 쉬워 나름대로 쓸모가 많은 나무이다. 그래도 펄펄 날리는 종자의 비산이 염려된다면 수나무만 꺾꽂이로 번식시켜 심으면 종자의 결실을 막을 수 있다.

<안영희 중앙대 교수>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노인 인구 1천만 명 시대의 공략법 ‘시니어 파워 시대’
    노인 인구 1천만 명 시대의 공략법 ‘시니어 파워 시대’
  • 손녀딸의 치매 할머니 간병기, “증상 완화보다 ‘존중’이 먼저”
    손녀딸의 치매 할머니 간병기, “증상 완화보다 ‘존중’이 먼저”
  •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고위험군 의심되면 신속 치료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고위험군 의심되면 신속 치료
  •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