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철훈의 사진 이야기] 인간의 ‘렌즈’에는 희망이 담긴다

기사입력 2016-06-27 14:28 기사수정 2022-12-23 10:10

몽골은 봄이 아주 늦게 시작된다. 이토록 어렵게 온 봄인데도 그 기간이 아주 짧다. 그래서 이때는 사람들이 서로에 대한 안부보다 꽃에 대한 안부를 묻는다. “진달래가 어느 길목에 모여 피었다던데 보셨나요?” “보라색 할미꽃은 자이산 기슭에 있어요.” “거기엔 에델바이스가 한창 올라오던데 비가 한 번 더 내려주었으면 좋겠어요.”

거의 8개월의 거친 바람과 추위 속에서 피어난 꽃인지라 같은 진달래인데도 꽃잎은 더 작고 빛깔은 곱고, 그리고 향기는 더 진하다. 집 앞마당에도 오종종한 것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것이 그저 잡초라 해도, 힘들게 심은 잔디를 밀어내고 쭈삣 삐져나온 민들레라고 해도 그것을 뽑아 버리는 사람은 없다, 그렇게 노란 꽃이 지고 만들어낸 화관의 민들레다.

사진을 시작할 땐 내가 본 것을 필름에 담아 내려 하였는데 이젠 내 맨눈으로 볼 수 없었던 세상의 많은 것을 뷰 파인더를 통해 보고 있다. 이렇게 말하면 무슨 특별한 기술이나 비법을 터득한 것처럼 들릴지 모르나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렌즈의 기능이 얼마나 놀라운 것인지를 나누려 꺼낸 말이다. 우리의 눈과 동물들의 눈을 서로 연결해 비교해 보면 이해가 한결 쉬워진다.

사진은 1839년 니엡스와 다게레오에 의해 시작된다. 그러나 그 전에도 사진기는 있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위시한 많은 화가들이 그림 그리는 데 이미 사진기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그 사진기에는 렌즈가 없었다. 사진기에 렌즈를 사용했다는 기록들이 있는데 1569년경 다니엘 바르바로가 바늘구멍을 렌즈로 대치해 보다 선명한 상을 얻었다는 기록을 보면 분명해진다. 그렇다면 인간은 렌즈 없이 단순한 구멍을 이용해 빛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를 사용해 왔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자기 몸에 이 렌즈를 두 개씩이나 갖고 태어나 날마다, 시간마다 사용하며 살아왔다. 바로 우리의 눈이 놀라운 렌즈라는 것이 경이롭게 다가온다. 더구나 이 눈이라는 렌즈는 사람만 갖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다. 거의 모든 동물들도 이 렌즈를 우리처럼 갖고 있다.

그런데 더 재미있는 것은 그 눈들의 성능이 동물마다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초원에서 살아가는 초식동물은 두 눈의 간격이 넓은데 어떤 동물은 눈이 머리의 양쪽 면에 각각 따로 달려 있다. 이런 눈으로는 사물을 심도 있게 보기 어렵지만, 넓은 범위를 볼 수 있으므로 포식자를 찾아내는 데 유리하다. 초식동물은 먹이가 초원이나 숲에 널려 있는 풀과 열매이기 때문에 심도 있는 지각이 별 필요가 없다. 이런 눈으로는 세상이 어떻게 보이는지 궁금하다면, 광각렌즈로 사진을 찍어 보면 알 수 있다. 광각렌즈는 초식동물의 눈처럼 초점거리는 짧지만 넓은 범위를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렌즈이기 때문이다.

반면 육식동물의 눈은 얼굴 전면을 향해 있으며 두 눈이 가까이 붙어 있다. 덕분에 시야는 좁지만 멀리까지 바라볼 수 있다. 이는 육식동물의 경우 먹이사슬의 위쪽에 위치해 있어, 잡혀먹힐 일을 걱정하기보다 먹을 것을 구할 일을 더 걱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육식동물은 이 눈으로 자신의 먹잇감이 도망칠 때 더 빨리, 더 끈질기게 쫓을 수 있다. 카메라의 망원렌즈로 보면 멀리 있는 것이 또렷하고 명확하게 보이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인간의 눈은 어떨까? 인간의 눈은 초식동물처럼 넓은 범위를 보거나 육식동물처럼 멀리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이들 동물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상세히 볼 수 있다. 또 단순히 보는 게 아니라, 보는 순간 생각하고 느끼고 판단한다. 이를 심리학에선 ‘인지’라고 말하는데, 사람이 환경 속의 자극정보를 지각함으로써 알아채고 기억하는 것을 말한다.

똑같은 것을 보더라도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것으로 기억되며, 심지어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기억에서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단순히 보는 게 아니라, 무엇을 어떻게 보고 거기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것으로 보이게 된다. 특별히 아름다움을 잘 보고 생각하고 해석할 수 있는 독특한 각도의 눈을 갖고 태어난 것이다.

가령 민들레를 보자. 봄 여름에 단아한 꽃을 피우며 아름다움을 뽐내던 민들레도 계절이 바뀌면 죽음을 맞을 운명이다. 하지만 그 죽음이 꼭 절망, 끝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꿈을 생각하는 사람의 카메라에는 민들레가 남기는 마지막 유산인 씨앗이 담긴다. 민들레의 씨앗은 작은 희망이다. 바람이 불면 가벼운 몸으로 멀리멀리 날아가 다음 해 봄의 들판을 더 아름답고 풍요롭게 해줄 것이다.

똑같은 민들레라도 보는 사람의 눈에 따라 달라진다. 결국 우리 눈에 보이는 현실은 우리가 원하는 것을 담고 있다. 현실은 메마른 땅이고 전쟁터이며 굶주림이지만, 메마른 땅에도 꽃은 피고 전쟁 속에도 평화가 있으며 굶주림에도 희망이 있는 것이다.

그렇게 아름다움을 찾고 나누는 예술작업을 사진으로 하면서 맨눈으로는 보기 어려운, 숨겨진 아름다움을 만날 기회가 그만큼 더 많아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포토 에세이] 맑은 일출
    [포토 에세이] 맑은 일출
  • 중년이 마음을 다스리는 법… 글은 어떻게 삶을 치유하는가?
    중년이 마음을 다스리는 법… 글은 어떻게 삶을 치유하는가?
  •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