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만동씨 별세, 유장환(목원대 신학과 교수)씨 부친상=7일 오전 논산 강경장례식장, 발인 9일 오전, 041-745-1842
관련 뉴스
-
- [챗GPT 브리핑] 서울시, 중장년 AI 역량 강화 프로 운영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서울시, 중장년 맞춤형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가동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신한라이프와 협력해 중장년 맞춤형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AI 활용 디지털 강사 과정과 생성형 AI 창업스쿨 등 두 과정으로, 교육비는 무료이며 40세 이상 시민이 대상이다. 수료 후에는 강사 활동 및 1:1 컨설팅을 통해 취·창업 연계 지원도 제공한다. 허은숙 서울시50플러스 중부캠퍼스 센
-
- [카드뉴스] '추석 지원금' 지급하는 지자체별 조건·금액 정리
- 2025년 추석은 10월 3일 개천절부터 9일 한글날까지 이어지며, 10일 하루 연차를 사용할 경우 최장 10일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하다. 긴 연휴에 따른 지출 증가를 고려해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추석맞이 지원금 지급 계획을 내놨다. 서울·경기 등 대도시권은 대부분 별도 지원이 없지만, 전남 영광·장흥군과 전북 부안군, 정읍시 등은 주민 생활 안정을 위해 지원금을 편성했다. 지원 규모와 신청 조건은 지자체별로 상이하다. 각 지자체별 지원금 규모와 신청 조건을 카드뉴스로 정리해 봤다.
-
- 거짓말하는 AI, 고령자 AI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 AI의 발전이 일상에 깊숙이 스며들면서 시니어 세대 역시 AI와 자연스럽게 만나는 시대가 도래했다. 누구나 AI를 활용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그 안에 숨어 있는 위험한 판단과 무감각한 자신감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인 고령층은 AI가 주는 답변을 ‘신뢰해도 되는 말’로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AI는 인간처럼 맥락을 이해하거나 상황을 조율하지 못한다. 홍순만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최근 바둑 AI 연구와 사회과학적 통찰을 통해 ‘AI는 결과가 나쁘더라도 감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지
-
- “복지분야 법정지출 연평균 6.8% 증가…4년 후에 237조 전망”
- 보건·복지·고용 분야(이하 복지 분야) 법정지출 4년 후에 237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8일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복지 분야 법정지출은 올해 181조8000억 원(본예산 기준)에서 연평균 6.8%씩 늘어 2029년에는 237조 원까지 불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2024∼2028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는 2027년과 2028년 복지 분야 지출을 각각 204조9000억 원, 214조1000억 원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올해는 해당 연도 지출을 각각 211조2000억 원, 224조10
-
- [중장년 필독 정보통] 4개 자치구 특화 교육...중장년 자산관리 '서울리테크'
- 바쁜 일상,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중장년이 꼭 챙겨야할 각종 무료 교육, 일자리 정보, 지자체 혜택 등을 모아 전달 드립니다. 경제 역량 강화시켜주는 ‘서울 리(Re)테크’ 2025년 하반기 서울시는 40세 이상 시민을 위해 경제교육과 재무상담을 결합한 ‘서울 리(Re)테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구로·서대문·성북·송파구 평생학습관에서 지역 특색을 반영한 경제특강과 1:1 원포인트 재무상담(약 15분)이 이뤄진다. 또한 서울시민대학을 통한 수강 또는 정기 재무상담(비대면 1회 + 대면 1회)도 신청할 수 있어 중장년층의 자산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