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리면 자고 눈이 떠지면 일어난다.” 이것이 필자만의 잠 잘 자기 위한 비법이라면 비법이다. 잠자는 시간대를 따지지 않는다. 졸리지 않으면 새벽 2시여도 잠자리에 들지 않는다. 자다가도 눈이 떠지면 일어나 해야 할 일을 한다. 밤이기에 잠을 자야 한다는 고정 틀에서 벗어난다. 규칙적인 수면도 필요하겠지만, 잠이 오지 않는 상태에서 일부러 잠들기 위하여 안간힘을 쓸 경우 오히려 잠들기 힘든 경험을 대부분 하였지 싶다. 그래서 필자는 졸리면 잔다. 대부분 시니어들의 일상이 그러하듯 필자도 남는 게 자유밖에 없어서 그런 행동이 가능할지 모른다.
장수 노인으로 노익장을 과시했던 서구의 한 할머니는 건강비결을 묻는 기자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걸을 수 있을 때 뛰지 않는다. 앉아 있을 수 있을 때 서 있지 않는다. 누울 수 있을 때 앉아 있지 않는다.” 편하게 쉴 수 있을 때 쉰다는 얘기다. 하지만 모든 평범함엔 비범이 내재해 있는 것 아닌가. 아마 그 할머니에게 잠을 잘 자는 비법을 물었다면 이렇게 대답했지 않았을까? “졸리면 자고 눈이 떠지면 일어난다.”
잠을 잘 잔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자기의 건강을 나타내는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잠을 잘 자는 사람들은 대체로 건강하기 때문이다. 베개에 머리를 대면 잠드는 경우도 있고, 당체 숙면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그렇다면 이 차이는 왜 생기는 걸까. 그건 바로 스트레스 정도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고민거리와 스트레스는 건강을 가로막는 요인들이다.
◇잠자는 시간대 중요하지 않아
필자는 컴퓨터 앞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편이다. 강의를 위한 강의 프레젠테이션 작성과 글쓰기가 그 대표적 작업이다. 시간을 많이 할애하는 컴퓨터 작업 중의 하나가 사진 보정 작업이다. 포토스토리텔러(사진으로 이야기를 쓰는 사람), 즉 사진작가이기에 사진도 남다르게 많이 촬영하지만, 사용하는 화질이 “RAW”여서 일일이 촬영한 사진을 별도의 후 보정 작업을 거쳐야 하기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런 작업을 하다 보면 자정을 넘기기 일쑤다. 때로는 밤을 새우기도 하지만, 작업 중에 졸리면 곧 잠자리에 든다. 그러기 위하여 컴퓨터 옆에 침대를 설치했다. 의자를 돌리면 침대에 드러누울 수 있다. 잠을 자기 위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순간 잠이 달아날 수 있다. 잠을 자다가도 눈이 떠지면 시간대에 상관하지 않고 일어난다. 간혹 잠을 자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졌을 때 오히려 잠들지 못하고 뒤척인 경험이 많아서다.
◇잠자는 시간도 아깝다
필자는 현재 강사, 기자, 수필가, 사진작가, 방송, 자원봉사자 등 25시로 산다. 하고 싶은 일이 많아 일분일초가 늘 아깝다. “시간 겹쳐 쓰기”라는 말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강의장을 가기 위하여 나는 대중교통을 주로 이용한다. 승용차를 이용하면 이동시간 내내 다른 일은 전혀 할 수 없다. 전철을 이용하게 되면 강의 교안을 살펴보는 일 등 시간을 겹쳐 쓸 수 있다. 이런 경우를 나는 “시간 겹쳐 쓰기”라 이른다. 잠자는 시간도 줄이려 애쓴다. 숙면을 통하여 그 시간을 줄이는 방법으로 졸리면 잠자고 눈이 떠지면 일어난다. “졸리면 잠잔다.”가 나의 잠 잘 자기 위한 나만의 비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