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영화라는 물건이 어떤 존재인지 궁금할 때가 있다. 종합예술의 ‘끝판왕’이며 표현되지 못하는 게 무엇일까 할 정도로 종횡무진인 데다가 최신 테크놀로지의 도움으로 이제는 우리가 상상하지 못할 영역까지 다 들추어낸다. 게다가 영화적 상상력이 과학 발전을 앞장서 이끌어 갈 정도이니 족히 이 시대의 주인공이라 할 만하다.
그렇지만 이 시대의 영역 대부분이 그렇듯이 과학 발전을 인간 정신이 따라가지 못해 문화 지체 현상(아노미)을 보이는데 영화도 예외는 아니다. 발전하는 표현양식을 스토리가 따라가지 못해 허접한 이야기에 끝없이 치고받는 자극적인 장면만으로 이루어진 영화들이 수두룩하다. 그런 와중에 영화 <싱글 라이더>는 색다르다. 아니 심심하고 답답하다고 해야 하나?
겉으로는 기러기아빠로 표상되는 이산가족 문제를 소재로 했지만, 사회 문제를 다루는 영화는 아니다. 영화의 주제는 좀 더 먼 곳에 있다. 아내와 아들을 호주로 보낸 채 기러기 생활을 하던 증권회사 지점장 강재훈(이병헌)은 어느 날 부실채권 사건으로 모든 걸 잃고 최악의 상황에 부닥친다. 혼자만의 생활에 지친 그는 가족이 있는 호주로 날아간다.
하지만 그곳에서 본 아내(공효진)의 모습이 이전과 너무 다른 데 놀란다. 그녀는 자신만의 새로운 삶을 준비하며 옆에는 이미 다른 남자들의 흔적만이 가득하다. 그는 아내와 아들 주위를 맴돌 뿐 변해 버린 현실 속으로 다가가지 못한다. 그의 자리는 아무 곳에도 없다. 영화는 줄곧 이런 상황을 일인칭 시점으로 강재훈의 감정선을 지루하지만, 집요하게 추적한다.
사실 이런 종류의 이야기는 우리 주변에서 범람했다. 기러기 가장이 밤낮없이 열심히 벌어 돈을 보내 주었더니 아내가 현지에서 바람이 났다더라. 혹은 오래 떨어져 있다 보니 마음마저 멀어져 끝내 이혼하고 말았다더라 하는 사연들이다. 그러나 이 영화는 그런 극적인 장치들을 외면한다. 그저 주변을 맴돌며 안타깝고 가슴 아파할 뿐이다.
물론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강재훈은 이미 현실을 바꿀 능력을 상실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런 마지막 반전은 영화 곳곳에 매설해 놓은 이상한 설정들의 아귀가 비로소 맞아가는 피드백의 재미를 준다. 지나간 장면들을 되새기며 하나하나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샤말란 감독의 <식스 센스>에서 이미 경험했던 방식이어서 그런지 신선한 느낌은 덜 했다.
그러나 영화를 관통하는 ‘사랑’과 ‘믿음’이라는 주제는 여전히 묵직하다. 이는 배우 이병헌에 힘입은 바 크다. 스산한 삶의 외로움과 안타까움과 공허함을 말없이 눈빛으로 표현한다. 최근 다양한 장르에 출연하고 있지만, 그의 초기작인 <번지점프를 하다> 이후 이룩한 내면 연기의 근사한 성과다. 시나리오를 읽고 직접 제작비를 투자한 이유를 알겠다.
이야기 중간의 흥미로운 에피소드로 워킹홀리데이 문제가 등장한다. 기러기 아빠만이 아니라 삶의 무게로 지친 아픈 청춘들의 모습이다. 힘들게 새벽부터 일하며 돈을 모아 귀국을 기다리던 유진아(안소희)의 모습을 통해 젊은 청춘들의 삶도 그리 만만치 않음을 보여준다. 어쩌면 인생은 영원한 ‘싱글 라이더’인지 모른다. 마지막의 열린 결말이 그래서 더욱 마음에 남는다.