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년기자 칼럼] 부부의 날을 기념하며

기사입력 2016-05-23 11:06 기사수정 2016-06-22 11:02

▲21일은 부부의 날이었다. 사진은 아파트 마당에 있는 부부를 주제로 한 조각 작품. (양복희 동년기자)
▲21일은 부부의 날이었다. 사진은 아파트 마당에 있는 부부를 주제로 한 조각 작품. (양복희 동년기자)
우리 한자어에 부부(夫婦)라 함은 지아비 부(夫)와 지어미 부(婦)를 뜻한다.

부부의 날은 2007년 부부 관계의 소중함을 깨우치고 흔들리는 가정의 이탈 속에서 화목한 가정을 이끌어 가자는 취지로 여성가족부 주관으로 만들어진 법정기념일이다. 건전한 가족 문화의 정착과 가족 해체 예방을 위한 행사를 개최하는 의미를 담고 만들어진 특별한 날이다.

매년 5월 21일로, 5월은 가정의 달로 숫자 2는 두 사람이 1은 하나가 된다는 의미에서 만들어졌다.

뜻 깊은 부부의 날을 맞이하여, 가정마다 이혼율은 높아지고 그것도 황혼이혼율이 늘고 있는 요즈음에, 바로 내 옆에 있는 동반자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특별한 날이기를 소망하면서 설정스님의 인생법문 (어떻게 살 것인가?)에서 부부의 행복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5가지를 소개해 본다.

부부처럼 지중한 인연도 없으련만 서로 잘 이해하고 사랑하면서 함께 나이 들어 가는 방법은 왜 없을 까. 그 소중한 인연을 우리는 공기의 소중함을 모르듯 함부로 대하고 있다.

부부 관계란 서로 사랑하는 것이 순리인데 우리는 그것을 역행하며 때로는 이용의 도구로 삼고 있기도 한다. 부부의 인연이 다 좋은 것만은 아니다. 더구나 어차피 맺어져 한 가정을 이루고 자식들과 함께 지어미와 지아비로 천륜으로 맺어졌다면 더욱이 그 엉킴의 타래는 해결해야만 할 것이다.

건강하고 행복한 부부로 살기 위해서는

첫째 관심을 갖는 것이다.

상대방이 어떠한 상황에 있는지 어떤 마음인지 늘 사랑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존중하는 것이다.

상대방은 내 소유가 아니라 취향과 사생활을 존중하며 서로를 격려해야 한다.

셋째 책임져야 한다.

배우자를 이용가치로 생각하지 말고 책임져야 할 대상으로 조건 없이 헌신해야 한다.

넷째 이해해야 한다.

항상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며 배려하고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주기 이다.

희망을 주고 사랑과 위로를 주고 때로는 악연일수록 조건 없이 주어야 한다. 좋은 말을해 주고 따뜻한 표정으로 부드러운 언어로 좋은 마음을 보내주는 것은 중요하다. 좋은 에너지는 주면 줄수록 악연은 빨리 풀어진다고 한다.

부부의 날 첫 주창자인 권재도 목사는 “우리 엄마 아빠가 함께 사는 게 소원이에요.”라는 한 어린이의 TV인터뷰를 보면서 그 충격으로 부부의 날 운동을 시작했다고 한다.

필자는 가슴이 울컥해졌다. 우리가 살면서 부부의 인연으로 만나 한 가정을 이루면서 어찌 평탄하기만 했을까. 산 넘으면 고갯길이 또 한고비를 넘기면 다음 산마루가 그렇게 어느덧 인생 반 고비를 넘기며 이제, 저 산 꼭대기를 얼마 남기지 않고 있다.

어느 날인가 큰딸아이가 9살쯤 되었을 때인 것 같다. 남편과 안방 문을 걸어 잠그고 크게 싸우고 나오는데, 큰아이가 방문 앞에서 엎드려 절을 하다가 소스라 치게 놀라 자기 방으로 뛰어 들어갔다.

필자는 다짜고짜로 뭐 하는 짓이냐고 다그쳤다. 아이는 울면서 말을 했다. 엄마 아빠가 싸우지 않게 해달라고 헤어지지 않게 해달라고 열심히 문 앞에서 절을 했다고 했다. 기가 막혀 말이 나오지를 않았다. 필자는 그날 이후로는 힘이 들 때면 가정에 위기가 올 때면 그날을 가슴에 깊이 새기며 견뎌오곤 했다.

이제 살아온 날보다 살아 갈 날이 멀지 않았다. 돌아서 앉아있는 남편의 머리 칼은 희끗희끗 처량하게 변색되어 있고 어깨는 축 처진 채로 지나온 날을 대변해준다. 미워하며 살아온 날도 더러는 사랑의 앙금이리라.

이제와 더 무엇을 찾을 것 인가. 이제 책 속에 무수히 써있는 보이는 글 보다는, 세상에 널려져 보이지 않는 우리 부부의 삶의 글을 되돌아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특별한날, 필자 부부가 좋아하는 간짜장 해물짬뽕이나 먹으러 가자고 해야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 2025년 새해, 노후의 초석 마련할 ‘비움’ 습관 세 가지
    2025년 새해, 노후의 초석 마련할 ‘비움’ 습관 세 가지
  •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