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 얼굴, 근엄한 얼굴, 크고 작은 석상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었다. 어쩌면 100년도 더 넘는 시간동안 비바람을 맞고 어디엔가 쓰러져 있던 석상. 사람의 욕심에 끌려 바다 건너갔다 돌아온 고단한 돌들의 쉼터가 서울 어딘가에 자리 잡고 있었다. 바로 ‘우리옛돌박물관’이다.
우리옛돌박물관은 2000년 경기도 용인에 문을 열었던 세중옛돌박물관을 서울 성북구로 옮겨와 재개관한 것이다. 이곳은 이사장인 천신일씨가 40여 년간 찾아 모으고 일본에서 환수해 온 우리의 석상들을 모아 전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근·현대미술작가의 작품을 비롯해 우리네 어머니들의 정성이 담긴 자수 작품 등도 만나 볼 수 있다. 이곳에서 만날 수 있는 석상은 크게 4종류가 있다. 장군, 문인, 동자, 벅수다. 장군, 문인, 동자상은 묘지를 지키는 석상이었고, 벅수는 마을을 지키는 일종의 돌로 만든 장승이었다.
1층
1. 환수 유물관
환수 유물관은 천신일 이사장이 환수해 온 70점의 유물 중 문인석 47점을 전시했다. 일본에 약탈당하고 여러 곳으로 돌아다니다 보니까 없어진 것이 많다. 짝이 없으면 없는 대로 그대로 전시했다. 문인석이나 장군석은 키에 따라서 묘주의 신분을 알 수 있었다. 키가 170~180cm정도는 왕릉 혹은 정일품의 묘 앞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 금강역사
사찰 앞에 한 쌍으로 세워졌던 것이다. 입을 벌리고 있는 것을 ‘아금강역사’,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을 ‘흥금강역사’라고 부른다. 박물관에 있는 것은 ‘흥금강역사’다. ‘아’와 ‘흥’은 산스크리트어의 AtoZ와 같은 의미. 모든 불경을 보호한다는 의미이며 한 쌍의 ‘아흥금강역사’가 사찰을 지켜왔다.
3. 무병장수의 길
1층 오른쪽에는 걸어서 옥상까지 올라갈 수 있는 무병장수의 길이 조성돼 있다. 길상을 상징하는 양과 물고기를 낮은 층에 배치했고 올라가는 내내 다복이나 장수 등을 비는 석상들을 배치해 놓았다.
이 외에 여인상, 장명등이 전시돼 있다.
2층
1. 장군석
우리옛돌박물관을 대표하는 유물 중 하나다. 화강암임에도 불구하고 눈썹이 날리는 터럭의 모양 등이 잘 표현됐다. 석조유물의 특징은 3등신이다. 3등신이 정확할수록 가치가 높다. 도깨비 문양이 칼과 양 어깨에 있다. 옛날 석공들은 도면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조각 모양을 비슷하게 잘 만들었다는 것은 기술이 대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동자석과 벅수
동자석과 벅수가 발전한 곳은 제주도다. 동자석은 원래 서울·경기 지역에서 시작했지만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졌다. 그런데 제주도는 섬이고 전파가 되고 나서 거기서는 계속 발전했다. 무덤 앞에서 주인의 시중을 드는 역할을 했고 장군과 문인이 있는 무덤에서 활기를 불어넣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장군, 문인, 동자가 석공이 조각을 한 것이라면 벅수는 손재주가 있거나 여행을 좀 해봤다 하는 사람들이 직접 민간에서 만든 작품이다. 장승의 돌 버전이다. 암수가 있다. 노인 형상을 한 벅수는 장수와 지혜를 상징하고 마을 사람들이 오래 살았으면 좋겠다는 염원에서 만들어졌다.
3. 카페테리아
카페테리아 쪽으로는 한국 여성들의 정성이 깃든 자수 작품들이 전시돼있다. 작은 골무에서부터 보자기, 바느질 용구, 주머니 등이 있다.
3층
1. 양이 조선시대 길상이었던 이유
이성계가 조선의 왕이 되기 전에 양 꿈을 꿨다고 한다. 꿈에 양을 잡으려고 양의 뿔을 잡았는데 뿔이 떨어져 나갔다, 꼬리도 잡았지만 꼬리도 떨어져 나갔다고 한다. 꿈이 이상해 무학대사에게 물어 보니 왕이 될 꿈이라고 했다. 그 이유가 양(羊)에서 뿔이 빠지고 꼬리가 빠지면 왕이 된다는 의미였다. 조선시대 유난히 양을 조각한 석조 유물들이 많다.
2. 3층 기획 전시실
근·현대미술 작가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3층은 바깥 전시장으로 나갈 수 있는 테라스로 연결돼 있다. 날씨가 맑으면 제2 롯데월드도 보일 만큼 시야가 탁 트여 있다.
전시안내
전시(도슨트) 설명 오전 11시, 오후 2시, 3시 (50~60분 정도 소요)
멤버십카드
연회비 1만원 혜택 1년간 전시 무료 관람, 박물관 소식 메일링 서비스
가입문의
- KOSA@ksmuseum.com
- 안내데스크에서 현장 가입할 수 있다.
- ‘문화가 있는 날’은 매월 마지막 수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