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순남씨 별세, 조전혁(명지대 교양학부 교수ㆍ전 국회의원)씨 모친상=3일 오전 강북삼성병원, 발인 5일 오전, 02-2001-1081
관련 뉴스
-
- 좌충우돌 목(木)테크 실패기
- 15년 전 귀촌·귀농을 계획할 때 처음 만났던 ㄱㅈ원예의 나무 담당 팀장은 장대한 기골과 수려한 외모 못지않게 화려한 말솜씨가 일품이었다. “나무는 재고가 없는 상품입니다. 한 해 묵으면 그만큼 가치가 높아져 값이 더 나갈 테니 걱정하실 필요가 없지요. 노후엔 나무 목(木)! 목(木)테크보다 더 좋은 투자는 없습니다. 게다가 나무 가꾸기는 훌륭한 소일거리가 될 테니 금상첨화고요.” 각기 다른 매력의 소나무들 블루베리 농장 주인장은 팀장의 꼬임에 귀가 솔깃해져 블루베리를 심기도 전에, 2년생 소나무 묘목을 500평(약 1652㎡)과
-
- 고령화 가속…65세 이상 교통약자 1년 새 53만 명 늘었다
- 교통약자 1613만 명…고령층 증가가 전체 규모 끌어올려 이동편의시설 기준적합률 79.3%…저상버스 보급률 44% 우리 사회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교통약자 규모가 1600만 명을 넘었다. 국토교통부는 ‘2024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를 통해 지난해 말 기준 교통약자는 총인구 5122만 명의 31.5%인 1613만 명으로 전년보다 26만4000명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전체 증가분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가 53만 명 증가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고령자 외에는 영유아 동반자(16만6000명 감소), 어린이(6
-
- 법안소위 통과 ‘은퇴자마을’ 특별법 보니…“55세도 희망하면 이주 가능”
- 국토교통위 법안심사소위 통과…고령층 맞춤 ‘은퇴자마을’ 조성 근거 마련 은퇴자 정의 55세까지 확대 눈길…5년 단위 기본계획 수립으로 체계적 관리 ‘은퇴자마을’ 특별법이 상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하면서 법안 내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6일 국회에 따르면 24일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국토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은퇴자마을(도시) 조성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안(이하 은퇴자마을 특별법)’이 의결됐다. 해당 법안은 맹성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작년 6월에 대표 발의했고, 올해에는 엄태영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발의했다. 두 건의 법안은
-
- [AI 브리핑] 韓, 고령층 고용률 OECD 1위…“절반 이상 생계형 노동”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AI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한국, 고령층 고용률 OECD 1위…“절반 이상이 생계형 노동” 국민연금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 37.3%로 OECD 1위지만, 절반 이상이 생계형 노동(54.4%)에 내몰리고 있다. 평균 퇴직 52.9세·연금 수령 63~65세로 최소 10년 ‘소득 크레바스’가 발생한다. 평균 연금 66만원으로 최저생계비의 절반 수준이어서 연금을 받아도 일을 멈추기 어려운
-
- [Trend&Bravo] 배우자의 부재를 가장 크게 느끼는 순간 6
- 혼자 보내는 시간이 익숙해진 4050 돌싱이라도 문득 일상 속에서 ‘배우자가 있었으면’ 하고 떠오르는 순간은 존재한다. 최근 재혼정보회사 온리-유가 결혼정보업체 비에나래와 공동으로 지난 17~23일 전국 재혼 희망 돌싱 남녀 5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상 속 작은 생활 습관부터 사회적 자리까지 남녀가 느끼는 공백의 순간이 의외로 뚜렷하게 드러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몸이 불편할 때 떠오르는 필요를, 여성은 집안이나 생활 속 무게 부담에서 오는 아쉬움을 먼저 꼽는 등 성별에 따라 느끼는 결핍의 지점도 서로 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AI 브리핑] 韓, 고령층 고용률 OECD 1위…“절반 이상 생계형 노동” 外](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42562.jpg)
![[Trend&Bravo] 배우자의 부재를 가장 크게 느끼는 순간 6](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5835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