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응교씨 별세, 박성현(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ㆍ의현(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ㆍ영현(강남대 산업공학과 교수)ㆍ윤정(제성실업상사 대표)씨 모친상=31일 오후 삼성서울병원, 발인 3일 오전, 02-3410-3151
관련 뉴스
-
- 돌봄은 든든하게 경제적 지원은 확실하게
- 10월 2일은 노인의 날이다.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만큼 정부 역시 고령화와 노인복지를 고려해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 정부가 발표한 내년도 예산안을 중심으로 새롭게 시행되거나 확대되는 노인복지 정책을 살펴봤다. 가장 큰 변화는 노인장기요양보험으로 대표되는 요양·돌봄 정책이다. 내년 3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이 시행돼 요양병원이나 요양시설에 입원·입소하지 않아도 거주하던 곳에서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받을 수 있다. 노후 소득 버팀목인 기초연금과 생계급여가 인상되고, 어르신
-
- 국민연금공단, 가치체계 개편 위해 대국민 설문조사 실시
- 국민연금공단이 공단의 가치체계에 대한 국민의 인식 조사에 나섰다. 2일 국민연금에 따르면 공단은 이달 12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가치체계(미션-비전-핵심가치) 개선을 위한 대국민 설문조사를 한다. 현재 공단의 미션은 ‘지속가능한 연금과 복지서비스로 국민 생활 안정과 행복한 삶에 기여’로, 비전은 ‘연금과 복지로 세대를 이어 행복을 더하는 글로벌 리딩 연금기관’으로 각각 설정돼 있다. 핵심가치는 신뢰, 혁신, 소통이다. 공단은 대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해 도약, 책임, 전문 등 핵심가치 개편을 검토하고 있다. 이번 설문을 통해 핵심가치
-
- 주금공, 고령층 맞춤 지원 강화 전략 과제 선정
- 주택금융공사는 고령층 등 사회적 배려대상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등 국정과제 실현을 위한 중점 전략과제를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주금공은 중점 전략과제로 △공공기관 인공지능(AI) 선도 △그린성장 주도 △생애주기 맞춤형 포용금융 지원을 정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국민 체감형 주택금융서비스를 발굴하고 친환경 주택공급 활성화를 지원하며, 정부의 민생안정과 주거복지 강화 정책 지원 등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공사는 금융 공공기관 최초로 업무망 내에서 이용 가능한 GPT(HFGPT)를 자체 개발한 노하우를 살려, AI를
-
- 정부 복지 로드맵 마련 "고령화 대응, 돌봄 국가책임 강화"
- 1일 보건복지 국정과제 설명 및 이행방안 논의 중앙-지방 협력회의 개최 돌봄 국가책임 강화·촘촘한 사회보장제도 구축 등 5대 목표·11개 과제 구성 간병비 급여화·간호-간병 통합서비스 확대, 국민 의료비 부담 경감 돌봄 국가책임 강화…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사업, 내년 3월부터 시행 정부가 복지강국을 위한 5대 국정목표, 11개 국정과제를 정하고 이행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1일 서울 중구 소재 회의장에서 ‘새 정부 보건복지 분야 국정과제 설명 및 이행방안 논의를 위한 중앙-지방 협력회의’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회의는
-
- “추석 선물 상품권 선호” 절반 차지… 50·60 “연휴 집서 쉴 것”
-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가 20~69세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추석 연휴 인식 조사’에서 응답자의 56.0%가 “집에서 휴식”을 계획한다고 밝혔다. 귀성(35.7%)과 국내여행(24.2%)이 뒤를 이었으며, 특히 50·60대는 과반이 휴식을 택해 ‘집콕형 명절’ 경향이 뚜렷했다. 세대별 차이는 분명했다. 30대의 43.5%는 귀성을, 20대는 국내(29.0%)·해외여행(12.5%) 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장년층은 휴식 비중이 50대 58.0%, 60대 52.0%로 나타났다. 연휴 길이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