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 어떻게 쓰십니까?

기사입력 2016-02-15 17:14 기사수정 2016-02-15 17:14

사전에 쓰인 ‘용돈’의 정의는 ‘개인이 자질구레하게 쓰는 돈.

또는 특별한 목적을 갖지 않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다.

말 그대로 그 누구의 방해를 받지 않고 내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돈이라는 뜻.

그렇다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시니어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용돈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을까?

각기 다른 분야의 시니어 남녀 4명에게 물었다.

질문 ?한 달 용돈은 얼마?

?용돈 주로 어디에 쓰나?

?1년에 가장 지출이 많은 달은?

?세뱃돈은 얼마나 지출하나?

?500만원 혹은 그 이상의 돈이 생긴다면?

▲용돈, 어떻게 쓰십니까?
▲용돈, 어떻게 쓰십니까?

“우리 나이 되면 그렇게 욕심내 쓸 곳이 없어요”

(男77, OO 기업 회장)

기업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돈 많이 쓸 거로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한 달에 저만을 위해 쓰는 돈은 한 50만원 정도입니다. 주로 지인들과 식사하거나, 등산모임에 가서 쓰는 것이 전부죠. 지인들 만나서 제가 주로 밥값을 내는 편입니다. 평균적으로 연말에 씀씀이가 많이 커집니다. 어려운 사람도 도와야 하고요. 그리고 그다음으로 많이 나가는 건 설날 등 명절이지요. 세뱃돈은 아이들 나이에 따라서 차등 지급합니다. 1만원에서 5만원까지 생각해요. 초등학생은 1만원, 중학생은 2, 3만원, 고등학생은 5만원 정도 세뱃돈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만약 저를 위한 큰돈이 생긴다면 좋은 데 쓰고 싶습니다. 봉사하러 요양원에 자주 가는데 그런 곳에 보태주는 게 보람 있지 않겠습니까? 지인들과 밥도 사 먹고 싶고, 직원들과도 나눠야겠죠. 선물도 주고 말입니다. 사실 그렇게 뭘 가지고 싶은 것도 없어요. 우리 같은 사람들은 어린아이, 직원들에게 써야죠. 돈 들어오면 쓰느라 바쁩니다. 회사 빌딩 경비, 용역 직원에게도 나눠드리고 싶어요. 나이 먹으니까 작은 것이라도 실천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 늘 생각하고 삽니다. 돈도 중요하지만 보람있게 살고 싶습니다.

“내 이름으로 된 통장 없어요. 단, 돈은 쓸 뿐”

(女66, OO 갤러리 관장)

용돈이 얼만지 솔직히 생각해 본 적이 없어요. 가계부도 살면서 써본 적이 없거든요. 돈은 주로 누구를 만나 음식 대접할 때 쓰거나 미술관 갈 때, 미술관에서 차 마실 때 쓰죠. 만나는 사람이 저보다 어리거나 월급 받아 사는 친구들이라면 제가 돈을 써요. 아무래도 내가 쓰는 게 낫죠.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가 돈은 모을 필요 없다고 가르치셔서 우리 자매들 다 돈에 연연하지 않으면서 삽니다. 어렸을 때도 아버지가 남들 용돈 4, 5배는 주셨거든요.

문화 교육, 강의 등 문화 관련 분야 굉장히 좋아해요. 예술의전당은 몇 개월 들으면 40여만 원이고 개인교습은 좀 더 비싸요. 그룹으로 클래식 이야기 듣기도 하고요. 문화를 즐기고 지식을 넓히는 게 즐겁습니다. 남편이 장애아동 돕는 일을 정말 열심히 해요. 제가 뭔가 돕는 거 대신 골프를 안 쳐요. 이미 처녀 때 다 해봤고. 골프 안 치는 것만으로도 돈 안 쓰는 거니까 남편 도와주는 거로 생각해요.

사실 양친 부모님이 돌아가신 이후 특별히 용돈 드릴 곳도 없고, 돈은 항상 비슷하게 나가는 거 같아요. 언제 많이 나가고 적게 나가는지 생각해 본 적 없어요.

