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호(前 서울보증보험 부사장)씨 별세, 이동호(前 내무부장관)씨 형님상, 이근택(썬엠티 대표)ㆍ근중(썬엠틴 대표)씨 부친상, 최충석(한울 사장)ㆍ이강우ㆍ김주열ㆍ엄은종(지코 대표)씨 장인상=10일 오후 삼성서울병원, 발인 13일 오전, 02-3410-6917
관련 뉴스
-
- “복지분야 법정지출 연평균 6.8% 증가…4년 후에 237조 전망”
- 보건·복지·고용 분야(이하 복지 분야) 법정지출 4년 후에 237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8일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복지 분야 법정지출은 올해 181조8000억 원(본예산 기준)에서 연평균 6.8%씩 늘어 2029년에는 237조 원까지 불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2024∼2028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는 2027년과 2028년 복지 분야 지출을 각각 204조9000억 원, 214조1000억 원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올해는 해당 연도 지출을 각각 211조2000억 원, 224조10
-
- [중장년 필독 정보통] 4개 자치구 특화 교육...중장년 자산관리 '서울리테크'
- 바쁜 일상,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중장년이 꼭 챙겨야할 각종 무료 교육, 일자리 정보, 지자체 혜택 등을 모아 전달 드립니다. 경제 역량 강화시켜주는 ‘서울 리(Re)테크’ 2025년 하반기 서울시는 40세 이상 시민을 위해 경제교육과 재무상담을 결합한 ‘서울 리(Re)테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구로·서대문·성북·송파구 평생학습관에서 지역 특색을 반영한 경제특강과 1:1 원포인트 재무상담(약 15분)이 이뤄진다. 또한 서울시민대학을 통한 수강 또는 정기 재무상담(비대면 1회 + 대면 1회)도 신청할 수 있어 중장년층의 자산관
-
- [챗GPT 브리핑] 고령화 습격…4년 뒤 복지분야 법정지출 237조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복지 법정지출, 고령화·물가 영향에 2029년 237조 원 7일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고령화와 복지 수요 확대에 따라 복지 분야 법정지출은 올해 181조 8천억 원에서 2029년 237조 원으로 30%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이 가운데 4대 연금 지출은 118조 원, 기초연금·장기요양보험은 31조 원, 기초생활보장은 26조 원으로
-
- [Trend&Bravo] 챗GPT가 전부 아냐, 무료 AI 5선
- 시니어에게 AI는 아직 낯설게 다가오지만, 어느새 생활 속 필수 도구가 되었다. 날씨를 묻고, 건강 정보를 확인하고, 여행지를 추천받는 일상에서 AI는 이미 ‘나만의 비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반가운 점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다양하다는 것이다. 대화에 강한 서비스, 검색에 특화된 서비스, 한국어에 친숙한 서비스 등 저마다 장점이 달라 필요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복잡하게 배울 필요 없이 각 플랫폼의 특징만 이해해도 손쉽게 시작할 수 있다. 막막했던 AI, 카드뉴스로 하나씩 살펴보자.
-
- 리빙 제품 핵심 소비층 4050…거래액 급증
- 집 꾸미기에 관심이 많은 4050 세대의 소비가 빠르게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다. 4050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퀸잇’은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맞춤형 큐레이션과 무료배송 전략을 강화하며 리빙 카테고리에서 놀라운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라포랩스가 운영하는 퀸잇은 리빙 카테고리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16배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 8월 진행된 ‘리빙위크’ 행사에서는 7월 대비 거래액이 53% 늘고 주문 고객 수가 3배 이상 늘었다. 특히 최근 3개월(6~8월) 거래액은 직전 분기 대비 30% 이상 증가했고, 구매 고객 수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