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주(前 가톨릭대학 이공대학장)씨 별세, 이남주(주부)씨 남편상, 윤희선(삼성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씨 부친상, 김현주(한국GM 차장)씨 시부상=1일 오전 여의도성모병원, 발인 3일 오후, 02-2779-1857
관련 뉴스
-
- 나이든 서울 가족, 고령자 가구 125만 넘어…7년만에 31만여가구 늘어
- 서울시, 통계청 근거 가족·가구 형태 변화 등 추이 분석 가구원 모두 65세 이상, 64만여 가구…7년 전보다 25만여가구 증가 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서울의 가족 풍경이 달라지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 수가 늘면서 ‘가족 연령’이 높아지고 있다. 서울시는 15일 ‘서울시민의 결혼과 가족 형태의 변화’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기준 고령자 가구는 125만7057가구로 집계됐다고 분석했다. 2017년 94만6380가구보다 31만677가구 증가한 수치다. 고령자 가구는 가구원 중 1명이라도 65세 이상 가구원이 있는 가구
-
- [중장년 필독 정보통] 중년층 뇌 건강 돕는 ‘브레인핏45’ 앱 출시
- 바쁜 일상,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중장년이 꼭 챙겨야할 각종 무료 교육, 일자리 정보, 지자체 혜택 등을 모아 전달 드립니다. 치매 발병 위험 최대 45% 낮추는 습관 관리 서울시가 4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과 뇌 건강 관리를 지원하는 공공 앱 ‘브레인핏45’를 선보인다. 19일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해 내년 3월부터 정식 서비스로 전환할 예정이다. 앱의 이름은 국제 의학 학술지 ‘랜싯(Lancet)’이 발표한 연구에서 착안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45세부터 생활습관을 개선하면 치매 발병 위험을 약 45% 줄일 수
-
- [Trend&Bravo] 현실 귀촌인들이 말하는 귀농이 힘든 진짜 이유 5
- 귀촌은 많은 도시민들이 꿈꾸는 라이프스타일로 꼽히지만, 실제 정착 과정에서는 예상치 못한 어려움이 뒤따른다. 2023년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귀촌인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문제는 지역 인프라 부족과 소득 불안, 그리고 주민들과의 관계 갈등 등이었다. 주거와 농사 문제도 귀촌 정착의 큰 걸림돌로 나타났다. 이처럼 귀촌은 단순한 이주가 아니라 생활 기반을 새롭게 구축하는 과정이기에 현실적인 고민과 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귀촌을 고민하고 있다 면 많은 이들의 고민을 카드뉴스로 미리 확인해 보자.
-
- 보험硏 “고령 운전자 면허 갱신 주기 단축해야…주요국 1~3년”
- 고령 운전자의 면허 갱신 주기를 지금보다 단축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천지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14일 ‘인구 고령화에 대응한 고령 운전자 관련 제도 개선 방안’ 보고서에서 “면허 갱신 주기 단축 시점을 앞당겨 고령 운전자 전반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 운전면허 갱신 주기는 65세 이상은 5년, 75세 이상은 3년으로 규정한다. 그러나 일본, 중국, 영국 등 주요국은 70세를 기점으로 면허 갱신주기를 1~3년으로 단축한다. 다만 천 연구위원은 “고령자 면허 주기를 일괄적으로 단축하면 행정 비용이
-
- 임대주택 고령자 1인 가구에도 AI 돌봄 전화 서비스 제공
-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1인 고령자 가구를 위해 AI 돌봄 전화 서비스가 마련된다. 14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올해 연말까지 국민·영구임대주택에 사는 고령자 1인 가구 2000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돌봄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는 네이버클라우드의 ‘클로바 케어콜’을 활용해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의 안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LH는 연말까지 시범 사업을 진행한 뒤 효과 검증 등을 거쳐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산할 계획이다. LH는 주거 복지 사업 분야에 생성형 AI 기술을 연계해 기존 주거 복지 서비스의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