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람들 줄세우면 0.1%안에 들어갈 것같은 탁월한 우수인 - 50세 엘리스의 스토리.
▲'내 기억의 피아노시모' 표지 사진. (이인숙 동년기자)
미국 하버드대학의 언어학 교수이고 남편은 생물학 교수이며 법학과 의학을 전공한 자식을 둔 1남 2녀의 사랑이 많은 어머니 엘리스. 그런 엘리스에게 조발성 알츠하이머가 찾아오며 영화가 시작되는데 조발성 알츠하이머는 거의가 유전성이며 65세 이전에 나타나며 진행이2~3년 안에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고 영화는 설명한다. 자신에게 일어나는 알츠하이머는 진행 과정을 스스로 지켜보아야 하는 형벌 아닌 형벌을 받아들이는것 이외에는 현대 의학적인 아무 치료방법이 없다. 그는 그 형벌을 최대한 지연시키기 위한 약물치료와암기훈련방법을 병행하지만 그것이 고작 진행 과정의 2,3년을 지연시킨다고 역시 영화는 설명한다.
최고의 지성인 심리학자는 상실되어져가는 자신의 과거와 한조각 한조각의 인간존엄을 위해 누구도 대신해줄수 없는 고독과 처절하게 싸워보지만 엘리스 아니 인간은 절대 무기력하게 알츠하이머에게 완벽히 져야만하는 시나리오이다.치매나 알츠하이머의 많은 스토리를 보면서 동일하게 느꼈지만 인간을 이겨먹는 얼굴없는 조발성 알츠하이머 그것이 스토리의 주인공인지 이런 상황아래 던져진 절대 고독과 무기력한 인간이 주인공인지 이 영화 역시도 필자를 혼란시킨다. 우수하고 아름답고 여성스럽고 사랑스러운 여인 엘리스는 자신을 어느정도나마 통제할수 있을때 완전히 자기자신을 잃어버리기 직전 그어느날을 위하여 자신에게 마치 어린아이에게 뭔가를 지시하듯 최후의 방법을 지시하는 영상 메세지를 만들어 저장해 둔다.
몇장면뒤 그 영상 멧세지가 공개되어 영상속의 엘리스를 만났을때 후일 어린아이처럼 변해버릴 자신에게 마치 어린아이에게 하듯 상냥한 말투로 자신의 최후를 위한 특별한 방법을 지시하는 엘리스를 만나게 된다. 자신을 사랑한 엘리스의 그 특별한 방법이 너무나 마음이 아파서 필자는 울었다.시간이 더 흐르고 조발성 알츠하이머는 더 깊이 진행되어 의식은 끊어지고 이어지고 그리고 아주 잠깐의 의식이 돌아왔을때 자신의 분신인 노트북에서 영상멧세지를 열고 엘리스는 그것이 무엇인지 아는지 모르는지 그것을 찾아 읽고 지시대로 실행을 하려다 그나마도 손이 실수를 하여 알약들이 무정하게 약병에서 바닥으로 떨어져 쏟아져 버린다.
필자는 만병통치약이 쏟아진것보다 더 마음이 아프고 안타까워 또 울었다.최후의순간이 영화에서는 그려지지 않고 영화는 끝이 나지만 필자는 그이상으로 슬펐다.대사 이외의 장면에서 스캔되는 말없는 설명들이 영화감독의 섬세한 연출력을 만나게 해준다. 영화의 원작은 2007년도에 소설가 <리사 제노바> 에 의해 쓰여진 <내 기억의 피아니시모>란 소설을 영화로 만든 작품이고 필자가 좋아하는 배우 <줄리안 무어>는 이영화로 골든 글로버와 아카데미 여주인공상을 수상 했었다. 원작의 제목 <피아니시모>는 기억이 스타카토처럼 이어졌다 끊어졌다를 반복하다가 어느날 피아니시모처럼 사라져 버린다고 피아니시모를 해석해 봐야 하겠다.