예전에는 세뱃돈 많이 주는 이모고 고모였어요. 그런데 요즘 사촌 조카들 다 시집, 장가가고 우리 집까지는 발길이 안 닿아서 특별히 아이들에게 세뱃돈을 줘 본 적은 없어요. 단, 우연히 호텔 로비나 헬스장에서 친구 손자를 만나면 단 얼마라도 손에 쥐여주거든요. 좀 큰 애들은 5만원, 어린아이는 2만원. 뭐 그런 돈을 주느냐는 사람도 있지만 그건 ‘내가 너희를 만나서 반갑다’는 의미거든요. 내 버릇이기도 하고 오랫동안 가지고 온 내 스타일이기도 합니다.

큰돈이 생기면 일시적으로 아주 좋겠지요. 일단 친구, 형제 순으로 만나서 밥 먼저 먹으려고요. 먹고 나서 스카프 같은 선물도 준비해서 줄 거예요. 자주 가는 호텔 빵집에 들러서 빵도 사줄 거예요.

“큰돈이 생기면 따뜻한 섬나라 가서 몇 년 살다 오고 싶어요”

(男59, 자유기고가)

카드를 주로 이용하는데 청구서를 보면 들쭉날쭉이더라고요. 60만원 정도부터 300만원까지. 내가 여행을 갈 때는 그보다 훨씬 많기도 해요. 어제도 여행비 460만원 결제했습니다.

돈 쓰는 거야 주로 지인들과 밥 사 먹는 데 많이 사용합니다.

사실 우리 부부는 세뱃돈을 주기 보다 받아왔어요. 작년에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는데 그전까지는 우리 부부가 세배를 하면 세뱃돈을 주셨죠. 우리 가정은 상당히 자유로워서 집을 거점으로 생각해요. 꼭 돌아와야 하는 개념 같은 거 모르고 살았어요. 아이들이 외국에도 많이 가 있어서 세뱃돈 챙겨줄 일이 없었습니다. 몇백만 원이면 푼돈이라 간단히 길 떠나는 데 써야 할 것 같고, 몇억이 생기면 다 접고, 따뜻한 어느 섬나라 가서 몇 년 살다 오고 싶어요. 여행자가 아니라 몇 개월 이상, 1년~2년 각기 다른 대륙에 살아볼 생각이거든요. 죽기 전에 말입니다. 나이가 들어서 여행가는 거니까 돈이 많이 있어야 해요. 레스토랑에서 누군가에게 밥을 사주어야지 함께 밥을 먹지 않겠어요? 언젠가 캐나다 노바스코샤에서 배낭여행길에 한 노부부와 바닷가재를 먹었는데 수다와 식사를 즐긴 뒤 그 부부가 돈을 내니 참 좋더라고요. 나도 나중에 저렇게 살아야지 했습니다. 그러니 나이들면 언제든지 쌈짓돈이 필요해요.

“친구들 만나 밥 먹는데 돈을 제일 많이 쓰지 않나요?”

(女56, 주부)

용돈은 한 달에 대략 200만원 정도 쓰는 것 같아요. 용돈이라기보다는 그냥 생활비라고 하는 게 맞는 표현인데 여행도 용돈에 포함했을 때 이 정도 쓰는 거 같아요. 기본적으로 유류비가 많이 나가고요, 친구들을 만나 식사하거나 문화생활도 하고요. 지금까지 명절에 돈을 많이 썼던 것 같아요. 양가 부모님 다 살아계셔서 용돈을 드리는데 각각 20만원 정도 드립니다. 그런데 또 세뱃돈은 줘본 적이 없네요. 매년 설날 때마다 외국으로 여행을 가기 때문에 세뱃돈 생각 안 해봤어요. 이번 설날에는 형제들과 함께 5박 6일 일정으로 베트남 다낭으로 여행갑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2025 노후 트렌드⑤] 노후 소득이 달렸다, ‘연금빌리티’
    [2025 노후 트렌드⑤] 노후 소득이 달렸다, ‘연금빌리티’
  • [카드뉴스] 노후 대비 투자 이렇게 하세요
    [카드뉴스] 노후 대비 투자 이렇게 하세요
  • 해외 금융계좌 신고 어기면 ‘과태료 폭탄’
    해외 금융계좌 신고 어기면 ‘과태료 폭탄’
  • [카드뉴스] 잠자는 퇴직연금 찾는 법
    [카드뉴스] 잠자는 퇴직연금 찾는 법
  • [카드뉴스] 4050 직장인을 위한 노후준비 전략
    [카드뉴스] 4050 직장인을 위한 노후준비 전략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