관련 뉴스
-
- [브라보 모먼트] "세상 제일 센 행복은 눈 앞의 행복"
- 바쁘게 지나가는 하루 중에도 마음이 머물 수 있는 한 장면은 분명 있습니다. 영화, 드라마, 책, 음악 등에서 찾은 영감의 한순간을 AI와 편집국 기자가 전합니다. 3월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인 '폭싹 속았수다'는 1950년대 제주를 배경으로 당차게 살아온 '애순'과 우직하고 단단한 '관식'의 일생을 그린 드라마입니다. 가난과 세월의 무게 앞에서도 꺾이지 않고 살아낸 두 사람의 인생은 한 폭의 그림처럼 깊게 번져 갑니다. 드라마는 화려한 청춘의 이야기가 아닌 '세월의 회한'을 정직하게 담았습니다. 세월에 지쳐도 사랑은 여전
-
- [브라보 모먼트] "지금 내가 나일 수 있는 마지막 시간"
- 바쁘게 지나가는 하루 중에도 마음이 머물 수 있는 한 장면은 분명 있습니다. 영화, 드라마, 책, 음악 등에서 찾은 영감의 한 순간을 AI와 편집국 기자가 전합니다. 영화 는 '존엄하게 사는 것'의 의미를 묻는 영화입니다. 극 중 주인공인 앨리스(줄리언 무어)는 언어학 교수로 명성 있고 완벽한 삶을 살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강의 도중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병원 진료를 받았습니다. 진단 결과는 조기 발병 알츠하이머. 그의 일상은 점차 낯설어지고 가족들도 힘든 시간을 보내기 시작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앨리스는 자신을 놓지
-
- [브라보 모먼트] "끝에는 다 괜찮아질 거예요"
- 바쁘게 지나가는 하루 중에도 마음이 머물 수 있는 한 장면은 분명 있습니다. 영화, 드라마, 책, 음악 등에서 찾은 영감의 한 순간을 AI와 편집국 기자가 전합니다. 영화 은 영국의 시니어들이 은퇴 후 인도의 '베스트 엑조틱 메리골드 호텔'에 머물면서 일어나는 이야기 입니다. 영화는 인생의 황혼기를 맞은 시니어들의 삶을 마침표가 아닌 쉼표로 바라봅니다. 각기 다른 사정으로 인도에 도착한 주인공들은 처음에는 낯선 환경과 불편한 현실에 당황합니다. 이 때 호텔 매니저인 소니(데브 파텔)는 늘 이렇게 말합니다. "끝에는 다 괜찮아질 거예
-
- [브라보 모먼트] "나는 여전히 빛날 수 있어"
- 바쁘게 지나가는 하루 중에도 마음이 머물 수 있는 한 장면은 분명 있습니다. 영화, 드라마, 책, 음악 등에서 찾은 영감의 한순간을 AI와 편집국 기자가 전합니다. "이기지 못하더라도 나는 여전히 빛날 수 있어요" 때때로 시니어 세대의 삶은 '내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것 같은 시간'처럼 느껴지곤 합니다. 하지만 영화 속 할아버지인 에드윈 후버(앨런 아킨)의 한마디는 누군가에게 빛을 건네는 순간으로 만듭니다. 그는 사회적으로 실패한 인물로 보이지만, 손녀인 올리브(애비게일 브레슬린)에게만큼은 누구보다 가장 든든한 지원군입니다. 어
-
- [브라보 모먼트] "경험은 결코 늙지 않는다"
- 바쁘게 지나가는 하루 중에도 마음이 머물 수 있는 한 장면은 분명 있습니다. 영화, 드라마, 책, 음악 등에서 찾은 영감의 한 순간을 AI와 편집국 기자가 전합니다. “경험은 결코 늙지 않는다” 은 2015년에 개봉한 영화입니다. 영화 속 주인공 벤(로버트 드 니로)은 은퇴 후 다시 인턴으로 일터에 나섭니다. 젊은 CEO인 줄스(앤 해서웨이)와 함께 일하며 나이와 세대의 벽을 넘어 진정한 동료로 거듭나는 이야기 입니다. 줄스는 벤을 시대에 뒤처진 인물로 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경험과 성실함이 조직을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는 것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